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 Download: 0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Authors
조수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자발적 자기확신, 취업스트레스, 낙관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spontaneous self-affirmation, job-seeking stress, optimis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청년실업의 여파로 장기간 취업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심화되고 있으며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확신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자기확신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심리 내적 자원으로서 자발적 자기확신(spontaneous self-affirmation)을 제안하였으며,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 간에 어떤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자기확신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19-29세의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통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8.7을 통해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정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이 자발적 자기확신, 낙관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간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발적 자기확신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높은 수준의 낙관성을 거쳐 낮은 수준의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발적 자기확신의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거쳐 그 결과 낮은 수준의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상관계수는 부적으로 나타난 것에 반해 매개모형 내 경로계수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일관적 매개효과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처음 탐색한 연구로, 자기확신 이론을 토대로 변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자발적 자기확신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취업 스트레스를 완화 및 해소할 수있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자기확신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함으로써 자발적 자기확신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s college students experience long-term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job due to youth unemployment, job-seeking stress is intensifying and the negative impact of it on mental health is growing. Based on the self-affirmation theory that self-affirmation reduces stress, this study proposed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s an internal psychological resource to cope with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elf-report survey targeting 340 college students.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self-report scales measuring spontaneous self-affirmation, optimis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8.0, and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tested sequentially using Mplus 8.7. Finally,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optimis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on jobseeking str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optimi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Four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the sequential mediation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college students' higher level of spontaneous selfaffirmation leads to a higher level of optimism, which in turn leads to a low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Additionally, a higher level of spontaneous self-affirmation leads to a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in turn leads to a low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In addition, 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 the path coefficient in the mediation model was found to be positive, which is an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and verify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ased on self-affirmation theor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ntaneous self-affirmation and job-seeking stress, expanding research on protective factors that can reduce and resolve job-seeking stress. Lastly,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pontaneous self-affirmation promotes further discussion on the top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