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 Download: 0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진의 여성 재현 방식

Title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진의 여성 재현 방식
Other Titles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Women in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after the 1990s : Centering on Postfeminist Discourse on Differences
Authors
장순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포스트페미니즘, 차이, 한국현대사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계몽주의와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아 18세기 초부터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한 페미니즘은 발생 초기에는 여성과 남성은 ‘평등’하므로 같은 권리를 누려야 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투쟁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의 페미니즘은 차츰 여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전개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는데, 포스트모더니즘은 그동안 타자로 존재하며 고정적인 범주로 인식되어 온 여성들에게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도록 페미니즘의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다. 이로써 1970년대 이후 포스트페미니즘이라는 담론 아래 페미니즘의 패러다임은 ‘평등’에서 ‘차이’로 변화되었다. 정치철학자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는 ‘차이’에 대한 포스트페미니즘의 논의를 시기에 따라 ‘젠더 차이’, ‘여성들 간의 차이들’, ‘복합적으로 교차하는 차이들’, 세 단계로 구분한다. 각각의 단계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 다양한 문화와 인종 등을 배경으로 하는 여성들 간의 차이, 젠더와 함께 교차되는 다양한 차이들을 다루며 ‘차이’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어가는 것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차이’에 대한 논의는 뤼스 이리가레(Luce Irigaray), 엘렌 식수(Hélèn Cixous),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Chakravorty Spivak),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여성사진작가 김옥선, 니키리, 박영숙의 작품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포스트페미니즘의 ‘차이’의 논의가 이들 작품 속의 여성 재현 방식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프랑스 페미니스트 뤼스 이리가레와 엘렌 식수는 각각 ‘성차이론’을 통한 여성의 성적 주체성 확보, 진정한 여성으로서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한 ‘여성적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들은 새로운 여성적 정체성의 확립을 주장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이 지닌 차이를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가야트리 스피박은 과거 식민지 경험을 한 제3세계의 국가들이 여전히 문화, 경제적으로 서구 열강에게 종속되어 있음을 깨닫고, 그 안에서 이중, 삼중으로 타자화되는 제3세계 여성들의 삶에 주목하는 ‘서발턴’ 이론으로 제3세계 여성이 스스로를 발언하는 목소리를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그녀는 서구 백인 중심의 페미니즘이 제3세계 여성들의 삶을 재현할 수 없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같은 여성들 사이에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세심하게 살피는 것이 페미니즘이 나아갈 방향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주디스 버틀러는 정체성은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수행적 효과에 불과하다는 ‘수행성’이론을 주장하며, 성별, 인종, 민족, 계급 등 모든 특성들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차이들에 주목할 것을 요구한다. 199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한국 사진 내부에서도 미학적, 제도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났고, 매체의 활용, 제작방식, 주제가 크게 다양화되었다. 한국 사진에 있어 다양성의 증가는 여성사진작가 수의 증가로 이어졌고, 여성작가들을 주축으로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생겨나게 된다. 이들 중 특히 김옥선, 니키리, 박영숙의 작품에서 재현되는 여성들의 모습은‘차이’의 논의를 구현한다. 김옥선은 <방 안의 여인들(Woman in a Room)>, <해피 투게더(Happy Together)>, <베를린 초상(Berlin Portrait)> 시리즈를 통해 여성들을 성적 대상화되는 존재가 아닌 실존하는 주체로 보여주어 남근중심적인 시각을 반사하고, 그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개별적인 ‘차이’를 드러낸다. 니키리는 <프로젝트(Project)> 시리즈를 통해 고정되지 않은 정체성, 수행적 주체가 구성되는 방식을 인종, 계급, 섹슈얼리티 등 다양한 ‘차이’의 요소들을 넘나들며 구현하면서 모든‘차이’를 해체한다. 또한 박영숙은 <미친년 프로젝트(Mad Woman Project)> 시리즈에서 욕망을 지닌 여성, 거세되지 않은 여성을 그려냄으로써 비정상성을 의미하던 ‘미친년’이라는 단어에 해방된 여성성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그동안 잃어버렸던 ‘차이’를 되찾고자 한다. 이와 같이 1990년대 이후 김옥선, 니키리, 박영숙의 작품에서 다양한 여성 정체성의 ‘차이’가 새로운 여성 재현 방식으로 구현된다.;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photography after the 1990s embodies the postfeminist discourse on differences. Feminism began to be actively discussed in the early 18th century,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and liberalism. In the early years of its emergence, feminism fought based on the declaration that women and men are equal and, therefore, should enjoy the same rights. However, from the 1960s onwards, feminism gradually began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largel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Postmodernism opened up a new chapter for women, who until then had been perceived as the other and as a fixed category, to discuss diversity and differences. This led to a shift in the feminist paradigm from equity to difference through the postfeminist discourse from the 1970s. Political philosopher Nancy Fraser periodizes the postfeminist discourse on differences into three phases: gender difference that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differences among women from diverse cultural and racial backgrounds, and multiple intersecting differences that intersect with gender. These three phases exhibit the discourse on difference expanding over time. Discourse on difference can also be explored in detail through the works of Luce Irigaray, Hélèn Cixous, Gayatri Chakravorty Spivak, and Judith Butler.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study analyzes the work of female photographers Kim Oksun, Nikki S. Lee, and Park Youngsook. In doing so, the study aims to illuminate how the postfeminist discourse on differences manifests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ir works. French feminists Luce Irigaray and Hélèn Cixou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curing women's sexual independence through the philosophy of sexual difference and feminine writing to express an authentic female self, respectively. They advocate for establishing a new feminine identity and argue that this must begin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Gayatri C. Spivak looks at the lives of Third World women with the realization that Third World countries with a history of colonial rule are still culturally and economically subordinate to Western powers in her Subaltern theory, which focuses on the lives of Third World women who are doubly and triply marginalized in this context, pointing out the inability of Third World women to have a voice to speak for themselves. She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Western white-centered feminism in not being able to represent the lives of Third World women. She argues that differences can exist even within women and that being sensitive to these differences is the way forward for feminism. Judith Butler proposes a theory of performativity that argues that identity is not intrinsic but merely a performative effect, calling attention to the many differences that originate from the intersection of al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race, ethnicity, and class.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fter the 1990s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aesthetic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Korean photography, with a significant diversification in the use of media, production methods, and subject matters. This increased diversity in Korean photography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emale photographers and a change in how women are represented, especially by female artists. Among them,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works of Kim Oksun, Nikki S. Lee, and Park Youngsook notably embodies the discourse on differences. Through her series Woman in a Room, Happy Together, and Berlin Portrait, Kim Oksun reflects the phallocentric views by presenting women as real subjects rather than sexually objectified beings and reveals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emerge from their lives. Nikki S. Lee, through her Project series, deconstructs all differences by embodying how unfixed identities and performative subjects are constructed by crossing over various elements of difference, such as race, class, and sexuality. Park Youngsook endows the term Michinnyeon(crazy bitch), a word which used to mean abnormality, with emancipatory femininity and attempts to retrieve the hitherto lost differences through depicting women free from oppression and freely expressing her desires in the Mad Woman Project series. Thus, the works of Kim Oksun, Nikki S. Lee, and Park Youngsook embody the differences of diverse female identities through a new way of representing women after the 1990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