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 Download: 0

가야금병창 <심청가> 中 '방아타령', '어전사령' 비교 연구

Title
가야금병창 <심청가> 中 '방아타령', '어전사령'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Gayageum Byeongchang ‘Banga taryeong’ and ‘Eojeonsaryeong’ : Focused on the Performances of Park Gwi-hee and Jung Ye-jin
Authors
권도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nga taryeong’ and ‘Eojeonsaryeong’ sections in the gayageum byeongchang (Korean traditional singing accompanied by the gayageum), performed by Park Gwi-hee and Jung Ye-jin in the .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scores transcribed from Park Gwi-hee's live performance recordings and the scores included in Jung Ye-jin's publication. The investigation categorizes and examines the structures and lyrics, composition of rhythm, melody and sigimsae, gayageum accompaniment using four criteria. The source recordings from Park Gwi-hee's live performances, which are currently being passed down as part of the Park Gwi-hee tradition, differ in mus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present renditions of ‘Banga taryeong’ and ‘Eojeonsaryeong.’ Based on the scores transcribed from Jung Ye-jin, who is currently transmitting the Park Gwi-hee gayageum byeongchang, and the scores transcribed from the live recordings of Park Gwi-hee, we will compar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performers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dditionally, we will examine certain aspects of the reorganization process in Park Gwi-hee's gayageum byeongcha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nga taryeong’ section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of the structure and lyrics of ‘Banga taryeong’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Park Gwi-hee's lyrics are organized within seven maru, consisting of seven choruses, six verses, and one closing section. Jung Ye-jin's lyrics are structured within eight maru, comprising seven choruses, seven verses, and one closing section. In the case of Jung Ye-jin's ‘Jajin Banga taryeong,’ it is composed of nine sections within nine maru, including eight choruses, seven verses, and one closing section. Classifying the lyrics from both performers, there are six common lyrics, four similar lyrics, and forty-three distinct lyrics.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rhythmic structures of ‘Banga taryeong’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Park Gwi-hee's version consists of a total of Thirty-seven Jungjungmori jangdan, while Jung Ye-jin's version is comprised of forty Jungjungmori jangdan and 34 hwijungjungmori-Jungjungmori jangdan. Both performers predominantly utilize phrases with a daemadi-daejangdan rather than eosbutim in their rhythmic patterns. In terms of rhythmic configurations, they share four types: ①3-beat form, ②2-beat form, ③3+2-beat form, and ④2+3-beat form. Third, the comparison of the melody and sigimsae in ‘Banga taryeong’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Park Gwi-hee's rendition is characterized by the “A-boncheong Gye-myeon-jo”, while in Jung Ye-jin's versions of ‘Banga taryeong’ and ‘Jajin Banga taryeong’, “A-boncheong Gye-myeon-jo” and “G-boncheong pyeong-jo” modes appear. Regarding sigiasae typ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six types, including ①Ttoesung(slurring), ②Jjikneun-mok(plucking the string), ③Kkeokneun-mok(bending the neck), ④Gamneun-mok(closing the neck), ⑤Chuseong(blowing), and ⑥Mileo ollineun-mok(lifting by pushing), Park Gwi-hee's ‘Banga taryeong’ lacks ④Gamneun-mok, ⑤Chuseong, and ⑥Mileo ollineun-mo k. In Jung Ye-jin's ‘Banga taryeong,’ ⑥Mileo ollineun-mok(lifting