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손소희 소설의 공간과 젠더 수행성 연구

Title
손소희 소설의 공간과 젠더 수행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ce and Gender Performativity in the Novels of Son So-hee
Authors
한혜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손소희, 공간, 젠더수행성, 페미니즘 지리학, 여성 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본고는 페미니즘 지리학을 바탕으로 손소희 소설에 나타난 공간과 젠더 수행성 간의 긴밀한 연관을 살펴보고, 이분법적으로 젠더화된 공간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여성 인물들의 젠더 수행성을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손소희 작품에 관한 연구는 가장 최근의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특정 시대나 작품별로 편중되어 있거나 소설 속 여성 인물들에 대하여 여전히 다소 편향된 분석에 머물러있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무엇보다 손소희의 작가 의식이나 작품 속 여성 인물들에 대하여 소위 ‘전통적인 여성’으로의 회귀 양상이 한계로 지적된다거나 ‘여성적’ 혹은 ‘여성 작가 특유’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식의 평가들, 그리고 이러한 평가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는 이분법적이고 이원화된 공간에 대한 시각에서 벗어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간과 더불어 젠더의 속성들을 양극화하여 구분하는 방식과 성차를 이원적으로 나누어 해석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손소희 작품에 나타난 여러 스케일의 공간적 차원에서 여성 인물들이 보이는 역설적이고 전복적인 다양한 젠더 수행성을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범주화가 고착된 가부장제 가족 이데올로기 속에서 페미니즘적 주체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소설 속 여성들은 그들의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역동적이고 체제 저항적인 사고와 행동의 과정들을 통해 세계와 공간 속에 새로운 여성 공간을 기입한다. 이는 남성적 관념으로 포착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남성을 기준으로 규정된 여성적 특징과는 거리가 먼 젠더 수행성이다. 이를 위해 손소희 소설에 나타난 ‘몸’이라는 가장 작은 스케일의 장소로부터 일터를 포함한 공공장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장소에서 어떠한 공간 규칙이 관철되고 있는지, 나아가 다양한 스케일의 장소성이 상호 연관되면서 손소희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젠더 수행이 어떠한 정치적 가능성들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손소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 공간과 여성 인물들의 젠더 수행을 분석하기 위해 페미니즘 지리학의 젠더-공간 이론과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을 방법론으로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소설 속 공간을 몸, 가정, 일터의 층위로 나누어 페미니즘 주체의 행위주체성(agency)과 수행적인 젠더로서의 젠더정체성을 살펴보게 된다. 연구 대상은 손소희 생애에 발표되어 손소희 전집에 수록된 장편소설과 단편소설로 하되 구체적인 분석 대상으로는 여성 인물들의 젠더수행성이나 작가의 여성 의식이 부각되는 작품들에 보다 초점을 맞추었다. 각 장의 A절에서는 해당 스케일에서 기존의 젠더화된 이원적 구조의 경계를 위반하거나 밖으로 탈주하는 여성 인물들의 젠더 수행을 통해 기존의 영토화된 공간에서의 탈영토화 양상을 살펴보게 된다. 각 장의 B절에서는 여성들이 해당 스케일의 경계 안에서 저항하며 기존의 영토화된 공간을 재영토화하는 모습을 조명한다. 이는 정체성이 탈영토화와 재영토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과정임을 상기할 때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유동적인 젠더 수행성을 파악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손소희의 소설 속에 나타난 가부장제 사회구조 속에서 여성 인물들이 이분법적으로 젠더화된 공간의 질서/경계를 위반하고 공간의 안/밖을 동시에 점유하여 페미니즘 주체로서 보여주는 젠더 수행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몸의 스케일에서 손소희는 소설 속 여성들의 몸을 전통적이고 이분법적인 경계에서 이탈하도록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여성 전반에 확산되어 있는 몸의 부자유와 공간 이동에 대한 제한이라는 젠더 규율을 교란시키는 행위이다. 또한 임신한 주체들은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으로 규정된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남성화된 공적 공간의 한복판에 가정이 아닌 새로운 모성적 공간을 창출한다. 모성의 문제 역시 여성의 주체성을 강화하는 선택의 영역이자 가능성의 영역으로 접근함으로써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이라는 이분법적 경계를 오가는 모성의 수행을 통한 성적 해방의 정치를 발견할 수 있다. 가정의 스케일에서 손소희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가정에서 어머니나 아내라는 단일한 정체성으로 규정되지 않으며 탈가정의 공간을 모색하기도 하고 공적 수행의 행위주체자로서의 모습을 복합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가내 젠더 레짐을 둘러싼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의 경계가 무너지며 이중적 공간 점유가 이루어진다. 또한 권력 관계를 중점으로 삼는 가부장적 가정 공간에서 여성 인물들이 스스로의 욕망을 직시하고 감정적 애착 관계의 대상을 선택하여 집중하기도 하는데 이처럼 가정이라는 젠더 레짐에서 주체적인 위상을 점유하고 이로부터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다는 것은 가부장제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여성의 주체성과 가정 공간의 양가성을 시사한다. 지배적인 주체로 군림하는 가부장에게 역설적인 복종을 반복함으로써 가부장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폭로하고 와해시키는 한편 가부장이 부재하는 가정 내에서 자립적이고 경제적인 주체로서의 수행을 통해 다양한 가정성의 형태를 전유하는 여성들의 통해 가내 젠더 레짐의 안밖을 오가는 다중적인 젠더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 일터의 스케일에서 손소희는 여성의 노동이 가정의 영역을 벗어나 공적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젠더화된 노동공간을 그리는 한편 일터에서 타자화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여성 주체들이 저항전략을 찾아가는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 인물들이 구시대적인 관습과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여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들의 노동 공간이 변화하고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서 경제적 주체화를 이루는 모습들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 속 여성들은 이중의 젠더화로 구성된 