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 Download: 0

생태학적 모형에 따른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관련 요인

Title
생태학적 모형에 따른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관련 요인
Other Titles
Physical Activity of Office Workers based on Ecological Model
Authors
이윤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에 기반하여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회사에 재직중인 사무직 근로자 34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개인 요인(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BMI, 직장규모, 근무시간, 고용형태,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 개인 간 요인(가족의지지, 친구 및 직장동료의지지), 조직 요인(지각된 직장환경), 지역사회 요인(지각된 지역사회 요인), 신체활동 영역의 총 6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활동 관련 개인 요인으로 성별, 나이, 직장규모, 자기효능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신체활동량이 많았다. 사후검정 결과 20대의 신체활동량이 가장 많았고, 대기업 종사자의 신체활동량이 가장 많았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신체활동량이 많았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신체활동량과 관련이 없었다. 신체활동 관련 개인 간 요인으로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는 신체활동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가족의지지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이 많았고, 친구 및 직장 동료의지지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이 많았다. 신체활동 관련 조직 요인으로 연구대상자의 지각된 직장환경은 신체활동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지각된 직장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이 많았다. 신체활동 관련 지역사회 요인으로 연구대상자의 지각된 지역사회 환경은 신체활동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지각된 지역사회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이 많았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신체활동은 2,363.51MET-min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성이 여성 보다 평균 신체활동이 높았다. 연령에서는 20대, 50대, 40대, 30대 순으로 평균 신체활동 점수가 나타났다. 교육수준에서는 고졸 이하의 평균 신체활동 점수가 더 높았다. 기혼과 미혼은 비슷했고 직장규모는 대기업, 중기업, 소기업 순서였다. 생태학적 모형의 각 요인은 연구대상자의 신체활동을 26.4% 설명하였다. 신체활동량에 영향을 미친 것은 개인 요인 중 만 나이(20대), 교육수준, 근로시간, 직장규모, 자기효능감과 조직 요인이었다. 개인 간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의한 변수들이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하면 자기효능감, 근로시간, 직장규모, 만 나이, 지각된 직장환경, 교육수준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환경적 요인의 평가를 통해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을 설명할 때,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적인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대다수의 시간을 보내는 직장을 중심으로 한 신체활동 환경 개선과 문화 조성에 초점을 맞춘 총체적인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of office workers based on Ecological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44 office workers in Seoul. The research tool is comprised of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cological characteristics(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co-workers, perceived workplace environment, perceived community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IPAQ).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by frequent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6.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workplace size, and self-efficacy as individual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Men had more physical activity than women. As a result of the post-hoc test,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age of 20s and among workers in big size compani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greater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was not related to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2. The mean score of physical activity was 2,363.51MET-min. In terms of gender, men had higher mean score than women. In terms of age, 20s had highest mean score than any other age. In terms of education level, group under high school graduation was higher than college graduation. The marital status was similar, and the workplace size was in the order of large, middle, and small companies. 3. The social support of the study subje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family support score, the higher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higher the support score of friends and co-workers, the higher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4. The perceived workplace environment of the study subje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perceived workplace environment score, the higher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5. The perceived community environment of the study subje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perceived community environment score, the higher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6. The explanatory strength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physical activity was 26.4%. The significantly predictors for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office workers were self-efficacy, working hours, workplace size, age, perceived workplace environment, and education level. Thus, parts of ecological factors have effect on physical activity of office workers.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of office workers, it is important to change factors not only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but also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fact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