by pushing) is not present, and in ‘Jajin Bangatataryeong,’ ⑤Chuseong(blowing) does not appear. Fourth, in the comparison of gayageum accompaniments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in ‘Banga taryeong’, Park Gwi-hee exhibits five types of rhythmic patterns (㉮, ㉯, ㉰, ㉱, ㉲), each with variations. On the other hand, Jung Ye-jin presents seven types of rhythmic patterns (Ⓐ, Ⓑ, Ⓒ, Ⓓ, Ⓔ, Ⓕ, Ⓖ), with variations in all patterns except Ⓕ. In the case of Jung Ye-jin's ‘Jajin Banga taryeong’, three types of rhythmic patterns (ⓐ, ⓑ, ⓒ) are observed, and variations occur in all patterns. Next, the comparison of the ‘Eojeonsaryeong’ section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is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structure and lyrics of ‘Eojeonsaryeong’ by Park Gwi-hee and Jung Ye-jin, Park Gwi-hee's version consists of four maru, while Jung Ye-jin's version is composed of three maru. Additionally, there are four common lyrics, six similar lyrics, and eight distinct lyrics between the two performers. In the ‘Eojeonsaryeong’ sections of both artists, subtle differences in words, syllables, and phrases were observed, but the overall narrative flow exhibited similarities in content.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Eojeonsaryeong’ section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reveals the following.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lyrics, Park Gwi-hee's rendition consists of fifteen Jungjungmori jangdan, while Jung Ye-jin's version is comprised of thirteen Jungjungmori jangdan. Furthermore, Additionally, Park Gwi-hee's version consists of thirteen daemadi-daejangdan and two eosbutim, while Jung Ye-jin's rendition is structured solely with large phrases, without the presence of eosbutim. Regarding rhythmic patterns, Park Gwi-hee's score features five types: ①3-beat form, ②2-beat form, ③3+2-beat form, ④2+3-beat form, and ⑤2-beat and 3-beat cross pattern. On the other hand, Jung Ye-jin's score lacks the ③3+2-beat form, setting it apart from Park Gwi-hee's rendition. Third, in comparing the melody and sigimsae of ‘Eojeonsaryeong’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both artists utilize the “A-boncheong Gye-myeon-jo”. Regarding sigimsae typ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including the ①Ttoesung(slurring), ②Jjikneun-mok(plucking the string), ③Kkeokneun-mok(bending the neck), ④Gamneun-mok(closing the neck), ⑤paneun-mok(bending the neck). Notably, in Jung Ye-jin's score, the pattern of striking the bridge ②Jjikneun-mok(plucking the string) does not appear. Fourth, in the comparison of gayageum accompaniments between Park Gwi-hee and Jung Ye-jin in ‘Eojeonsaryeong’, Park Gwi-hee presents two rhythmic patterns (㉮, ㉯), while Jung Ye-jin introduces two patterns (Ⓐ, Ⓑ), each with variations. However, a notable difference is observed in Jung Ye-jin's rendition, where, for a transitional atmosphere to the next section, ‘Cheonji Shinryeongnimi,’ two additional jangdan of gayageum playing in the jungmori are included. The comparison of the scores of ‘Banga taryeong’ and ‘Eojeonsaryeong’ in Park Gwi-hee and Jung Ye-jin's gayageum byeongchang in revealed differences in mus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tructure and lyrics, composition of rhythm, melody and sigimsae, gayageum accompaniment. This analysis provided insights into the diverse interpretations and expressions of the two performers in the selected sections of .