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 Download: 0

소아기 악력과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인슐린저항성 지표와의 저항성

Title
소아기 악력과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인슐린저항성 지표와의 저항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Handgrip strength of childhood and Metabolic syndrome score and Insulin resistance index in adolescence : based on the Ewha Birth and Growth Study
Authors
전승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과학과
Keywords
악력, 상대악력, 코호트, 대사증후군, 인슐린저항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혜숙
Abstract
대사증후군은 여러 가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동시에 나타나는 질병이며, 인슐린저항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청소년기 대사증후군은 성인기의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사증후군 발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생애주기별로 건강 영향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의 낮은 악력이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생애주기 관점을 고려하여 소아 및 청소년기의 악력과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전향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기 상대악력과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인슐린저항성 지표 간의 전향적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 영아성장 출생 코호트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만 7-9세소아기와 만 13-15세 청소년기를 고려하여, 모두 추적관찰에 참여한 대상자를 연구대상자로 고려하였다. 이 중 소아기의 악력 측정치와 청소년기의 평가 변수가 결측인 경우에는 분석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최종 연구대상자는 총 219명이었다. 주요 평가 변수로는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 위험을 표현할 수 있게 대사증후군 점수를 계산하여 활용하였으며, 인슐린저항성 지표로 공복인슐린과 Homeostat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를 평가하였다. 악력에 대한 평가 시, 악력 수치는 체격과 크게 상관성이 존재함에 따라 체격으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고자 악력을 체중으로 나눈 상대악력 수치를 사용하였다. 이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성별 특이적 사분위수로 정의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성별,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어머니의 교육수준, 중등도 신체활동 빈도를 보정한 후 일반선형모델을 이용하여 만 7-9세 소아기 상대악력 수준이 만 13-15세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보정평균(adjusted mean)과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으로 제시하였으며, Tukey 방법을 통해 다중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소아기 상대악력 수준이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분위수 수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악력 분위수가 높아질수록 대사증후군 점수와 공복인슐린 및 HOMA-IR의 평균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모두 가장 낮은군(제1분위 수)과 높은군(제4분위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적 연관성 평가 결과에서도 상대악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사증후군 점수와 공복인슐린 및 HOMA-IR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란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만 7-9세 소아기 상대악력이 만 13-15세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 상대악력과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은 역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소년기 대사증후군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을 조기에 식별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의 예방적 요인으로 소아기 상대악력의 영향을 전향적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산출했다는 점에서 역학적 근거로서 의미가 있다. 상대악력은 근력의 대리지표로서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소아기 근력관리의 필요성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Metabolic syndrome (MetS)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several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primari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R). Preventing MetS during adolescence is crucial due to its high likelihood of causing various health issues in adulthood. Therefore, investigating and assessing health impacts across the life course is imperative. Previous studies hav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low handgrip strength (HG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he risk of MetS and IR. However, considering the life course approach, there is a lack of study evaluated the prospective association between HGS and MS and IR in children and adolesc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spectively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RHGS) in childhood and the development of MetS and IR in adolescenc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wha Birth and Growth Study data and selected participants who were followed up at ages 7 to 9 and 13 to 15 years, resulting in a total of 219 participants in the final study. The risk of MetS was evaluated using the continuous metabolic syndrome score (cMetS) and IR was assessed using fasting blood insulin (FBI)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To account for body size differences, RHGS was determined by dividing HGS by body weight, categorized into sex-specific quartiles, and used for analysis. A general linear model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RHGS in childhood on MetS and IR risk in adolescence, adjusting for sex, age, income, mother’s education,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Results are expressed as adjusted means and 95%CI, and a post ho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ukey’s method.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rends in the effect of RHGS quartile levels on MetS and IR risk. This study foun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RHGS levels in childhood and MetS and IR in adolescence. The higher the level of RHGS lead to the lower the cMetS, FBI, and HOMA-IR. Thes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By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RHGS and cMetS, its components, and IR in adolescence, the study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cMetS and IR with RHGS. Given the persistence of MetS into adulthood, early prevention of risk factor is important.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epidemiological evidenc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naging muscle strength in childhood to mitigate the risk of MetS and IR in adolesc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