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위한 강점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Title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위한 강점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trength-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Families
Authors
김나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PTR-F, 부모교육, 긍정심리, 코칭,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발달장애 아동은 비장애아동이나 다른 유형의 장애아동에 비하여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보일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달장애 아동과 부모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했을 때, 발달장애 아동의 핵심적 지원체계인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 적응을 돕는 지원은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를 예방하거나 그것이 아동 자신과 가족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장애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에서도 자녀의 문제행동이나 적절한 양육 방법에 관한 실제적 교육 및 상담지원 요구가 많았으며 학교에서의 지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정서·행동적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요구에 부응하면서도 증거기반의 요소를 갖춘 체계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 문제를 자신 있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위한 강점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으로 가정에서의 예방·교수·강화(이하 PTR-F)의 절차와 긍정심리치료, 해결중심상담의 요소를 반영하였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증거기반의 발달장애 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형식과 전달방식을 검토하여 집단교육과 개별지원을 병행하고 온라인 코칭을 통해 부모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부모가 자녀를 위한 전략 실행을 위한 시청각적 지원자료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행동지원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만 6세~12세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총 10회기 중 전반부 2~7회기에는 행복증진 관련 주제와 PTR-F 관련 주제를 순차적으로 다루는 집단교육을 진행하였으며, 댓글 피드백이나 전화상담 등의 개별지원을 병행하였다. 후반부 8, 9회기에는 온라인 코칭이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으로 8회기에는 전략 연습 점검을, 9회기에는 비디오 코칭을 통한 전략 실행 점검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부모의 행동지원 효능감, 주관적 안녕감,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각 종속변인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대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회적 타당도 검사지 응답과 연구 참여자 개별면담 및 포커스그룹면담(FGI)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행동지원 효능감은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주관적 안녕감은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경우 삶의 만족도 영역과 긍정정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은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경우 가족의 인격적 성숙, 장애자녀로 인한 긍정적 정서, 가족의 역량강화, 직업관련 능력 향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발달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은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를 대상으로 면담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매우 높은 만족도와 수용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가능성을 높이고자 증거기반의 실제 요소를 포함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 기존의 1:1 가정방문 형식의 PTR-F 모델을 학교 차원의 집단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행동지원을 다루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부모의 적응을 돕는 심리적 지원 요소를 포함하였다는 점과 발달장애 아동 및 그 가족의 건강성에 주목하여 종속변인을 설정하였다는 데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exhibit elevated incidenc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ose with other disability types. Conside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the provision of empowerment and adaptive assistance for parents, the pivotal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mperative to prevent emotional and behavioral issues in these children or to mitigate their adverse effects on the lives of children and families. There is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involving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many requests for practical training and counseling support regarding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appropriate parenting methods, and that they hope for support at school. Nevertheless, there is a pronounced deficiency of systematic parent training programs domestically that fulfill the necessiti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display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corporate elements of evidence-based practices. Thus, this study developed strength-based parent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families to empower parents to confidently and efficaciously address behavioral problem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ogram includes the process of Prevent-Teach-Reinforce for Families(PTR-F), an evidence-based practices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families, alongside practical exercises in well-being enhancement through positive psychotherapy, and techniques from solution-focused counseling as core components. This study integrated both collective instructional sessions and personalized guidance, and facilitating parental execution via online coaching by reviewing the structure and delivery methods of evidence-based parent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ed in foreign country. Concurrently, a behavior support application was designed to assist parents in crafting audiovisual support resources to implement strategies for their children.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 series of sessions were conducted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6 to 12 years old. Out of a total of 10 sessions, during the initial phase of the program, sessions 2-7 constituted group training that methodically addressed topics related to well-being enhancement and PTR-F and complemented by individualized support like comment feedback and telephonic consultations. In the latter phase of the program, specifically in sessions 8 and 9, offered online coaching, which included strategy practice review in session 8 and strategy implementation review processes via video coaching in session 9.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parental efficacy in behavior support, subjective well-being of parents, and positive perceptions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parents, as well as on the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utilized to measure changes from pre-test to post-test for each dependent variable. The social validity was ascertained by analyzing responses to the social validity questionnaire, along with findings from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al efficacy in behavior support showed significant improved following the program.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arent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In the subdomains, a significant statistical elevation was seen in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al states. Third, it was found that positive perceptions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Particularly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b-areas of familial personal maturity, positive emotions attributed to the child with a disability, family empowerment, and enhancement of work-related competencies. Four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But sub area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Fifth,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 participants reported high satisfaction and acceptability with this program. The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d evaluated a parent training program integrating evidence-based practices elements to augment the propensity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families. This study was also significant in that entails the reconstitution of the 1:1 home visit format PTR-F model into a parent training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found meaning in the fact that the parent training program dealing with behavior support included psychological support elements to help parents adapt, and that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by focusing on the health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