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 Download: 0

사업장 기반 금연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itle
사업장 기반 금연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Effectiveness of workplace-based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a meta-analysis
Authors
이상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대부분의 성인들이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과 접근 가능한 흡연자 수를 고려할 때, 사업장은 대다수 성인의 금연을 위해 접근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환경이다. 근로자의 흡연은 의료비 증가와 생산성 저하로 인해 사업주에게 상당한 비용을 부과하며, 개인의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사업장 내 간접흡연 노출을 발생시켜 비흡연자의 건강에도 위협이 된다. 이에 따라 근로자 금연을 위한 사업장 기반의 금연 중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사업장 금연 중재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드물었으며, 장기간 효과를 유지하고 근로자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중재 전략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금연 기간을 지속시키고 맞춤형 중재를 제공하여 참여율 및 접근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전략을 파악하기 위한 효과성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업장 기반 금연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효과적인 중재 구성을 위한 최신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메타분석을 통해 결과변수별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중재의 효과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에서 2023년까지 출판된 총 21편의 문헌을 선정하였고, 연구정보, 연구대상, 중재, 결과에 관한 자료를 추출하였다. CMA 4.0을 활용하여 결과별수별 메타분석을 수행하였고, 금연율, 흡연율, 니코틴 의존도, 호기 CO량, 흡연량 총 5개의 결과변수에 대하여 효과크기와 이질성을 확인하였다. 금연율과 흡연율은 Odds Ratio로, 니코틴 의존도, 호기 CO량, 흡연량은 Hedges’g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효과크기가 0.2 이상인 경우 작고, 0.5 이상인 경우 보통이고, 0.8 이상인 경우 크다고 해석하였다. 또한 비중복 백분위()를 활용하여 효과크기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였다. 이질성에 대한 검증은 Forest Plot과 Higgins의 I-squared() 통계량을 활용하여 파악하였으며 값이 25%이면 이질성이 낮고, 50%이면 이질성이 중간 정도이고, 75%이면 이질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질성이 확인되는 경우,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위그룹 분석을 추가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장 기반의 금연 중재가 수행된 경우, 흡연 근로자의 금연율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니코틴 의존도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금연율은 1.726, 니코틴 의존도는 –1.736으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흡연율, 흡연량, 호기 CO량에 대해서는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이질성이 확인된 금연율에 대한 하위그룹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전화상담의 비대면 방식을 활용한 중재방법(5.365), BCTs의 모니터링(1.748), 자기효능감(2.778), 건강보험 혜택 보상(5.365), 모델링(0.836)이 적용된 중재에서 금연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이질성이 확인된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하위그룹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앱의 비대면 방식을 활용한 중재방법과(-2.320), BCTs의 행동 및 대처전략 계획(-2.165), 목표 설정(-2.032), 사회적 지지(-0.978), 모니터링(-2.320)이 적용된 중재에서 니코틴 의존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한계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었던 문헌은 대부분 국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국내 사업장에 적용하여 중재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업장 금연 중재에 대한 국내 RCT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하며 국내 사업장에 적용가능한 효과적인 중재전략을 파악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유형 및 직무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유형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업장에서 수행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모든 근로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업장 및 직무유형별 맞춤형의 효과적인 중재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니코틴 의존도를 측정한 연구 수는 10개 미만이었으므로 다양한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하기 어렵고 이질성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넷째, 국외 문헌에서는 사업장 금연 중재의 효과를 주로 금연율로 보고하였고 국내 문헌에서는 니코틴 의존도, 호기CO량, 흡연량 등 대부분 근로자 개인의 변화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산성 및 의료비 지출에 관한 효과를 분석하여 사업주로부터 사업장 금연 중재를 수행하도록 사업장 측면의 다양한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and to establish the latest evidence for the effective interventions. We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using domestic databases, including KoreaMed, Kmbase, KISS, NDSL, and international databases, such as PubMed, The Cochrane Library, and Embase. This study included peer-reviewed journal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from 2013 to 2023. Through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21 articles were selec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selected articles was extracted, including study details(author, publication year, study design), study subjects(number of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tervention(method, duration, health behavior type, Behavior Change Techniques type), and outcomes (outcome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odds ratio). Meta-analysis using CMA 4.0 was conducted, confirming effect sizes and heterogeneity for outcome variables such as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rate, nicotine dependence, exhaled CO levels, and smoking quantity. Random-effects model was applied to calculate effect sizes for each outcome variable and presented them using Forest Plot. Effect sizes for smoking cessation rates and smoking rates were calculated as Odds Ratio, while effect sizes for nicotine dependence, exhaled CO levels, and smoking quantity were calculated as Hedges' g. Effect sizes were interpreted as small if above 0.2, normal if above 0.5, and large if above 0.8. Additionally, we used the percentiles of nonoverlap to provide a complementary interpretation of effect sizes, offering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how much more effective the intervention group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ublication bias for the meta-analysis results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asymmetry of the Funnel Plot. Egger's test was conducted to statistically confirm the significance of Funnel Plot asymmetry. Heterogeneity was assessed using Forest Plot and Higgins' I-squared statistic, interpreting values below 25% as low heterogeneity, between 25% and 50% as moderate heterogeneity, and above 75% as high heterogeneity. In cases of high heterogeneity,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workplac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rate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nicotine dependence compared to non-participation. The smoking cessation rate was 1.726 and nicotine dependence was -1.736, all of which showed great effect size. However, it was challenging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in terms of smoking rates, exhaled CO levels, and smoking quantity, 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se aspects. Second, when conducting subgroup analysis for smoking cessation rates, where heterogeneity was identified, interventions utilizing only telephone counseling(5.365), monitoring(1.748) and self-efficacy(2.778), health insurance benefits for quitting(5.365), and modeling(0.836) demonstrated an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rates. Third, when conducting subgroup analysis for nicotine dependence, where heterogeneity was confirmed, interventions using only remote methods(-2.320), action and coping planning(-2.165), goal setting(-2.032), social support(-0.978), and monitoring(-2.320) showed a reduction in nicotine dependence.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was sourced from international databases. Therefore, there may b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study results to Korea workplaces. It is suggested that more RCTs on workplac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be conducted in Korea, and a meta-analysis be performe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cable in the domestic context. Second, research conducted in workplaces targeting all types of workers was analyz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workplaces or job forms. Thus, there is a limitation in applying interventions uniformly to all workers, and it is anticipated that uniform smoking cessation effects may not be confirmed.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ailored and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type of workplace and job, requiring additional evidence. Third, the number of studies measuring nicotine dependence was less than 10, making it challenging to conduct diverse subgroup analyses and identify the causes of heterogeneity. Fourth, the analyzed international studies mainly reported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in terms of smoking cessation rates, while domestic studies covered various outcome variables such as nicotine dependence, exhaled CO levels, and smoking quantity.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analyze the effects of workplac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on absenteeism and productivity. This will help establish diverse evi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rs to encourage the implementation of workplac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