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감각추구성향의 잠재 유형 분류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감각추구성향의 잠재 유형 분류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xploring the Positive Side of Sensation Seek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A Latent Profile Analysis
Authors
송은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대학생, 감각추구성향, 신기성추구, 강도추구, 충동성, 지각된스트레스, 부모감독, 잠재프로파일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감각추구성향이 탐색의 맥락에서 적응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감각추구성향이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다른 내적 특성 및 환경적 요인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각추구성향과 관련된 초기 연구에서는 부적응적인 위험행동과의 관련성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이 충동성과 구분되며 특히 신기성 추구와 탐색의 측면에서 적응적인 기능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점이 제기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감각추구성향의 하위요인들, 충동성,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부모감독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연 나이 19-27세 대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감각추구성향은 충동성,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부모감독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던 반면, 나머지 변인 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신기성 추구, 강도 추구, 충동성,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부모감독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본 결과, ‘고-감각추구 평균형’, ‘고-감각추구 비충동형’, ‘저-감각추구 비충동형’, ‘저-감각추구 충동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고-감각추구 평균형’은 전반적으로 감각추구성향이 높고 충동성과 지각된 스트레스는 평균 수준이며 부모감독은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감각추구 비충동형'은 전반적으로 감각추구성향이 높고 하위요인 중 특히 강도 추구가 높았으며, 충동성과 지각된 스트레스는 낮은 반면 부모감독 수준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감각추구 비충동형'은 강도 추구가 평균 수준이고 충동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에 비해 부모감독이 높게 나타났다. '저-감각추구 충동형'은 감각추구성향이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반면, 충동성과 지각된 스트레스는 가장 높고 부모감독은 가장 낮았다. 셋째,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살펴본 결과, 일부 프로파일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감각추구성향이 낮았던 ‘저-감각추구 비충동형’과 ‘저-감각추구 충동형’에 비해 감각추구성향이 높았던 ‘고-감각추구 평균형’과 ‘고-감각추구 비충동형’의 대학생활 적응이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저-감각추구 비충동형’과 ‘저-감각추구 충동형’의 대학생활 적응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감각추구성향이 적응적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각추구성향과 함께 내적 특성 및 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기존의 변인 중심적 연구와 달리 사람 중심적 접근법을 활용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생활에 있어 감각추구성향이 주요한 역할을 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부적응적 행동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자주 다루어져 온 감각추구성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보완하여 보다 풍부한 해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This study focuses on the adaptive role of sensation seeking in the context of exploration. While previous research predominantl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maladaptive risky behaviors,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some positive sides of sensation seeking. However, studies focusing on the positive aspects of sensation seeking are relatively scarc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positive side of sensation seeking. Self-reported data of 371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8.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draw latent profiles of novelty seeking, intensity seeking, impulsivity, perceived stress, and parental monitor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revealed four distinct profiles. Specifically, the first group (‘HighSs-ModerateI’) exhibited an overall high sensation seeking, with average levels of impulsivity and perceived stress, and relatively low parental monitoring. In contrast, the second group (‘HighSs-LowI’) demonstrated high sensation seeking, particularly in intensity seeking, low impulsivity and perceived stress, coupled with the highest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The third group (‘LowSs-LowI’) had average intensity seeking, low novelty seeking, impulsivity and perceived stress, yet high parental monitoring. Finally, the last group (‘LowSs-HighI’) displayed the lowest sensation seeking overall, with high impulsivity and perceived stress, and the lowest parental monitoring. Second, an analysis of the adaptation levels in college life according to latent profil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ertain groups. Specifically, compared to groups with low sensation seeking scores (‘LowSs-LowI’ and ‘LowSs-HighI’), groups with high sensation seeking scores (‘HighSs-ModerateI’ and ‘HighSs-LowI’) exhibited overall higher levels of college life adapt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s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of ‘LowSs-LowI’ and ‘LowSs-HighI’ were generally 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positive aspect of sensation seeking in college students, particularly in facilitating successful adaptation to college life. Moreover, this study adds to the current body of research of sensation seeking, which has often been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risky behaviors, providing a more integrative interpretation.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