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 Download: 0

명사절 표지 '-ㄴ/ㄹ 것' 연구

Title
명사절 표지 '-ㄴ/ㄹ 것'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clausal nominalizer '-eun/eul ges'
Authors
오윤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명사절 표지, 명사화소, 문법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 연구는 ‘것’의 통시적 변화 양상, 곧 ‘-ㄴ/ㄹ 것’의 문법화를 통해 현대 국어에서 ‘-ㄴ/ㄹ 것’이 명사절 표지임을 보이고, ‘-ㄴ/ㄹ 것’이 국어 명사절 표지 체계에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본격적 논의에 앞서 명사절 표지와 관련된 용어들을 정의하고 언어 보편적으로 명사화된 절이 보이는 특성에 비추어 국어의 명사절 및 명사절 표지에 대한 논의에서 ‘-ㄴ/ㄹ 것’과 ‘-ㅁ’, ‘-기’가 함께 다루어져야 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명사절을 논의하는 데 필요한 보절의 개념을 유형론적 관점에서 살핌으로써 국어의 명사절은 보절로 활용될 수 있고 특히 ‘-ㄴ/ㄹ 것’ 명사절과 관련해서는 명사 보절의 개념을 분명하게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Ⅲ장에서는 통시적 관점에서 ‘-ㄴ/ㄹ 것’의 문법화 과정을 검토하고 공시적 관점에서 그 결과로서 ‘-ㄴ/ㄹ 것’의 명사절 표지로서의 지위를 논의하였다. ‘것’은 현대 국어로 올수록 선행하는 요소로 체언의 비중이 줄고 용언, 특히 명사 보절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데 이를 통해 의존 명사 ‘것’으로부터 보절 명사 ‘것’으로의 발달 과정을 상정하였다. 나아가 ‘것’이 ‘명사 보절+것’ 구성이 나타날 수 있는 환경, 특히 발화·인지·사유 동사나 ‘아니다’ 등 특정 서술어가 후행하는 환경에서 ‘명사절+-ㄴ/ㄹ 것’으로 변화할 수 있었음을 실증적인 증거로서의 용례들을 통해 확인하였다. 근대 국어 시기 이후에는 ‘-ㄴ/ㄹ 것’에 후행하는 서술어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그 분포가 확장되었으며, 그 과정에 인지·사유·발화 동사 등의 논항 구조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나 그 결과 ‘-ㄴ/ㄹ 것으로 V’와 같은 구문을 통해 ‘-ㄴ/ㄹ 것’ 명사절이 나타나는 빈도가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것’의 의미는 ‘물건’, ‘도구’ 등의 구체적 의미부터 ‘행위’, ‘사실’ 등의 추상적 의미까지 나타낼 수 있을 만큼 포괄적인데, ‘것’의 이러한 포괄적 의미는 명사 보절이 선행하고 명제 논항을 취하는 서술어가 후행하는 환경에서 점차 탈색되어 왔다. 이러한 문법화 과정을 통해 ‘-ㄴ/ㄹ 것’은 의존 명사 ‘것’과는 물론, 다른 의존 명사 구성과도 분명하게 구분되는 명사절 표지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음을 보였다. ‘-ㄴ/ㄹ#것’ 구성은 ‘-ㄴ/ㄹ 것’의 형태로 문법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되었는데, 그 증거로는 첫째, 형태적 분리성의 상실, 둘째, 선어말 어미 ‘-었-’의 결합 제약의 변화, 셋째, 부정 제약의 변화, 넷째, 의미적 유연성의 상실을 들었다. 다만 ‘-ㄴ/ㄹ 것’은 명사절 표지로만 해석되는 경우도 있기는 하나, 여전히 기원 요소인 명사와의 중의적 해석을 허용하는 맥락이 넓은바 문법화의 중의적 단계에서 허사적 단계로 나아가는 중에 있음을 추정하였다. Ⅳ장에서는 국어 명사절 표지 체계에서 ‘-ㄴ/ㄹ 것’이 보이는 통사·의미·기능적 특성을 ‘-ㅁ’, ‘-기’와의 비교 및 대조를 통해 살펴보았다. ‘-ㄴ/ㄹ 것’은 ‘-ㅁ’과 ‘-기’가 대체로 분포가 나누어지는 것과 달리 넓은 범위의 서술어 유형과 두루 호응할 수 있는 범용적 성격을 띠며 새롭게 명제 논항을 요구하게 된 서술어나 새로운 형식의 명제 논항을 취하게 된 서술어와도 유일하게 호응함으로써 명사절 표지로서 독자적인 분포를 확장해 왔음을 보였다. 이때 서술어 구문 변화와 맞물려 나타나는 이른바 ‘-ㄴ/ㄹ 것으로 V’ 구문이 명사절 표지 ‘-ㄴ/ㄹ 것’의 생산성과 빈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ㄴ/ㄹ 것으로 V’ 구문은 결과적으로 현대 국어에서 ‘-ㄴ/ㄹ 것’만이 보이는 유표적인 특징으로, 이 경우 보절 명사 ‘것’과의 중의성이 해소되어 명제를 표상하는 기능적 요소로만 인식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ㄴ 것’과 ‘-ㄹ 것’은 서실법, 서상법의 의미 대립 관계에 있으며, 결과적으로 ‘-ㄴ 것’, ‘-ㄹ 것’이 ‘-ㅁ’, ‘-기’에 의해 제한적 분포에서만 구현되던 서법 의미를 더 넓은 분포에서 표현할 수 있게 해주었을 뿐 아니라 서법의 의미 영역 자체를 확장시키는 데도 기여한 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간적 상황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ㅁ’이나 시제 의미를 드러내는 맥락 자체가 넓지 않은 ‘-기’에 비해 ‘-ㄴ/ㄹ 것’이 각각의 형태로도 과거와 비과거의 시간적 상황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ㄴ/ㄹ 것’의 공시적 분포를 확장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ㄴ/ㄹ 것’의 명사절 표지로서의 지위를 통시적 관점과 공시적 관점에서 검증하였고, 국어 명사절 표지의 체계적 관점에서도 ‘-ㄴ/ㄹ 것’이 보일 수 있는 차별적 특성에 대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aim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grammatical