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無我와 주체적 수행의 양립가능성 문제

Title
無我와 주체적 수행의 양립가능성 문제
Other Titles
The Problem of Compatibility between anattā and voluntary behavior : focused on One Mind in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Authors
안은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대승기신론, 무아론, 주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자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생의 실체적 자아의 존재를 부정하는 불교의 무아론과 윤회설과 해탈론에서 요구되는 중생의 주체적 수행이 어떻게 양립가능한지 『대승기신론』의 일심의 사유를 통해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윤회설과 해탈론에서 중생의 내생을 야기하는 것은 의도(業)이며 윤회로부터 벗어나 해탈하려는 중생의 주체적 행위가 요구되고 있지만, 석가는 연기설에 입각하여 중생의 실체적 자아와 오온에 대한 자재성을 부정한다. 불교의 연기론 및 무아론에 따르면 첫째, 중생은 오온화합물일 뿐이며, 각각의 오온이나 오온화합물을 “나”나 “나의 것”으로 취할 수 없다. 둘째, 오온은 의지적 행위인 행을 포함하여 이전 항으로부터 연기적으로 상속되기 때문에 무상하고 자재하지 못하다. 이처럼 중생은 무명에 덮여있을 뿐 아니라 의지적 행위인 행(行)이나 행위 배후의 행위자로서의 자아가 연기적 존재여서 자재하지 않고 “나”나 “나의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이 부정되고 있는데 어떻게 무시이래로 무명의 중생이 발심하여 해탈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무아와 윤회 및 해탈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무아가 무엇을 부정하고 무엇을 긍정하는지, 무아를 통해 부정되는 자재성과 그럼에도 긍정되는 주체적 행위의 가능성이 설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대승기신론』을 중심으로 무아론의 논리에 의거하여 제법의 비실재성을 드러내면 일심이 남는다는 것, 다시 말해 무아와 일심이 회통(상즉)한다는 것, 그리고 일심으로 인해 무아론과 연기론의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중생의 윤회와 해탈 및 수행의 주체적 자기수행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논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he two seemingly contradictory theories of Buddhism, the theory of anātman(no-self) and karma(intention), are compatible through One Mind(一心) thought of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大乘起信論』). Buddhist theory of saṃsāra and nirvana presupposes intention(which is karma) and voluntary behavior, but on the other hand, anātman denies the performer. Buddha stresses that no one does karma(intention), goes to saṃsāra or reach the nirvana, but the karma, saṃsāra or nirvana occurs according to the law of 'dependent arising(緣起)'. The question remains, however, of whether an intention(karma) is possible if there is no performer and independent behavior. According to Buddha, a person is characterized by five aggregates(五蘊) and none of the five aggregates can amount to a self, because what is dependently originated cannot be the self, and so is impersonal. Also, five aggregates including thoughts and deeds are causally conditioned by prior event, so that none of the aggregates are under a person's ultimate control, even volitions(行). If there is no voluntary and independent behavior, then, how can we become free from saṃsāra and get reach to nirvana? The problem of compatibility between the theory of anātman and the theories of karma, saṃsāra, nirvana could be resolved through the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In Mahāyān Buddhism anātman refers to emptiness(空) of substance. According to the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anātman or emptiness(空) means there is no substantial or metaphysical self rather than there is nothing in one's mind. As the One Mind is non-conceptualized and non-self mind, anātan and One Mind are same(相卽) and also those are the theories of mutual complemetarity in which one is established through the other. And because of the One Mind which is non-self and non-conceptualized mind, there could be compatibility between no-self and voluntary behavior and between theory of anātman and theories of karma, saṃsāra, nirva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