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 Download: 0

생태학 모형에 근거한 사회초년생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 관련 요인 분석

Title
생태학 모형에 근거한 사회초년생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 관련 요인 분석
Other Titles
Determinants of Job stress levels in new entrants into the workforce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Authors
이서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 개인과 사업장 모두에게 주요한 문제이다. 직무 스트레스는 재정적·개인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능가하며, 이는 근로자들의 생산성, 결근 및 이직 등과도 연관이 있어 사업장의 효과적인 운영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많은 비용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를 개선하기 위한 중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 요인과 보호 요인 식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직무 스트레스를 단순히 개인의 책임으로 남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환경적인 수준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움직임에서 생태학 이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직무 스트레스 생태학 모형은 보호 요인과 위험 요인 및 조절 요인과 잠재적인 스트레스 반응을 식별하며, 근로자 결과(outcome)에 대한 함의를 고려한다. 사회초년생의 경우, 새로운 조직에 대한 적응으로 인한 추가적인 심리적·정서적 어려움을 겪으며 높은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직무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타 연령층에 비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학 모형에 기반하여 사회초년생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에 대해 분석한 기존 연구는 부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 모형을 적용하여 사회초년생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수준적으로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며, 더 나아가 조절 요인을 파악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맞춤형 직무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 개발, 직무 스트레스 예방 교육, 홍보 등을 위한 과학적 근거 및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서 만 20세 이상 사회초년생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수행하였고, 설문 응답을 사용할 수 없는 6명을 제외하고 총 4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생태학적 특성 및 직무 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생태학적 특성은 개인, 미시체계, 조직 체계, 조직 주변 체계, 조직 외 체계 수준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수준별 문항으로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통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평균 직무 스트레스 점수는 20.22점이었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연령, 업종 및 연평균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만 30~34세이거나, 서비스 판매직에 종사하거나, 연평균 소득수준이 3,000만원~6,000만원 미만인 경우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둘째, 생태학 모형의 각 수준은 연구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설명하였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개인 수준에서는 건강 관련 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 규칙적 수면, 고위험 음주 여부, 중등도 신체활동 수준, 우울 수준이었다. 미시 체계 수준에서는 물리적 환경, 직장 내 존중, 사회적 지지, 조직 체계 수준에서는 조직 정책, 조직의 규모, 보건관리자 여부, 직장 내 직무 스트레스 교육 여부, 직무 스트레스 관련 사규 여부, 직무 스트레스 관련 사규 실제 반영 수준, 조직 주변 체계 수준에서는 지역사회 지원 시스템 존재 및 지역사회 지원 시스템의 가용성, 조직 외 체계 수준에서는 국가 단위 직무 스트레스 예방·개선 교육 및 캠페인 시행 수준 및 효과성이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태학적 특성은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72.2% 설명하였다. 일반적 특성의 소득수준, 고위험 음주 여부,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 수준, 유연근무제 가용성이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절 요인 중 대처 기술의 경우 생태학적 특성 중 개인 수준인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 중 완화효과가 있었다. 그 외의 특성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다. 사회적 지지는 생태학적 특성 중 개인 수준인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수준의 경우 강화효과를 보였다. 미시 체계 수준 중 물리적 환경 중 안전하지 않음, 조직 주변 체계 수준 중 지역사회 지원 시스템 존재 및 가용성, 조직 외 체계 수준 중 국가 단위 직무 스트레스 예방·개선 교육 및 캠페인 시행의 경우 사회적 지지는 완화효과를 보였다. 그 외의 특성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의 적용 및 후속 연구에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한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대면으로 조사가 진행되지 않았기에, 연구 대상자의 설문 항목에 대한 이해도 및 응답 충실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정확한 표본 추출법을 적용하고 신뢰성 있는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보편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20세 이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근무 경력 도합 5년 이내의 국내 사회초년생이었다. 이는 사회에 나가는 나이가 각 개인마다 다름을 고려하여 선정한 기준이다. 그러나 대상자를 분류할 때 경력이 단절된 대상자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경력 단절자를 고려할 경우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생태학적 특성이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 효과에 있어 대처 기술의 경우 하나의 연속형 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대처 기술 원 도구의 경우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대처 전략의 두 분류로 나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나누어 대처 기술이 어떠한 조절 효과를 미치는지 파악할 경우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Job stress is a major problem for both individual workers and organizations. Job stress surpasses the stress caused by financial and personal problems and is associated with reduced worker productivity, absenteeism, and turnover, which hinde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workplace, resulting in high costs. This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improve job stress and the need to identify modera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job stress. Ecological theories began to be applied in the movement to address job stress at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levels rather than simply leaving it as an individual responsibility. Ecological models of job stress identify protective, risk, and moderating factors and potential stress responses and consider implications for worker outcomes. New entrants experience high levels of job stress due to the addition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llenges of adjusting to a new organization, making it an issue that deserves more attention than other age groups experiencing job str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ecological model to identify and compare multilevel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vel of job stress among new entrants and to further identify moderating factors and analyze their effects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and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job stress intervention programs, job stress prevention education, and publicity.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mong 500 new entrants aged 20 and above. The data of 494 subjects was analyzed, excluding 6 people whos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not available.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items at the individual, micro-system, organizational system, peri-organizational system, and extra-organizational system levels, with questions at each lev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 test, one-way ANOVA, chi-square test,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7.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job stress score of the subjects was 20.2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levels by age, industry, and average annual income. Those aged 30 to 34, working in service sales, or earning less than 30 million won to 60 million won per year ha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Second, each level of the ecological model explained the level of job stress of the subjects. At the individual level, among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subjective health status, regular sleep, high-risk drink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influenced job stress levels. At the micro-system level, physical environment, workplace respect,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job stress levels; at the organizational system level, organizational policies, organization size, presence of a health manager, presence of job stress training in the workplace, presence of job stress-related policies, and actual implementation of job stress-related policies; at the peri-organizational system level, presence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and availability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and at the extra-organizational system level, level of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national job stress preven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and campaigns. Third, the gener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plained 72.2% of the variance in job stres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ome level, high-risk drinking, individual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vailability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fluenced job stress levels. Fourth, among the moderating factors, coping skill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individual-level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on job stress levels amo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other characteristics had no moderating effect. Social support had a reinforcing effe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at the individual level amo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unsafe physical environment at the micro-system level, existence and availability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at the peri-organizational system level,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job stress prevention and improvement training and campaigns at the extra-organizational system level.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for other characteristics. In light of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further research.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ince the study was not conducted face-to-face,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the survey items and response fidelity may not be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ccurate sampling method in subsequent studies and to further strengthen the universality of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reliable response results. Seco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years of age or older,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higher and a total of 5 years of work experience. This criter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age of entering the workforce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However, we did not consider the case of career breaks when categorizing the subjects, so we believe that subsequent studies may yield more meaningful results by considering career breaks. Third, in term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levels, coping skills were analyzed as a continuous variable. However, the original coping skills instrument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ositive and negative coping strategies.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it may be more meaningful to separate the two categories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