status of '-eun/eul ges' as clausal nominalizer by investigating the precess of grammaticalization of '-eun/eul ges', as well as to confirm the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eun/eul ges'. Chapter Ⅰ presents the goal of this study. By examining previous works concerning Korean clausal nominalizers including '-eum' and '-ki',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clausal nominalizer' was provided by confirming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nominalized clauses from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 An clausal nominalizer is defined as a subarea of a nominalizer, that has its own functions to formate a nominal clause and represent a proposition. In Korean '-eum', '-ki' and '-eun/eul ges' are worth consideration as clausal nominalizers. In this chapter, the concept of 'complement clause' was also provieded in relation to nominalized clauses. When we discuss about '-eun/eul ges', it is very important to distinguish nominalized clauses and nominal complements. Chapter Ⅲ described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of '-eun/eul ges' to clausal nominalizers from diachronic perspective. From the middel korean period to the modern korean period, 'ges' has combined with verbs as preceding elements, especially nominal complements increasingly. So we can present the phases of the change of 'ges' from bound noun to completment noun. By extension, complement noun 'ges' has been changed to clausal nominalizer '-eun/eul ges' in front of utterance verbs, congnitive verbs and so forth. After the modern korean period, the distribution of 'ges' has also extened gradually. '-eun/eul ges-euro V' had a decisive effect on rasing the productivity and frequency of '-eun/eul ges'. The meaning of 'ges' has been bleached in the process. When we defined the grammaticalization of clausal nominalizers as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changes of lexical morphemes or syntactic units into clausal nominalizers, '-eun/eul ges' are in its 'second>final' stages of the change. Regarding of ‘-eun/eul ges’'s status as a clausal nominalizer, we can decribe some features as follows. First, '-eun/eul ges' cannot be modified by plural suffix and demonstratives. Second, it is not always possible that 'ges' is replaced with other nouns. Third, there are some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with noun 'sasil(=fact)' even when 'ges' is changeable with it. Fourth, '-eun/eul ges' can be replaced with other nominalizers such as '-eum' or '-ki'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eun/eul ges' in relation to '-eum' and '-ki' were discussed in chaper Ⅳ. '-eun/eul ges' have relatively free distributions. Further, '-eun/eul ges' have functions to present 'realis/irrealis mood' in a wider distributions than '-eum' and '-ki'. Chapter Ⅴ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hich summarizes the discussions made throughout this study while making important implications and calls for more in-depth studies on clausal nominalizers in Korean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