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G. 바타이유 예술론과 아르테 포베라 분석

Title
G. 바타이유 예술론과 아르테 포베라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Arte Povera through G. Bataille’s artistic idea : based on the concept of ‘formless’ of Y.-A. Bois and R. E. Krauss
Authors
강나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바타이유, 반모더니즘, 이브-알랭 부아, 로잘린드 크라우스, 비정형, 아르테 포베라, G. Bataille, Anti-modernist, Y.-A. Bois, R. E. Krauss, Formless, Arte Povera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형으로 수렴되는 바타이유 예술론을 통해 아르테 포베라의 반모더니즘적 속성에 대해 고찰하기 위함이다. 바타이유 철학의 사명은 인간이 대상화에 예속된 상태를 벗어나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는 주권성에 도달함에 있었다. 그리고 바타이유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위반의 실천으로 예술을 바라보았는데, 그에게 예술적 실천은 합리적이고 지성적인 사고의 영역에서 벗어나 대상의 이면을 고찰하는 것으로 달성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바타이유에게 진정한 예술은 의미가 사라지는, 비-지의 영역에서의 사유이다. 이러한 바타이유의 예술론을 현대미술 이론으로 확장한 이브-알랭 부아와 로잘린드 E. 크라우스는 20세기 아방가르드 실천부터 동시대 미술을 아우르는 현대미술의 미학적 근거를 바타이유로부터 찾기를 요청한다. 그들은 바타이유의 예술론을 비정형 개념으로 응축하고 이를 의미의 사라짐을 가능케 하는 미끄러짐의 작동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이 작동성에 근거하여 그들은 비정형의 양상을 저급유물론, 수평성, 펄스, 엔트로피로 범주화하고 다양한 20세기의 미술을 이에 적용하며 바타이유의 비정형 개념을 현대미술 이론으로 다듬고자 하였다. 부아와 크라우스의 비정형 연구는 모더니즘의 대표적 비평이론 중 하나인 그린버그 형식주의의 한계를 드러내고, 모더니즘의 이성중심주의, 시각중심주의에 저항하는 반모더니즘적 미술 경향의 미학적 근거의 저변을 확장함에 이바지하였다. 그렇기에 1960년대 이탈리아의 아르테 포베라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반모더니즘적 속성 또한 부아와 크라우스의 비정형 개념을 매개로 할 때, 바타이유 예술론으로 아르테 포베라를 해석함에 그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바타이유의 사유 안에서 아르테 포베라를 고찰하는 이유는, 재료주의적 시각에 치중된 아르테 포베라 작품 비평이 바타이유의 해체적 예술론을 경유할 때, 비정형 안에서 그 미학적 원동력이 더욱 명백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자연주의적 재료를 이용한 시적인 감수성의 표상이라는 아르테 포베라의 일반적 정의로부터 일탈하여 바타이유의 사유 안에서 아르테 포베라를 바라볼 때, 그들이 추구한 ‘가난한 예술’의 진정한 미학적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르테 포베라의 미학적 의도는 단지 원시로의 회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질적 재료와 방식을 통해 1960년대 이탈리아를 지배했던 산업과 소비로 점철된 동질성의 사회가 외면한 것을 되돌아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었다. 결국, 동질적 사회 체계의 유지를 위한 명목으로 배제될 수밖에 없었던 전적인 타자를 불러들이고, 이를 통해 미술의 본질, 삶의 본질, 그리고 인간의 본질을 다시 들여다보고자 한 기획은 바타이유의 사유를 통해 바라볼 때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는 아르테 포베라의 미학적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아와 크라우스의 비정형 이론을 매개로 바타이유 예술론을 통해 아르테 포베라가 다루는 반모더니즘의 미학적 문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아르테 포베라의 비천한 형상, 무가치한 오브제의 사용, 수평적 구성, 작품에 있어 시간성의 도입, 그리고 에너지와 소모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은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술의 시각중심주의로부터 기인한 이상적 형상의 추구와 명징하게 구분되는 지점임이 드러나고, 이는 동시에 아르테 포베라의 비정형 작동의 특징이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아르테 포베라 작가들이 몰두하였던 미학적 문제들인 미술 감상과 지각의 문제, 관람자의 지위, 괴리된 미술과 삶을 다시 연결할 필요성 등에 대한 반모더니즘적 위반의 시도는 바타이유의 비정형 개념에 근거하여 바라볼 때, 무용함의 가치를 역설한 아르테 포베라를, 더 나아가 196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해체성을 더욱 확장된 시각에서 이해하도록 만든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nti-modernist attributes of Arte Povera through Georges Bataille’s art theory - a theory that converges into the concept of ‘formless’. Bataille’s philosophical mission was for humankind to reach sovereignty without subordinating to objectification. Bataille argues that art as the practice of viol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his notion of sovereignty, and artistic practice is not about the rationalized intellectual realm but ‘non-knowledge’: examining the other side of the object, out of the realm of intellect. Extending Bataille’s artistic thoughts to modern art theory, Yve-Alain Bois and Rosalind E. Krauss search for the aesthetic basis of modern art from Bataille, ranging from 20th-century avant-garde practice to contemporary art. Bois and Krauss reduced his theory to the concept of ‘formless’ which is interpreted as the operation of slippage that enables the disappearance of meaning. Moreover, based on the operational force of slippage, Bois and Krauss analyzed practices of ‘formless’ into four categories: base materialism, horizontality, pulse, and entropy. Applying various 20th-century art to this categorization, they aimed to refine Bataille’s idea of ‘formless’ into modern art theory. Their research on ‘formless’ reveals the limitations of modernism represented by Greenberg’s Formalism and provides an aesthetic basis for the anti-modern art trend that resists modernist Rationalism and Visualism. In this sense, various anti-modernist attributes in Arte Povera are entirely accepted within Bataille’s thoughts when it is interpreted through the theory of ‘formless’ by Bois and Krauss. Most aesthetic interpretations are confined to materialist or media-oriented perspectives when it comes to criticisms of Arte Povera’s works. In other words,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poetic sensitivity that uses poor and naturalistic materials became the general definition of Arte Povera. When Arte Povera is viewed through Bataille’s theory, however, one can understand the true aesthetic implication of Arte Povera’s essence, namely “poor art” which refers to not only returning to the primitive, but also reflecting on what was disregarded by the homogeneous society. The homogeneous society that Arte Povera was eager to reconsider was industrialized 1960s Italy, dominated by modernized industry and consumption. Furthermore, they attempted to reveal the ‘foreign body’ which was excluded for the sake of maintaining a homogeneous social system. Therefore, through the lens of Bataille’s theory, it becomes clear that Arte Povera’s intention to mediate among the essence of art, the present of life, and humankind which was discounted by modernists is the aesthetic driving force of Arte Povera. The ultimat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aesthetic problems Arte Povera dealt with through Bataille’s art theory - based on Bois and Krauss’s concept of ‘formless’. How Arte Povera deals with themes such as humble form, use of worthless objects, horizontal composition, temporality, and energy and its consumption problems contrasts with the pursuit of not only an ideal, but also solid form-a pursuit induced by formalist modern art’s focus on Visualism. Simultaneously, it is intended to reveal an attribute of Arte Povera’s operation of ‘formless’. Arte Povera artists conducted formative experiments to deal with aesthetic problems including appreciation and perception of art, the status of viewers, and the need to reconnect disparate art and life. Based on Bataille’s concept of ‘formless’, these anti-aesthetic practices show their attempt to violate system of homogeneity and help us understand Arte Povera with a broader perspective beyond media-oriented aesthetic critic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