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Authors
설은실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범죄 피해자, 심리정서적 어려움, 정신적 피해, 범죄 두려움, 지역사회 특성,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경찰 활동, 이웃 관계, 이웃 참여, 일상 생활 만족도, 감정 변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mental damage and fear of crime, and to verify what factors affect each of the victims' mental damage and fear of crime. By express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s mental damage and fear of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ental damage and fear of crime after crime victim's crime, and through this, seek ways to intervene in mental health welfare and corrective welfare that can support crime victim'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covery plan. This study was used as analysis of the national life safety status survey (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20) data researchers, and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was used as final analysis of 574 people aged 20 years old. In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y was a scale developed by Kim Eun-kyung and colleagues(2014) to measure 'mental damage situation' and 'damage fear' in the '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2', and the total of mental damage was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by answering yes or no to nine questions about the mental damage situation experienced by crime victims after crime damage. Crime fear was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as an average of 2 questions of general fear, 8 questions of specific fear, and a total of 10 questions. Factor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main variable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ntal damage of crime victims between gender groups. It was found that women who suffered from crime had higher mental damage than men who suffered from crime,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job status, monthly average income, disability, intoxicated return home, and late return ho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gender, age, marital status, intoxicated return to home, and late return victims of crime, and those in their 20s had higher fear of crime than those in their 70s or older, 60s, 30s, and 50s, and those who returned home more than a day late than those who had little or no late return home had higher fear of crim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education, job status, monthly average income, and dis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major variables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ocial disorder of crime victims(r=.100, p<.05) was positive(+), and daily life satisfaction(r=-.106, p<.05), and emotional change(r=-.403, p<.001)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damage, and physical disorder(r=.321, p<.001), social disorder(r=.105, p<.05), emotional change(r=-.221, p<.001), and age(r=-.132, p<.01)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crime fear.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mental damage and fear of crime were verified in community characteristics(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police activities, neighborhood relationships, neighborhood participation), daily life satisfaction, emotional changes(confidence, self-esteem, trust in people, trust in judicial institutions, and respect for the law). As a result of analyzing mental damage, neighborhood relationships(β=.112, p<.05), gender(β=.087, p<.05), education(β=.113, p<.05) showed positive(+) significant results for mental damage, and daily life satisfaction(β=-.090, p<.05), and emotional changes (β=-.393, p<.001) were found to be negatively(-) specific to mental damage. As a result of analyzing crime fear, it was found that physical disorder(β=.209, p<.001), social disorder(β=.154, p<.001), neighborhood relations(β=.121, p<.01), gender(β=.303, p<.001), intoxicated home (β=.133, p<.001) showed positive(+) significant results for fear of crime, and emotional change (β=-.192, p<.001), and age(β=-.159, p<.01) were found to be negatively(-) specific to fear of crime. As such,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prevent and recover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and fear of crime,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a basis for finding intervention methods in terms of mental health welfare and corrective welfare. Subsequent studies require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crime victims,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of crime victims that cover various areas in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본 연구는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인 정신적 피해,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범죄 피해자의 정신적 피해와 범죄 두려움 각각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정신적 피해와 범죄 두려움으로 표현하여 범죄 피해자의 범죄 피해 이후 정신적 피해와 범죄 두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회복 계획을 수립하는데 지원할 수 있는 정신건강복지 및 교정복지의 개입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전국범죄피해조사 2020)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그 중에서 만 20세 이상 성인 범죄 피해자 574명을 최종 분석 표본수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심리정서적 어려움은 김은경과 동료들(2014)이 ‘전국범죄피해조사 2012’에서 ‘정신적 피해상황’과 ‘피해 두려움’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정신적 피해는 범죄 피해자가 범죄 피해 이후 경험한 정신적 피해 상황에 대한 증상 9가지 문항에 대해 예, 아니오로 응답하여 합계를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고, 일반적 두려움 2문항과 구체적 두려움 8문항, 총 10문항에 대한 평균으로 범죄 두려움을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범죄 피해자의 정신적 피해에 대해 성별 집단 간 정신적 피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범죄 피해 여성이 범죄 피해 남성보다 정신적 피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령, 학력, 혼인상태, 직업유무, 월평균소득, 장애여부, 만취 귀가, 늦은 귀가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피해자의 범죄 두려움에 대한 성별, 연령, 혼인상태, 만취 귀가, 늦은 귀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70대 이상, 60대, 30대, 50대보다 20대의 범죄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늦은 귀가를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집단보다 한 달에 하루 이상 늦은 귀가를 하는 집단이 범죄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직업유무, 월평균소득, 장애여부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주요변수의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범죄 피해자의 사회적 무질서(r=.100, p<.05)는 정(+)적으로, 일상 생활 만족도(r=-.106, p<.05), 감정 변화(r=-.403, p<.001)는 부(-)적으로 정신적 피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무질서(r=.321, p<.001), 사회적 무질서(r=.299, p<.001)는 정(+)적으로, 경찰 활동(r=-.105, p<.05), 감정 변화(r=-.221, p<.001), 연령(r=-.132, p<.01)은 부(-)적으로 범죄 두려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정서적 어려움인 정신적 피해, 범죄 두려움을 지역사회 특성(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경찰 활동, 이웃 관계, 이웃 참여), 일상 생활 만족도, 감정 변화(자신감, 자존감, 사람에 대한 신뢰감,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감, 법에 대한 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정신적 피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웃 관계(β=.112, p<.05), 성별(β=.087, p<.05), 학력(β=.113, p<.05)은 정신적 피해에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일상 생활 만족도(β=-.090, p<.05), 감정 변화(β=-.393, p<.001)는 정신적 피해에 부(-)적으로 구체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두려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물리적 무질서(β=.209, p<.001), 사회적 무질서(β=.154, p<.001), 이웃 관계(β=.121, p<.01), 성별(β=.303, p<.001), 만취 귀가(β=.133, p<.001)는 범죄 두려움에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감정 변화(β=-.192, p<.001), 연령(β=-.159, p<.01)은 범죄 두려움에 부(-)적으로 구체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인 정신적 피해와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 예방과 회복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정신건강복지 및 교정복지 차원의 개입방법을 모색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더욱 세분화된 수준에서의 조사가 요구되며,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있어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범죄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영역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