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 Download: 0

무용작품 「빛-이」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작품 「빛-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horeographic Study on「Light-Being」(2022) of Lee, Haein
Authors
이혜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본 논문은 무용작품 「빛-이」의 구상부터 연습과정 그리고 공연된 작품의 전 과정을 연구하여 작품을 구상할 당시 안무자의 안무 의도가 공연된 작품에 드러났는지 분석한 연구이다. 「빛-이」는 ‘상실감’이 안무자 스스로의 삶에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극복되는지를 주제로 창작된 무용작품이다. 본 연구는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를 도출하고 안무가로서의 안무 철학을 구축하는 데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으로 작품 창작, 공연의 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1단계 작품 구상 → 2단계 안무 및 연습 → 3단계 공연 → 4단계 분석 및 결과도출의 4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주제와 음악을 선정하여 상실감을 주제로 작품의 기본 틀을 만들었다. 그리고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장별 소주제에 따라 구성하였다. 이후 완성된 안무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연습 내용은 연습일지에 기록하여 1차 자료를 구축하였다. 공연된 작품은 기록한 영상을 반복 시청하여 분석하였다. 무용작품「빛-이」의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빛-이」는 ‘상실감’을 움직임으로 형상화하여 주제를 무용으로 나타내었다. 안무자는 인간이 상실감을 인지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임을 이해하고 이를 안무에 녹여냈다. 상실감을 감정으로 표출하는 것은 상실감을 극복하고 내면이 평화를 찾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 둘째, 작품에서의 움직임은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표현하는 핵심 요소로 무용수의 상황과 정서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드러내었다. 내적인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독특한 호흡법을 활용하여 무용작품을 창작하고 연습한 결과, 공연된 작품 동작의 에포트와 속도감에 무용수의 상황과 정서가 녹아들었다. 따라서 무용수가 사용한 무용 메소드를 통하여 상실감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안무의도가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다. 셋째, 오브제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작품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상실감의 극복과 삶의 순환 등의 함축적인 의미가 있는 종이테이프가 상징적으로 활용되었고, 오브제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변형되었다. 그리하여 상실감의 극복을 표현하고자 한 작품의 결말이 극대화하여 표현되었다. 넷째, 안무자 본인이 참고한 소설로 인하여 무용작품의 주제의 일관성이 저하되었다. 작품의 안무 의도는 안무자 스스로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함에서 출발하였으나 상징적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서 소설에서 차용한 장면으로 인하여 주제 의식이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자는 본인이 창작한 무용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창작 활동을 돌아보는 특별한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본인이 창작한 무용작품을 연구하는 것은 안무자이자 무용수인 자신에게 매우 의미와 가치가 있었다. 구상부터 창작 과정까지의 세세한 분석을 통하여 안무자 스스로 창작 활동을 돌아보는 계기를 가질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은 안무자만의 창작 방법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공연 단계에서는 안무자가 지속해서 추구해 왔던 상실감의 극복을 무용작품으로 드러냄으로써 자신만의 고유한 개성을 나타내고, 작품세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안무자가 느낀 상실감과 그에 대한 극복을 주제로 무용 작품을 창작하여 공연하고 이것을 연구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인을 비롯한 한국의 다수 젊은 무용인들이 자기 작품과 무용에 대한 주체의식 없이 무용 활동을 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본인의 작품을 연구했다는 것은 나 스스로 내 춤 예술의 주체가 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을 분석하여 안무자의 작업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안무자는 창작과 연구가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로 통섭 되어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기와 연구를 병행하는 다른 안무자들에게 자신의 실기를 연구하는 하나의 사례가 될 것이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oreographic intent of the dance piece 「Light-Being」 from its conceptualization, practice process, to the analysis of the performed work, aiming to analyze whether the choreographer's intentions during the conception of the piece were manifested in the final production. 「Light-Being」 was created with the theme of ‘Numbness’ exploring how this emotion manifests in the choreographer's life and how it can be overcome. The research aims to extract the essence of the work through analysis, thereb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choreographer's philosophy. Employing Practice-Based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analyzed the entire process of creation, practice, and performance in four phases: 1) conceptualization of the piece, 2) choreography and practice, 3) performance, and 4) analysis and result derivation. The initial phase involved selecting the theme and music, forming the groundwork for a piece centered around ‘Numbness.’ Subsequently, movements were arranged according to chapter-specific subthemes to effectively express the central theme. The choreography was repeatedly practiced to achieve proficient execution and build primary data. Analyzing the recorded performance of the work revealed several findings. Firstly, the dance piece 「Light-Being」 embodied the theme of ‘Numbness’ through movement, wherein the choreographer incorporated the understanding of how humans perceive and symbolically express this emotion through choreography. Expressing ‘Numbness’ as an emotion was somewhat helpful in overcoming it and finding inner peace. Secondly, the movements within the piece served as a pivotal element in expressing the theme and content of the work, organically connecting the dancer's circumstances and emotions. The choreographer's unique utilization of breathing techniques effectively conveyed inner emotions, integrating the dancer's situations and emotions into the dynamism and pace of the performed piece. Therefore, the choreographer's intention of depicting ‘Numbness’ and its resolution through dance methods was effectively conveyed. Thirdly, proactive utilization of props effectively conveyed the essence of the piece. Symbolically, adhesive tapes representing the overcoming of 'loss' and the cycle of life were employed, altering their significance based on their placement. Consequently, the resolution of ‘Numbness’, intended in the piece, was accentuated. Fourthly, the coherence of the theme within the dance piece was compromised due to the choreographer's reference to a novel. Although the choreographic intent stemmed from the choreographer's personal experience of overcoming ‘Numbness’, incorporating symbolic scenes from the novel blurred the thematic focus. Analyzing and scrutinizing the self-created dance piece offered the researcher a unique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in their creative endeavors. The investigation held significant meaning and value for the choreographer, serving as a platform for detailed self-reflection from conception to creation. This process played a crucial role in exploring the choreographer's unique creative methods. Additionally, during the performance stage, the choreographer's persistent pursuit of overcoming ‘Numbness’ through the dance piece allowed for the manifestation of a distinctive individuality and establishment of the artistic wor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loring the choreographer's experience of ‘Numbness’and its resolution through the creation and analysis of a dance piece. It signifies a shift towards recognizing oneself, including many young dancers who engaged in dance activities without a sense of ownership over their work. Furthermore, this analysis of the piece unveiled the choreographer's working style, elucidating that creation and research are not isolated but interconnected. Consequently, this study serves as an example for other choreographers balancing practice and research simultaneous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