일터 공간을 탈구조화하여 노동 공간의 이분법적 구조를 해체하는 젠더 수행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는 노동시장의 양극화로 인해 여성이 노동 공간의 특정 영역으로 분리되는 이중노동시장의 젠더화된 경계들에 도전하고 여성 노동의 주체화를 실현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이상의 고찰들을 통해 각 스케일에서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의 이분화된 경계의 안밖을 넘나들며 젠더화된 공간을 탈구축하고 재구성하는 여성들의 정치적 젠더 수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남성 중심적인 지식 구조의 시각으로는 그 양상과 다양한 가능성들이 포착되기 어려운 젠더 수행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손소희 작가와 그의 작품들에 대한 평가를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나아가 손소희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젠더 수행과 이를 통해 기존의 이원적 지식 구조를 탈구축하는 작가의 문학적 실천이 어떠한 미학적 정치성을 가능하게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여성 문학을 넘어 문학장 자체에 작동하는 이원화된 구조를 탈구축하는 유의미한 과정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space and gender performativity and to examine the gender performativity of female characters who dismantle and reconstruct dichotomously gendered spaces in Son So-hee's novels. Except for some of the most recent studies, research on Son So-hee's works still has the problem of being biased toward specific periods or works or remaining in a somewhat biased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s. Above all, there are evaluations of Son So-hee'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the female characters in her works, such as pointing out that her tendency to return to the so-called ‘traditional woman' i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r that she shows aspects that are 'feminine' or 'unique to female writers'; Research that moves away from the dichotomous and dualistic view of space that is presented as the basis for evaluation needs to be conducted more actively. To achieve thi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method of polarizing and distinguishing the attributes of gender as well as space and the method of interpreting sexual difference in a dualistic manner. Based on the above critical awarenes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various paradoxical and subversive gender performativity displayed by female characters at various spatial scales in Son So-hee's works. Basically, the women in the novel who build their identity as feminist subjects within a patriarchal family ideology that is entrenched in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categorization, regardless of their success or failure, enter the world and space through a process of dynamic and system-resistant thinking and action. Create a new female space within. This is a gender performativity that is not only difficult to capture with masculine concepts, but is also far from feminine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n. To this end, what spatial rules are being implemented in places of various scales, from the smallest scale of the 'body' in Son So-hee's novels to public places including workplaces, and furthermore, as the places of various scales are interconnected, We sought to examine what kind of political possibilities the gender performance of female characters shows. In this paper, we apply feminist geography's gender-space theory and Judith Butler's gender identity theory as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female space and gender performance of female characters in Son So-hee's novels. Specifically, the space in the novel is divided into the layers of body, home, and workplace to examine the agency of feminist subjects and gender identity as a performative gender.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the full-length novels and short stories published during Son So-hee's life and included in Son So-hee's collection, but the specific analysis was focused on works that highlighted the gender performativity of female characters or the writer's female consciousness. Section A of each chapter examines the deterritorialization aspect in the existing territorialized space through the gender performance of female characters who violate or escape the boundaries of the existing gendered binary structure at the relevant scale. Section B of each chapter highlights how women resist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scale and reterritorialize the existing territorialized space. This is a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fluid gender performativity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 when we remember that identity is a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simultaneously. Through this, we