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incorporating informal recordings of Park Gwi-hee's performances, could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ary process in the reinterpretation and preservation of gayageum byeongchang. Through such studies, a deeper understanding and systematic documentation of the changes in the music, especially within the context of Park Gwi-hee's gayageum byeongchang, can be achieved, aiding in its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본 연구는 박귀희와 정예진 가야금병창 <심청가> 중 ‘방아타령’, ‘어전사령’ 두 대목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는 것이다. 박귀희의 공연 실황 녹음본을 채보한 악보와 정예진 저서에 실린 악보를 구조와 사설, 장단 구성, 악조와 시김새, 가야금 반주 네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박귀희의 공연 실황 녹음본에 취입된 음원은 현재 박귀희제로 전승되고 있는 ‘방아타령’, ‘어전사령’과 음악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현재 박귀희제 가야금병창을 전승하고 있는 정예진의 악보와 위 녹음본을 채보한 악보를 바탕으로 두 창자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여 동이점을 찾고, 박귀희 가야금병창 재편 과정의 일부를 살펴볼 것이다. 박귀희와 정예진 ‘방아타령’ 대목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귀희와 정예진 ‘방아타령’의 구조와 사설을 비교한 결과 박귀희의 사설은 7개의 마루 안에서 후렴구 7개, 절 6개, 종지구 1개로 짜였다. 정예진 사설의 경우 8개의 마루 안에서 후렴구 7개, 절 7개, 종지구 1개로 구성되었으며 정예진 ‘자진 방아타령’의 경우 9개의 마루 안에서 후렴구 8개, 절 7개, 종지구 1개로 이루어졌다. 두 창자의 사설에서 6개의 공통 사설, 4개의 유사 사설, 43개의 상이 사설로 분류된다. 둘째, 박귀희와 정예진 ‘방아타령’의 장단 구성을 비교한 결과 박귀희는 총 37개의 중중모리 장단, 정예진은 40개의 중중모리 장단과 34개의 휘중중모리-중중모리 장단으로 이루어졌다. 두 창자 모두 장단 붙임새에 있어 엇붙임보다 대마디 대장단으로 짜여진 부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출현 리듬꼴로는 ①3박형 리듬꼴 구조, ②2박형 리듬꼴 구조, ③3·2박형 리듬꼴 구조, ④2·3박형 리듬꼴 구조 네 가지 유형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셋째, 박귀희와 정예진 ‘방아타령’의 악조와 시김새를 비교한 결과 박귀희는 A본청 계면조 선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예진의 ‘방아타령’과 ‘자진 방아타령’에서는 A본청 계면조, G본청 평조 두 가지 선법이 나타난다. 출현 시김새 유형으로는 ①퇴성, ②찍는 목, ③꺾는 목, ④감는 목, ⑤추성, ⑥밀어 올리는 목 여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박귀희 ‘방아타령’에서는 ④감는 목, ⑤추성, ⑥밀어 올리는 목이 나타나지 않는다. 정예진 ‘방아타령’에서는 ⑥밀어 올리는 목, ‘자진 방아타령’에서는 ⑤추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박귀희와 정예진 ‘방아타령’의 가야금 반주를 비교한 결과 박귀희의 경우 ㉮, ㉯, ㉰, ㉱, ㉲ 다섯 가지 유형의 리듬형이 나타나며 각 리듬형에서 변형이 이루어졌다. 정예진의 경우 Ⓐ, Ⓑ, Ⓒ, Ⓓ, Ⓔ, Ⓕ, Ⓖ 일곱 가지 유형의 리듬형이 나타나며 Ⓕ를 제외한 모든 리듬형에서 변형이 이루어졌다. 정예진 ‘자진 방아타령’의 경우 ⓐ, ⓑ, ⓒ 세 가지 유형의 리듬형이 나타나고 모든 리듬형에서 변형이 이루어졌다. 박귀희와 정예진의‘어전사령’ 대목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귀희와 정예진 ‘어전사령’의 구조와 사설을 비교한 결과, 박귀희는 4개의 마루, 정예진은 3개의 마루로 이루어졌다. 또한 4개의 공통 사설, 6개의 유사 사설, 8개의 상이 사설이 나타났다. 두 창자의 ‘어전사령’에서는 단어와 음절, 어절의 근소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인 이야기 흐름으로는 내용이 유사했다. 둘째, 박귀희와 정예진 ‘어전사령’의 장단 구성을 비교한 결과 박귀희는 중중모리 15개 장단, 정예진은 중중모리 13개 장단으로 짜였다. 또한 박귀희는 13개의 대마디 대장단과 2개의 엇붙임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예진의 경우 대마디 대장단으로만 구성되어 엇붙임이 나타나지 않는다. 출현 리듬꼴 유형으로는 박귀희 악보에서 ①3박형 리듬꼴 구조, ②2박형 리듬꼴 구조, ③3·2박형 리듬꼴 구조, ④2·3박형 리듬꼴 구조, ⑤2박·3박 교차형 리듬꼴 구조 다섯 가지가 나타나지만, 정예진의 경우 ③3·2박형 리듬꼴 구조가 출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박귀희와 정예진 ‘어전사령’의 악조와 시김새를 비교한 결과 박귀희와 정예진 모두 A본청 계면조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시김새 유형으로는 ①퇴성, ②찍는 목, ③꺾는 목, ④감는 목, ⑤파는 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정예진 악보에서는 ②찍는 목이 출현하지 않는다. 넷째, 박귀희와 정예진 ‘어전사령’의 가야금 반주를 비교한 결과 박귀희 ㉮, ㉯ 정예진 Ⓐ, Ⓑ 와 같이 두 가지 리듬형이 나타났고 각 리듬형의 변형 또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예진의 경우 ‘어전사령’의 다음 대목인 ‘천지 신령님이’ 대목을 위한 분위기 전환으로 중모리 두 장단의 가야금 연주가 추가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상 박귀희와 정예진 가야금병창 <심청가> 중 ‘방아타령’, ‘어전사령’의 악보를 통해 구조와 사설, 장단 구성, 악조와 시김새, 가야금 반주를 비교한 결과 음악적 특징에 동이점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방아타령’과 ‘어전사령’대목의 다양한 음악적 해석과 표현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박귀희의 비공식 음원을 자료로 택하여 현재 박귀희제 가야금병창으로 전승되는 대목과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음악의 변화 과정을 더욱 체계화하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박귀희제 가야금병창을 더욱 심도 있게 이해하고 전승·보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