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축소도시의 축소양상 및 구조적 특성이 도시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축소도시의 축소양상 및 구조적 특성이 도시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Shrinkage Pattern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hrinking Cities on Urban Residents' Life Satisfaction
Authors
박윤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헌민
Abstract
현재 국내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많은 도시들이 인구 감소에 직면하고 있다. 지속적인 과정으로 예측되고 있는 현 시대의 인구 감소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큰 변화이며, 이는 도시의 발전과 주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의 감소는 도시의 지속 가능성에 크게 도전하며,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으로 도시계획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여정에 첫 걸음은 도시민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가 될 수 있다. 도시민은 단순히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넘어서, 도시의 정체성, 문화, 경제,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핵심 주체이다. 이들이 도시라는 공간에서 영위하는 삶을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은 도시 계획 및 정책 결정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는 도시민의 필요와 기대를 반영하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인 단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축소도시의 인구감소 양상 및 구조적 특성이 도시민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축소도시의 인구 감소의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인구 감소 여부만이 아닌 인구 감소의 양상을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축소하는 맥락에서 도시의 적응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도시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도시민의 삶의 만족도가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축소도시의 축소 양상과 구조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축소 양상은 강도와 기간으로 구분하여, 인구가 감소한 크기와 기간을 반영하였다. 구조적 특성은 산업구조측면에서 산업구의 다양성, 도시계획측면에서 확장적 도시계획 방식, 지리적 측면에서 대도시와의 근접성을 포함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소득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로 구분하여 포함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의 축소도시이다. 축소도시는 인구가 정점에 도달한 뒤 감소하고 있는 도시를 나타낸다. 국내 축소도시를 판별하기 위하여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1996년부터 2021년 사이에 인구가 정점에 도달한 뒤 감소하고 있는 도시를 식별하였다. 그 외의 도시들은 비 축소도시로 분류하고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방법은 패널회귀분석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소 양상 중 축소의 강도(인구감소의 정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소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인구의 감소가 도시의 삶의 질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기존 논의들이 주관적 삶의 질인 삶의 만족도 측면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축소의 강도는 주거환경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어, 인구 감소의 긍정적인 효과를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구 감소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축소의 기간은 소득 만족도와 주거환경 만족도에 부정적인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인구 감소의 크기와는 다르게, 인구 감소의 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주민들의 삶의 만족감이 저하 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도시의 구조적 특성 중 산업 다양성이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소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축소도시의 산업이 다양한 부문에 걸쳐 활성화 되어 있을수록,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도시의 구조적 특성 중 확장적 계획방식이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면적의 확대가 더 진행된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소득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발행위 허가가 많이 이루어진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소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도시의 구조적 특성 중 대도시와의 근접성은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대도시와 지리적으로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소득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논의해볼 수 있다. 첫째, 인구 감소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인구 감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인구 감소의 효과에 관한 논의에 비하여 경험적 연구들이 부족했었다. 특히 본 연구는 인구 감소 여부 뿐 만이 아니라, 인구 감소의 강도와 기간에 따라 다른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축소 양상에 따라 차별화 된 도시계획과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인구 감소가 지속되는 도시에 대해서는 침체나 쇠퇴와 같은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 고유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기반으로 새로운 도시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축소로 인한 유휴 공간을 재창조 하여 지역에 새로운 활기를 찾아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도시의 구조적 특성을 주요 영향 요인으로 제시하였고, 통계적 검증을 통해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동안 축소도시 삶의 질 연구가 주로 인구에만 초점을 두었던 것에 비하여, 본 연구는 새로운 차원으로 삶의 질 연구를 확장하였다. 축소도시 주민의 삶의 만족도는 도시가 인구 감소의 변화에 더 적응하고, 안정을 찾는데 유리한 구조적 특성을 가질 경우 높아 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정부는 인구의 유치를 목표로 하는 정책보다 도시의 안정과 적응, 회복과 관련된 구조적 발전을 목표로 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산업 다각화를 통한 도시의 안정성 제고, 주민들의 수요와 도시 공간의 효율을 전제로 하는 도시의 개발계획, 지리적으로 소외된 도시들을 위한 정책적 고려 등 도시의 구조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이 더 집중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Cit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ose domestically, are facing population decline. The ongoing trend of population decrease is anticipated to continue. This continual decline in population can significantly affect urban development and the lives of residents. Population decrease challenges the sustainability of cities. To address this, a shift in urban planning is required, focusing not on quantitative growth but on qualitative growth. To foster qualitative development of a cit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life of its residents. Urban residents are more than just people living in a city; they are the key agents who shape and maintain the city's identity, culture, economy, and social structure. Exploring how they perceive and evaluate their lives within the urban space is a crucial aspect of urban planning and policy-making. This becomes an indispensable step in establishing effective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city's inhabitan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population decline pattern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hrinking c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effects of population decline in shrinking c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fact of population decrease but also the nature of this decline. Furthermore, this study took into account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can be influenc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ities, which can contribute to urban adap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hrinkag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atterns of shrinkag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hrinking citi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patterns of shrinkage were differentiated into intensity and duration, reflecting the magnitude and period of population decl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diversity of industrial structure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the expansionary urban planning approach from an urban planning perspective, and proximity to major cities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fe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nd included as overall life satisfaction, income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shrinking cities. Shrinking cities are defined as those that have experienced a population peak followed by a decline. To identify shrinking cities, basic local government units were examined to find cities that reached a population peak between 1996 and 2021 and then experienced a decline. Other cities were classified as non-shrinking cities and wer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method of analysis is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nsity of shrinkage (the degree of population decline) was found to have no impact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intensity of shrinkag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partially confirming the positive effects of population declin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reducing negative biases towards population decreas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duration of shrinkage negatively affects income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Unlike the magnitude of population decline, a prolonged duration of population decrease can lead to a reduction in residents' life satisfaction. Thirdly, amo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ities, industrial divers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in shrinking cities, the more diversified the industries are, the higher the residents' life satisfaction becomes. Fourthly, amo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ities, it was found that an expansionary planning approa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residents' life satisfaction. Residents living in shrinking cities with more extensive urban areas showed higher income satisfaction. Additionally, residents in shrinking cities where more development permits have been granted demonstrated higher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satisfaction. Fifthly, amo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ities, proximity to major cities was confirmed to be a positive factor in residents' life satisfaction. Residents living in shrinking cities that are geographically close to major cities showed higher overall life satisfaction, income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population decline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possible to enhance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population decline.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population decrease, not just the fact of decrease. Such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urban planning and policie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shrinkage. Particularly for cities with ongoing population declin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urban image associated with stagnation or decay. Discovering a new urban identity based on the unique values and beauty of the city, and reimagining unused spaces due to population decline to bring new vitality to the area, can be beneficial Particularly for cities with ongoing population declin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urban image associated with stagnation or decay. Discovering a new urban identity based on the unique values and beauty of the city, and reimagining unused spaces due to population decline to bring new vitality to the area, can be beneficial. Secondly,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ities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shrinking cities, and confirmed this relationship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While previous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in shrinking cities primarily focused on the population aspect, this study expanded the research into a new dimensi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shrinking cities can increase if the city possess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advantageous for adapting to and stabilizing in the face of population decline. Therefore, city governments may find it more effective to focus on structural development related to stability, adaptation, and recovery, rather than solely on policies aimed at attracting population. Particularly,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more focused efforts on exploring structural improvement strategies for cities, such as enhancing city stability through industrial diversification, urban development plans based on residents' needs and efficient use of urban space, and policy considerations for geographically marginalized c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