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 Download: 0

신체 소유감의 인과적 기반에 대한 연구

Title
신체 소유감의 인과적 기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asual Basis for the Sense of Bodily Ownership : Focusing on Proprioception
Authors
윤샤론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보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undation of a subject's sense of ownership of their body parts and physical actions. Even without external perceptual observation, including visual perception, we know that our bodies and the actions that utilize them belong to us. This de se knowledge is epistemologically privileged in that it is only assigned to the subject. Where does this first-person self-knowledge, and the phenomenological sense of "mineness,“ come from?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proprioception is a necessity for bodily ownership. Before addressing proprioceptive awareness based on the empirical and scientific evidence, I will begin with an framework in phenomenology that addresses bodily self-awareness as self-consciousness. Drawing on Husserl's notion of the bodily subject as "Leib“ and Merleau-Ponty's notion of the "corps-propre," I seek to demonstrate how the agent's body has a distinctive status in relation to other physical objects in the world. Thus, we will examine the spatiality of the body as a "In-der-Welt-Sein" and its characteristic reflexive objectivity through the account of double-sensation. I will discuss how this bodily self-awareness constitutes the subject's body schema. I will further demonstrate that the proprioception, a sensation that relies on internal receptors, the neural mechanism inside the body, rather than external receptors for external stimuli, is a condition of bodily self-knowledge. Beyond the empirical fact that proprioception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existence, location, and movement of body parts, I will assert that proprioceptive knowledge occupies a special position epistemologically, arguing that this kind of embodied knowledge-how is non-propositional, non-observational, and non-perspectival. Ultimately, the thesis I will be arguing in this thread is "The Necessity thesis: Proprioception is indispensable for a sense of bodily ownership." As a subthesis of this Necessity thesis, I will first argue for the "Immunity to Error through Misidentification(IEM) thesis: proprioception is infallible in that it provides a sense of bodily ownership. The thesis will be strengthened by defeating both the counter-examples "Anarchic Hand Syndrome" and "Visuo-Tactile illusory experiment" provided by Anthony Marcel. Furthermore, I add the adverbial qualification that proprioception 'implicitly' provides a body schema, because I consider the problem of distortion of body representation via proprioception. However, this problem of distortion is unraveled by articulating multimodal perception, which ultimately leads us to acknowledge that the proprioceptive awareness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physical actions. Finally, I attempt to neutralize the case of Ian Waterman (hereafter IW), the agent whose complete absence of bodily schema, which most strongly challenges my Necessity thesis. While IW's case immediately disproves my thesis on the first glance, I defend it by pointing out that he acts in a way that relies on the compensatory sense of external perception, and that he is not an agent whose proprioceptive representations are essentially lacking.;이 논문의 목적은 주체의 신체와 신체적 행위의 소유감(sense of ownership)의 토대를 찾는 데 있다. 시지각을 비롯한 외부 지각적 관찰 없이도, 우리는 내 신체와 신체를 활용한 행위가 나에게 귀속됨을 안다. 이 앎은 주체에게만 할당되어 있다는 점에서 인식적으로 특권적이다. 이러한 일인칭적 자기-지식, 그리고 ‘내 것임(mineness)’이라는 현상적 느낌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본고에서는 신체 소유감의 조건이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경험과학적 증거 기반으로 고유수용성 감각적 자각(proprioceptive awareness)을 다루기에 앞서, 본고에서는 현상학적 사유에서 출발해 자기-의식을 구성하는 신체적 자기-자각에 대해 말한다. 후설의 ‘살(leib)’과 메를로-퐁티의 ‘고유한 신체(corps-propre)’라는 신체 개념을 끌고 들어와서 행위자의 신체가 어떻게 세계 속에 펼쳐진 대상들과 달리 특별한 지위를 지니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따라서 세계-내-존재 혹은 세계-에로-존재로서의 신체의 공간성(spatiality)과, 이중지각(double-sensation)을 통해 신체의 특징적인 재귀적 대상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신체적 자기-자각이 어떻게 주체의 신체 도식(body schema)을 구성하는지를 다룬다. 이 글에서는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외수용기가 아닌 신체 내부의 신경기관인 고유수용기에 의존하는 감각인 고유수용성 감각을 신체적 자기-지식의 조건으로 내세운다. 단순히 고유수용성 감각이 신체 부분의 존재, 위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실증적 사실을 넘어서, 모종의 체화된 기술(embodied knowledge-how)인 고유수용성 감각적 지식은 비명제적이고, 비관찰적, 비관점적 지식이라는 점을 논증하며 주체에게 인식적으로 특별한 위치를 점유한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내가 이 글을 통해 설파하려는 논제는 “필요조건 논제: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 소유감을 위해 필수 불가결하다.”이다. 필요조건 논제를 위한 하부 논제로서 “오류면역성 논제: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 소유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오류불가능하다.”를 우선 논증할 것이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 도식을 ‘암묵적으로’ 제공한다는 부사적 수사를 덧붙이는데, 이는 ‘고유수용성 감각의 신체 표상 왜곡의 문제’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왜곡의 문제는 다중 양상적 지각(multimodal perception)을 표명하면서 해명되고, 결국 고유수용성 감각적 자각이 신체적 행위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다. 내 논변을 강화하기 위해 이후 4장에서 심리철학자 마르셀이 제시한 반증 사례로, 병리적 사례인 ‘무정부적 손 환자’와 예외적 사례인 ‘진동-촉각적 착각적 실험’을 모두를 파기함으로써 오류면역성 논제를 공고히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의 필요조건 논제를 가장 강하게 위협하는 신체 도식이 완전히 부재한 행위자인 ‘이안 워터만(이하 IW)’ 사례를 무력화하는 시도를 한다. IW 사례는 외견상 내 논제를 즉각적으로 반증하지만, 그가 외부 지각이라는 보완적(compensatory) 감각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행위를 한다는 것, 고유수용성 감각적 표상이 본질적으로 완전히 부재한 행위자가 아니라는 점 등을 지적하며 필요조건 논제를 옹호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