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고서 쓰기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고서 쓰기 교재 재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Report Writing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uthors
He, Juan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Keywords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 학문 목적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재 재구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acticalitie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report writing textbook, focusing on Bloom's new education target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reconstruct the academic report writing textbook based on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face in the report writing process. First, in order to explore the practica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report writing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learning goals,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 goa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extbooks B and D did not present learning goals. In addition, textbook A, which presented the learning goals, had the highest declarative knowledge in the knowledge dimension at 58.04%, and factual think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t 48.35%. In textbook C, the learning goal aimed at cultivating thinking ability appeared only once, and declarative knowledge was the highest at 93.75% in terms of knowledge. In addition, learning goals related to conditional knowledge were hardly presented in textbook A and textbook C, not to mention textbook B and textbook D. As a result of analyzing learning content focusing only on the knowledge level, 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ditional knowledge were not balanced. The explanation of how to write a report in the textbook for writing a report for academic purposes, that is, procedural knowledge, was sufficiently stated, but the explanation of the content, expressiv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 that is, declarative knowledge, was not stated in detail. Also, there was little content related to conditional knowledge. In other words, there was little content related to the reason why the report was submitted as an evaluation method instead of an experiment and the role of the macro structure of the repor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level of thinking ability, factual thinking (41.98%) and analytical thinking (26.34%)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types of thinking ability, while creative thinking (14.99 percent), critical thinking (8.22 percent), structural thinking (4.56 percent), and reasoning thinking (3.91 percent) were low. In addition, in structural thinking, the proportion of ‘understanding the way writings and paragraphs are unfolded’ was the highest at 68.57%, and the proportion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the structure’ was found to be the lowest at 8.57%. In analytical thinking, ‘reason, perspective, method, function, outcome effect, target, meaning, characteristic, role, and cause analysi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at 52.97% and ‘understanding tasks’ accounted for a low proportion at 1.49%. In creative thinking, ‘using specific expressions or content + writing’ was the highest at 43.48%, and ‘research question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alternatives to be decided + writing’ was the lowest at 6.09%. Focusing on Bloom's new education target classification syst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master's academic purposes from September 28, 2023 to October 6, 2023.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study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accurately grasp 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ditional knowledge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that structural thinking, analyt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were needed at the level of thinking ability. A reorganization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 goal classification system. First, the learning objectives should be clearly presented, and when setting the learning objectives,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related to the report and the cultivation of thinking skill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types of knowledge in a balanced way, and the proportion of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structural thinking skills among the types of thinking skills needs to be increased. Second,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ditional knowledge should be included in the report in a balanced way and described in detail. Among the declarative knowledge, the concept of the academic purpose repor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purpose report and the other repor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macro structure of the academic purpose report should be sufficiently stated. Among the procedural knowledge, the procedure and expression method of the report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The reason for writing the report and the role of the macro structure of the report should be sufficiently described in terms of conditional knowledge. Third, the proportion of factual thinking should be reduced and the proportion of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structural thinking should be increased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when developing structural thinking skills,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writing or sentence development methods should be reduced,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the report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ort structures should be increased. In particular,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added to develop analytical thinking that identifies tasks and creative thinking that determines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knowledge and thinking skills that appeared in the report's learning goals,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uggested a plan to reconstruct the report based on the learner's perception survey and needs survey.;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보고서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기존 보고서 쓰기 교재의 실제와 문제점을 밝히고 학습자가 보고서 쓰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을 탐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보고서 쓰기 교재를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고서 쓰기 교재의 실제와 한계를 탐구하기 위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근거로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네 권 교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교재 B, 교재 D는 학습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 학습 목표를 제시한 교재 A의 경우, 지식 차원의 선언적 지식이 58.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고력 차원에서는 사실적 사고가 48.3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재 C에서는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하는 학습 목표가 한 번만 나타났고 지식 차원에서는 선언적 지식이 9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건적 지식과 관련된 학습 목표는 네 권 교재에서 모두 제시하지 않았다. 지식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 조건적 지식이 균형을 이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 목적 보고서 쓰기 교재에서 보고서를 쓰는 방법에 대한 설명, 즉, 절차적 지식은 충분히 진술되었으나 보고서의 내용적 특징, 표현적 특징, 조직적 특징에 대한 설명, 즉, 선언적 지식은 상세히 진술되지 않았다. 또한 조건적 지식과 관련된 내용은 거의 없었다. 즉, 평가 방식으로 보고서 제출을 채택한 이유가 드러나지 않았으며, 보고서의 거시적 구조의 역할과 관련한 내용이 거의 없었다. 사고력 차원에 중점에 둔 학습 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사고력 유형 중에 사실적 사고(41.98%), 분석적 사고(26.34%)가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사고(14.99%), 비판적 사고(8.22%), 구조적 사고(4.56%), 추론적 사고의 (3.91%) 비중이 낮았다. 그리고 구조적 사고에서 ‘글/문단의 전개 방식을 파악하기’의 비중이 68.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조의 기능을 파악하기’의 비중이 8.57%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적 사고에서 ‘이유, 관점, 방법, 기능, 결과 효과, 대상, 의미, 특징, 역할, 원인을 분석하기’가 52.9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과제를 파악하기’가 1.49%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창의적 사고에서 ‘특정 표현이나 내용 사용+ 쓰기’가 4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문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대안을 정하기+ 쓰기’가 6.09%로 낮게 나타났다. 지식과 사고력에 초점을 맞춘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2023년 9월 28일부터 2023년 10월 6일까지 석사 과정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지식 차원에서는 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 조건적 지식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으며 사고력 차원에서는 구조적 사고, 분석적 사고,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하였다.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근거한 교재 분석 결과와 심층 면접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 목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또한 학습 목표를 세울 때 보고서와 관련된 지식 증진과 사고력 함양을 같이 고려한다. 그리고 지식 유형을 균형 있게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사고력 유형 중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구조적 사고력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 내용 차원에서 보고서에 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 조건적 지식을 균형 있게 포함하고 상세히 서술할 필요가 있다. 선언적 지식 중 학문 목적 보고서의 개념, 학문 목적 보고서와 다른 보고서의 차이, 학문 목적 보고서의 내용적 특징, 표현적 특징, 거시적 구조가 충분히 진술되어야 한다. 절차적 지식 중 보고서를 쓰는 절차, 표현 방식이 상세히 서술되어야 한다. 조건적 지식 차원에서 보고서를 쓰는 이유, 보고서의 거시적 구조의 역할을 충분히 서술해야 한다. 셋째, 학습 활동 차원에서 사실적 사고의 비중을 줄이고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구조적 사고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구조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글이나 문장 전개 방식과 관련된 학습 활동은 줄이고 보고서 구조의 기능 파악, 보고서 구조 상호 간의 관계 파악과 관련된 학습 활동은 늘려야 한다. 특히, 과제를 파악하는 분석적 사고, 연구 문제를 정하는 창의적 사고를 키우는 학습 활동을 추가해야 한다. 이 연구는 보고서의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활동에 나타난 지식 유형과 사고력 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인식 조사와 요구 조사에 기반하여 보고서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