View : 164 Download: 0

‘엄마되기(mothering)’에서 경험하는 수치심 치유를 위한 목회상담 연구

Title
‘엄마되기(mothering)’에서 경험하는 수치심 치유를 위한 목회상담 연구
Other Titles
Pastoral Counseling for Healing Shame in “Mothering” within the Korean Context
Authors
김리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엄마되기, 수치심, 목회상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엄마되기(mothering)’에서 경험하는 수치심의 복합적 요인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 목회상담 치유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지금까지 자녀와의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을 죄책감으로 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엄마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 중 핵심감정을 행동의 결과로서의 죄책감이 아닌 존재와 밀접한 감정인 정체성으로서의 수치심으로 규정하였다. 한국 엄마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의 핵심은 서구 엄마들이 경험하는 죄책감과 다른 수치심이다. 왜냐하면, 자녀 양육의 책임을 전적으로 엄마에게 돌리고, 자녀의 성공과 실패를 엄마되기의 성공과 실패로 연관시키는 독특한 한국의 문화는 완벽한 엄마이지만, 유난 떨지 않는 엄마를 원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도달하기 어려운 엄마상(想)을 요구하는 한국사회에서 엄마되기의 어려움은 가중된다. 더욱이 한국기독교인 엄마로서 경험하는 수치심은 기독교적인 요인도 그 무게를 더한다. 엄마가 되는 과정 안에서 경험하는 수치심은 엄마뿐 아니라 자녀의 수치스러운 자아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녀와 엄마 모두의 풍성한 삶을 위해서 엄마의 수치심을 치유하는 것은 중요하다. 엄마되기 가운데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 중 핵심감정으로 정체성으로서의 수치심을 이해하기 위해 복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코헛의 자기 심리학과 불안정 애착의 대물림 그리고 여성의 관계적 자아를 통한 엄마되기 가운데 경험하는 수치심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회문화적인 관점으로는 모성이데올로기와 한국사회에 만연한 엄마 혐오 현상이 엄마되기에서 경험하는 수치심의 원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녀의 교육이 중요한 한국사회 현실 속에서 교육지원자로서의 엄마라는 역할이 엄마되기 안에서 경험하는 수치심의 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회신학적 관점에서는 성서에서 나타난 여성의 수치심을 바탕으로 가부장적 유교 문화와 기독교적 영향으로 인한 한국기독교인 엄마가 경험하는 수치심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커크패트릭의 하나님애착이론과 캡스의 수치심 신학을 바탕으로 기독교의 관점이 한국기독교 여성들의 엄마되기에서 경험하는 수치심의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한국기독교인 엄마들이 경험하는 수치심 치유를 위하여 심리적, 사회문화적, 목회신학적 관점의 통합적 목회상담 치유모델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한국기독교 여성으로서 엄마되기 가운데 경험하는 수치심은 심리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목회신학적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치유모델 역시 한 가지 방법이 아니라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기 때문이다. 심리적 치유모델에서는 상처받은 내면아이와 자기자비의 개념을 활용하여 엄마들의 내면을 치유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사회문화적 치유모델로는 상호주체적 모성과 공동체적 모성을 통하여 기존의 모성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수치심 치유방안을 고민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회신학적 치유모델로 건강한 존재로의 회복을 위한 용서라는 개념과 맥페이그의 어머니⋅연인⋅친구 하나님 모델을 통해서 고립되고 소외된 엄마되기가 아니라 풍성한 존재로서의 엄마되기를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found shame experienced by Korean women during “mothering,” characterized by negative core emotions. It delves into pastoral counseling strategies for healing, grounded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pastoral-theological factors. Traditionally, mothers' negative emotions have been interpreted as guilt stemming from perceived wrong actions. However, within Korean society, a more accurate perspective is to consider the overwhelming demands and standards placed on mothers as a source of shame, reflecting the wounded emotions of maternal identity. The study endeavors to present a holistic healing model for the shame intertwined with “mothering.”This effort is pivotal, given that the shame faced by Korean mothers is multifaceted, demand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healing model. In the psychological healing model, the proposal seeks to fortify the inner well-being of mothers by integrating concepts such as the wounded inner child and self-compassion. As part of a sociocultural healing model, the author contemplates strategies for addressing shame by embracing a perspective that emphasizes mutual and communal motherhood, introducing a fresh outlook on traditional maternal roles. In a pastoral theological healing model, the objective is to not only redefine motherhood but also to transform it from an isolated and marginalized experience into a thriving existence. By embracing the concept of forgiveness for restoration and drawing inspiration from McFague’s model of God as Mother, Lover, and Friend, the aspiration is to portray mothering as a rich and fulfilling pres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