attempted to examine the gender performativity shown by female characters as feminist subjects by violating the order/boundaries of dichotomously gendered space and occupying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within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shown in Son So-hee's novel. In the scale of the body, Son So-hee shapes the bodies of women in the novel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and dichotomous boundaries, an act that disrupts the gender rules of physical inconvenience and restrictions on spatial movement that were widespread among women at the time. In addition, pregnant subjects do not remain in the private sphere of the home, but create a new maternal space, not a home, in the middle of a masculinized public space. By approaching the issue of motherhood as a realm of choice and possibility that strengthens women's subjectivity, Son So-hee is able to discover the politics of sexual liber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of motherhood that moves between the dichotomous boundaries of private and public space. At the domestic scale, the female characters in Son So-hee's novels are not defined by a single identity as a mother or wife at home, but sometimes seek a space outside the home and show complex roles as agents of public performance. Through this, the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 surrounding the household gender regime collapses, resulting in dual space occupation. In addition, in the patriarchal domestic space where power relations are the focus, female characters face their own desires and select and focus on the object of emotional attachment. In this way, they are able to occupy a subjective position in the gender regime of the home and enjoy pleasure from it. This suggests the ambivalence of women's subjectivity and domestic space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patriarchal structure alone. By repeating paradoxical obedience to the patriarch who reigns as the dominant subject,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al ideology are exposed and broken down, while women appropriate various forms of domesticity by performing as independent and economic subjects within a family where the patriarch is absent. Multiple gender performances that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ehold gender regime can be confirmed. In the scale of the workplace, So-hee Son depicts the gendered labor space that women encounter as they leave the domestic sphere and enter the public sphere, while also showing how female subjects who object to being othered in the workplace find resistance strategies. is giving She can see that the process of female characters breaking away from outdated customs and patriarchal ideologies and transforming into independent women parallels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work space and achieving economic subjectification as women with jobs. The women in the novel also demonstrate gender performance by destructuring the workplace space composed of double gendering and dismantling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he labor space. This is a dual labor market in which women are separated into specific areas of the labor space due to the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It is revealed as an aspect of realizing the subjectification of women's labor by challenging the gendered boundaries of and restructuring the gender order of the workplace. Through the above consideration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political gender performance of women who deconstruct and reconstruct gendered spaces by crossing inside and outside the dichotomous boundaries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at each scale. These are gender performances whose aspects and various possibilities are difficult to cap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 male-centered knowledge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an evaluation of artist Son So-hee and her works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Furthermore, through the gender performance of the female characters in Son So-hee's novels and through this, we can see what kind of aesthetic politics the author's literary practice of deconstructing the existing dual knowledge structure enables. This could be part of a meaningful process of deconstructing the dualistic structure that operates beyond women's literature and literary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