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 Download: 0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Title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anger-i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Authors
배윤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사무직 직장인들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 주목하여, 국내 20, 30대 사무직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분노억제,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직장인이 지각한 직장 내 주변인 방어행동의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직장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들에게 무료로 법률상담을 제공하는 시민단체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총 50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였으며, 백분위수 부트스트랩(percentile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관계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직장인이 지각한 직장 내 주변인 방어행동의 수준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관계에서 분노억제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자체가 전위된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분노억제의 증가라는 기제를 통해서도 전위된 공격성을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직장인이 지각한 직장 내 주변인 방어행동이 높은 집단에서는 낮은 집단에 비해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관계와 분노억제가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약하게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분노억제로 이어지는 관계는 직장인이 지각한 직장 내 주변인 방어행동이 높은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분노억제를 통한 간접효과에서 직장인이 지각한 직장 내 주변인 방어행동의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피해자의 직장 내 주변인들이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피해자에게 직·간접적인 도움을 많이 제공하더라도, 피해자가 분노를 억제하는 행동이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에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피해자가 인지한 직장 내 주변인의 방어행동이 많이 나타날수록, 피해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분노억제가 각각 곧바로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결과는 괴롭힘을 당한 국내 사무직 직장인들의 전위된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장 내 주변인의 방어행동을 증가시키고 이를 피해자인 당사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20, 30대 사무직 직장인들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있어 작용하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입으로 피해자가 인지한 직장 내 주변인 방어행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on displaced aggression among office workers in 20s and 30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levels. Self-reported data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of 502 office work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direct effect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anger-i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itself can significantly explain displaced aggression and that the increase in anger-in serves as a mechanism to explain displaced aggression.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as well as anger-in and displaced aggression were weaker among the group of individuals with high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On the contrar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anger-in was stronger among the group of individuals with high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on effect of anger-in wasn’t moderated by the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the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to decrease displaced aggression when office workers are being bullied at workplace. In conclusion, this study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among office workers in 20s and 30s, and proposed increasing workplace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 levels as an intervention strate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