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 Download: 0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에코페미니즘 소설 교육 방안

Title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에코페미니즘 소설 교육 방안
Other Titles
Eco-feminism Novel education plan for cultivating ecological sensitivity
Authors
박소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Keywords
소설 교육, 생태적 감수성, 에코페미니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학습자들의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에코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회를 비추는 창인 소설은 허구의 창작물이나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은 개인의 삶과 그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 및 세상을 성찰하게 한다. 따라서 문학을 통한 다양한 간접 경험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삶의 의미와 지향점을 탐색하게 하며 문학교육은 성찰의 결과를 실제 생활로 끌어오는 것까지 목표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문학에서 주목해 마땅한 사회·역사적 요구로 생태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보아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주요 연구 문제로 삼았다. Ⅱ장에서는 우선 생태문제와 관련된 기존의 환경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는 포용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생태전환교육 또한 환경관리주의적인 태도를 탈피한, 포용적 태도를 기저에 둔 공동체 구성원의 공존을 추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개인적 미적 체험 수준을 넘어 관계에 기반하여 책임감을 내면화한 채 거시적으로 공동체의 문제를 조망할 때 생태적 시스템의 변화까지 기대할 수 있는, 생태 ‘전환’이 가능하다고 보고 에코페미니즘 관점을 반영하여 ‘생태적 감수성’을 재개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감수성’을 ‘지구공동체 일원으로서 갖는 자연애와 책무성으로부터의 민감성’이라고 정의하고 관련하여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를 중심으로 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 이후의 존재에 대한 논의는 근대적 이원론을 거부하고 그 존재론적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타자화를 극복해 새로운 주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생태전환교육과 핵심 가치를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Ⅲ장에서는 에코페미니즘 소설 중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 한강의 「내 여자의 열매」와 「채식주의자」를 선정하여 ‘-되기’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각각 여성·식물, 기계·동물, 여성·식물 –되기 및 타자에 대한 폭력을 형상화함으로써 대문자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야 함을 보여준다. Ⅳ장에서는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소설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먼저 목표로는 ‘성찰을 통한 생태적 인식 신장’, ‘공감에 기반한 생태적 감수성 함양’, ‘연대 의식에 기반한 포용 실천’을 설정하였으며, 교육 내용으로는 ‘낯설게 하기를 통한 인간종의 재위치화’, ‘공감을 통한 타자되기’, ‘생태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안 모색’을 제안하여 학습자들이 인지적으로 성장하고 타자를 포용하는 태도를 보이며, 생태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행동을 실천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그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적 감수성 함양에 있어 에코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의의를 확인하고 그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상당히 범박한 수준에 머물러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깊고 섬세한 수준의 후속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oals of ecofeminist novel education to cultivate ecological sensitivity in adolescent learners and to prepare ways to achieve them. A novel, a window that illuminates society, is a fictional creation, but the content it contains makes us reflect on an individual's life and the society and world to which that individual belongs. Therefore, various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literature allow learners to explore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life, and literary education aims to bring the results of reflection into real life. Accordingly, this study determines that ecological problems cannot be left out as a social and historical demand that deserves attention in recent literature, and considers that 'ecological sensitivity' must be cultivated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is problem. The main research is to propose a method to realize this. made it an issue. In Chapter Ⅱ, I first critically reviewed exi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lated to ecological issues, and confirme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value of inclusiveness, thereby demonstrating that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lso breaks away from environmental managementism. It was concluded that education should seek ways to pursue coexistence among community members based on an inclusive attitude. Therefore, when we look at community problems at the macro level while internaliz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based on relationships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aesthetic experience, I believe that ecological ‘transformation' can be expected, which can even lead to changes in the ecological system, and reflect the ecofeminist perspective to create ‘ecological sensitivity'. This concept was judged necessary to reconceptualized, and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d ‘ecological sensitivity’ as ‘sensitivity from love of nature and responsibility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and actively accepted the critical posthumanist discourse centered on Rosi Braidotti. Posthumanism believes that discussion of existence after humans should overcome othering and form a new subject by rejecting modern dualism and blurring its ontological boundaries, and thus promote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core values ​​that seek to overcome anthropocentrism. It can be seen as sharing. In Chapter Ⅲ, among ecofeminist novels, Kim Cho-yeop's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s”, Han Kang's “My Woman's Fruit” and “The Vegetarian” were selected to confirm the aspect of ‘becoming’. By embodying violence against women/plants, machines/animals, and women/plants - becoming and others, respectively, they show that we must break away from capitalized anthropocentris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ecofeminist novel education in cultivating ecological sensitivity and established a plan. However, it remains at a fairly general level and in order to apply it in actual fields, follow-up research at a deeper and more detailed level must be conducted fir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