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5 Download: 0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uthors
신혜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rve the evidential and informational value of records and promote historical utilization by presenting a draft of description elem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It is very important to set description element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records, as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have various producers, complex contexts for collection and donation, and contain various subjects and war-related events. In addition,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re used in various fields of education, research, publication, and exhibition, and description elements related to access and usage conditions of photographic records are essential. However, there are no standardized description rul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because each institution that manages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has a different purpose of producing and collecting records,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records are acces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The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ISAD(G)) is a description rule that applies regardless of the form or medium of records, and it is difficult to reflect all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records. NAK 13:2022(v2.1) classifies photographic records as part of audiovisual records and provides description guidelines for each type of record according to description elements, making it difficult to describe record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institution case analyses, surveys, and expert evaluations to propose description el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Initially, a literature review, the overall concept of photographic records, such as the definition and value of photographic records, was examined, and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records of the Korean War were examined. Since it is important to define records by setting the scope of records collected around certain topics, such as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drawing from research by Lee and Yoon (2017) focusing o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riteria based on producers, activities, and temporal-spatial ranges were used to establish the scope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subjects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into people and objects based on a photo content analysis study by Kim Hyung-gon (2007). The subsequent analysis delved into the description elements of photographic records. A draft standard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scription elements of photographic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was established by comparing the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ISAD(G)) with national description standards from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current status and description practices of eight institutions managing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were examined, involving access to websites of eight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email surveys with eight record administrators, reques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and telephone inquiries. This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description standards and the description areas and elements of six institutions led to the derivation of the draft description elements of photographic records. Additional elements were formulated by consolidating survey respon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These draft elements were further evaluated by three experts, resulting in the final draft of the description elements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The final draft of description elements for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proposes a total of seven description domains, 39 description elements, and 52 sub-elements, with five essential elements and eight recommended elements. Moreover, 12 unique description elements and 21 unique sub-elements were presented. Focusing on essential and recommended elements as well as unique description elements,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each area were outlined as follows: First, in the identity area, elements like reference code(s), title, date(s) and level of description were considered essential, while elements like type, subtype and quantity under extent and medium of the unit of description were deemed recommended. Unique elements included preview of photographs, container list and place made. Second, in the context area, the name of creator(s) element described the various production contexts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nd the function and use element described specific activities, tasks, and busines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records, enabling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collecting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Third,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area, the elements were detailed to describe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comprehensively. The date of material element described the temporal range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t each institution, and the summary element described summary information of the records. The original caption element described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aptions of photographic records, and details regarding the subjects of photographic records were proposed under name, state, location in pictures and nationality. Indexing terms include function words, event names, personal