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 Download: 0

디지털 텍스트 탐색 전략 사용 사례 분석을 통한 읽기 교육 방안 연구

Title
디지털 텍스트 탐색 전략 사용 사례 분석을 통한 읽기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Reading Instruction by Analyzing the use of Strategies for Locating Digital text
Authors
박경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Keywords
Locating Digital Texts, Potential Text, Information-seeking, Digital Text Reading, Online Mutliple-document Reading,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텍스트 탐색에 관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리터러시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학습자들의 디지털 텍스트 탐색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터넷의 등장은 리터러시 환경의 변화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인터넷 환경에서 읽기의 방법 및 전략을 탐구하는 디지털 텍스트 읽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상용화되고 플랫폼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으로 재편됨에 따라 기존의 디지털 텍스트 읽기 연구를 새롭게 논의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강조되는 디지털 텍스트 탐색을 위한 읽기를 탐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Ⅰ장은 디지털 텍스트 탐색을 위한 읽기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기 앞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텍스트 읽기 연구와 다문서 읽기 연구를 두루 살폈다. 디지털 텍스트 읽기 연구는 이전의 인쇄 텍스트 읽기와의 차별점에 주목하여 진행한 연구로, 새로운 리터러시 환경인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독자의 읽기 전략과 수행을 강조하였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는 복수의 텍스트를 검색하는 것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다문서 읽기 연구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디지털 텍스트 읽기 연구와 다문서 읽기 연구를 두루 살펴 디지털 텍스트 탐색 전략이 디지털 텍스트 읽기에서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부각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디지털 텍스트 탐색을 위한 읽기에 대한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Ⅱ장은 디지털 텍스트 탐색 교육을 위하여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위해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세부 전략을 정리하였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의 특징을 매체와 사회적 요구라는 두 축을 기준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을 잠재적 텍스트 구성하기의 과정으로 정리하였다. 잠재적 텍스트는 아직 구체화되지는 않았지만 정보 탐색 과정 중에 독자가 머릿속 표상으로 구성된 의미 구성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을 잠재적 텍스트 구성하기의 과정으로 새롭게 서술함으로써 텍스트의 관점에서 정보 탐색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러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단계별 세부 전략을 도출하였다. Ⅲ장은 Ⅱ장에서 검토한 이론적 내용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고 검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디지털 텍스트 탐색의 과정을 잠재적 텍스트 형성과 확장의 단계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디지털 텍스트 탐색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잠재적 텍스트 형성의 명료화 및 구체화의 중요성, 잠재적 텍스트 확장의 목적의 세분화, 개인화된 텍스트 수집 및 선별 기준의 검토의 필요성 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Ⅳ장은 앞서 실증적으로 검토 결과를 토대로,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검토 결과를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텍스트 탐색 교육의 목표는 ‘독자는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에서 플랫폼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보 탐색 목적을 중심으로 디지털 텍스트를 접근, 수집 및 선별할 수 있다.’와 ‘독자는 정보 탐색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절하고 유용한 정보를 수집 및 선별하기 위해 자신의 디지털 텍스트 탐색 전략을 점검 및 조정할 수 있다.’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 내용을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항목을 구분하여 성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지식·이해’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 대한 이해’를 내용 요소로 제시하였다. 과정·기능’에서는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과 ‘점검 및 조정’으로 세부 범주를 나누고,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에서는 ‘정보 탐색 목적 인식과 표현’, ‘훑어 읽기와 찾아 읽기’, ‘정보의 수집·선별 전략’, ‘정보 탐색 목적에 따른 정보의 재구성’, ‘정보의 신뢰성 평가’를, ‘점검 및 조정’에서는 ‘수집·선별한 정보의 검토’, ‘정보의 수집·선별의 기준 검토’를 내용 요소로 제시하였다. ‘가치·태도’에서는 ‘정보의 가치 인식과 효율적 사용을 위한 태도’, ‘정보에 대한 비판적 활용을 위한 태도’로 내용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잠재적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한 디지털 텍스트 탐색 과정과 전략을 밝혀 교육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 디지털 텍스트 읽기 과정 및 전략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과 달리, 텍스트의 관점에서 디지털 텍스트 읽기 과정을 다루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수의 학생을 연구 대상자를 관찰하여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디지털 텍스트 탐색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approaches regarding locating digital texts for high school learners. As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changes, literacy issues arise and in respon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learners' ability to navigate digital texts.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has meant a change in the literacy environment, and as a result, digital text reading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explore reading methods and strategie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However, with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like smartphones and the shift to a platform-centred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there arises a need to reconsider previous studies on digital text reading. H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rategies for locating digital texts emphasized within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and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accordingly. In Chapter I. I attempted to derive research problems by reviewing prior studies before delving into research on reading strategies for locating digital texts. To achieve this, I examined both digital text reading research and multi-document reading. Digital text reading studi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rint text reading, emphasized reader strategies and performance in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As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based on the internet involves searching multiple texts, the study encompassed multi-document reading research. I found that strategies for locating digital texts are an important part of digital text reading, but have been neglected. Accordingly, I derived research questions about reading strategies for locating digital texts. In chapter Ⅱ, I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digital text navigation instruction. For the theoretical review, I discussed the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and organized detailed strategies based on it. First, I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based on the two axes of media and social needs, I organized the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potential texts. Potential texts are constructs of meaning that have not yet been materialized, but which are made up of mental representations by the reader during the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Therefore, I aimed to approach information seeking from a textual perspective by redescribing the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potential text. From this viewpoint, a detailed step-by-step strategy was derived after a critical review of several studies. In chapter III, summarized the analysis of cases within the designed situation to empirically examine the theoretical content reviewed in Chapter II. Observations and analyses of the process in locating digital texts of eight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he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was divided into two stages: forming potential text, expanding potential text. Through this, implications such as the importance of clarifying and concretizing ‘forming potential text’, delineating objectives for ‘expanding potential text’, and reviewing personalized criteria for collecting and selecting texts were derived. In Chapter IV, I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lan. Therefor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locating digital texts were selected as follows: "Readers can access, collect and select digital texts based on their information-seeking purpos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platform-centred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and "Readers can review and adjust their strategies for locating digital texts to collect and select appropriate and useful information to achieve their information-seeking purpos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was categorised into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cesses and Skills' and 'Values and Attitudes'. Unde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Understanding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was presented as a content element. Under 'Process and Skills', the subcategories were divided into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and 'review and adjust'; 'process of locating digital texts' included 'identify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seeking purposes', 'skimming and scanning', 'strategies for collecting and selecting texts', 'reorganizing information for information-seeking purposes', and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while 'review and adjust' included 'checking information collected and selected' and 'checking criteria for collecting and selecting texts' as content elements. The content elements of 'Value and Attitude' were 'attitude towards recognizing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its efficient use' and 'attitude towards using information cri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ocating digital texts processes and strategies for constructing potential texts, and to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the digital text read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xt and derives actual field education plans from it,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 on digital text reading processes and strategi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rough observation. Therefore, research on locating digital texts should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