names, organization names, place names, object names and subject names as sub-elements, where event names facilitated the construction of Authority Records to promote the use of records. Fourth, in the conditions of access and use area, the recommended elements include conditions governing access and the sub-element copyright information under conditions governing reproduction. Thorough management of these two elements was crucial for the utilization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dditional sub-elements related to digitalization were proposed unde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echnical requirements. Fifth, in the allied materials area,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and copy information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nd related record materials was described, proposing elements like related collections, exhibition information, reference materials and sub-elements like description of original form, quantity and related publication. Sixth, in the description control area, the cross-validation of description content element enabled the validation of description content and the description of results and related content. Finally, except for the description control area, the note element was included across all areas, allowing for the handling of content that could not be described by description elements in each description area. This research proposed description elements to efficiently manage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by setting the scope of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nd reflecting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description standards for Korean War photographic records and promoting their historical utilization.;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특징과 맥락을 반영한 기술요소(안)을 제시하여 기록물의 증거적·정보적 가치를 보존하고 역사적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은 생산 주체가 다양하고 수집 및 기증 등의 입수 맥락이 복잡하며, 여러 피사체와 전쟁 관련 사건의 내용을 내포하고 있어 해당 기록물의 특수성을 반영한 기술요소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은 교육, 연구, 출판, 전시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사진기록물의 접근과 이용조건에 관한 기술요소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을 관리하는 기관마다 기록물의 생산 및 수집의 목적이 다르고, 기관의 특성에 따라 기록물에 접근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어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특징과 맥락을 반영한 표준화된 기술규칙은 없는 실정이다. 국제표준 기록물 기술규칙인 ISAD(G)는 기록물의 형태나 매체와 상관없이 적용되는 기술규칙으로 사진기록물의 특성을 모두 반영하기가 어렵고, 국가기록원의 영구기록물 기술규칙(NAK 13:2022(v2.1))은 사진기록물을 시청각기록물의 일부로 분류하고 있으며 기술요소에 따른 기록물 유형별 기술지침을 제시하고 있어 기록물의 기술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특징과 맥락을 반영한 기술요소(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연구와 기관 사례 분석, 설문지 조사, 전문가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사진기록물의 정의와 가치 등 사진기록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범위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 사진기록물과 같이 일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수집한 기록물은 범위를 설정하여 기록물을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이유진, 윤은하(2017)의 연구를 기준을 참고하여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을 생산자와 활동,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특징은 김형곤(2007)의 사진 내용분석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피사체를 사람과 물체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은 사진기록물의 기술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제표준 기록물 기술규칙 ISAD(G)와 국내와 미국의 국가적 기술표준을 비교하여 사진기록물 관리 기관의 기술요소 비교분석을 위한 기준(안)을 만들었다. 국가적 기술표준을 사용하고 있는 국가기록원과 조지 이스트만 박물관(George Eastman Museum)을 포함한 국내·외 8개 기관의 홈페이지 열람과 기관 담당자 8명과의 e-mail을 통한 설문지 질의응답, 정보공개청구, 유선문의를 통해 한국전쟁 사진기록물 소장 현황과 기술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록물 기술표준 기준(안)과 6개 기관의 기술영역과 기술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사진기록물 기술요소(안)을 도출하고, 설문지 응답 내용과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특징을 종합하여 기술요소를 추가로 정리하였다. 이를 다시 전문가 3인에게 기술요소의 적합성과 개선 사항을 평가받아 한국전쟁 사진기록물 기술요소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한국전쟁 사진기록물 기술요소 최종(안)은 총 7개 기술영역과 39개의 기술요소, 52개의 하위요소를 제안하였으며, 총 5개의 필수요소와 8개의 권장요소를 제안하였다. 또한, 12개의 독자적 기술요소, 21개의 독자적 하위요소를 제시하였으며, 필수요소와 권장요소, 독자적 기술요소를 중심으로 영역별 기술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별 영역은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식별 정보를 기술하고자 참조코드, 제목, 일자, 기술계층 요소를 필수요소로 선정하고, 기술단위의 규모와 매체 요소의 하위요소인 종류, 유형, 수량 요소를 권장요소로 선정하였다. 독자적 요소로는 사진기록물의 썸네일 파일 정보를 기술하는 사진 미리보기 요소, 기록물이 보관된 컨테이너 내용의 시작 제목과 끝 제목을 기술하는 컨테이너 목록 요소, 사진기록물이 촬영된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기술하는 장소 요소를 제시하였다. 둘째, 배경 영역의 생산자명 요소는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다양한 생산 맥락을 기술하고, 기능 및 용도 요소는 기록물의 생성과 관련된 특정 활동이나 작업, 사업 정보 등을 기술하여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수집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내용과 구조 영역은 기술요소를 세분화하여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내용과 구조를 자세하게 기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자료 시기 요소는 각 기관에서 부여하는 역사적 연대 기준에 따라 시간적 범위를 기술하고, 요약 요소는 기록물의 요약 정보를 기술한다. 원본 캡션 요소는 사진기록물에 기재된 캡션 내용을 기술하고, 사진기록물의 사람 피사체에 대한 내용을 성명, 상태, 위치, 국적의 요소로 기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색인어 요소는 기능어, 사건명, 인명, 단체명, 지명, 물체명, 주제명을 하위요소로 제시하였으며, 물체명 요소는 전쟁 무기, 교량, 시설물 등의 정보를 기술하고 사건명 요소는 전거레코드를 구축하여 기록물의 이해와 활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넷째, 접근과 이용조건 영역의 권장요소로 접근조건 요소와 재생산 조건의 하위요소인 저작권 정보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물리적 특성과 기술적 요구사항 요소에는 디지털화와 관련된 하위요소들을 추가하여 제안하였다. 다섯째, 연관자료 영역은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원본·사본 정보와 기록물 관련 자료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며, 관련 소장품, 전시정보, 참고자료 요소를 독자적 요소로 제시하였다. 독자적 하위요소로는 사진류, 필름류를 구분하여 기술하는 원본 형태 기술 요소, 사진기록물의 사본 수량을 기술하는 수량 요소, 한국전쟁기 종군 기자들이 촬영한 사진기록물을 담아 발행한 관련 간행물 정보를 기술하는 관련 간행물 요소를 제시하였다. 여섯째, 기술통제 영역은 기술 내용 교차검증 요소를 제안하여 기술 내용의 교차검증을 실시하고 결과와 관련 내용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통제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 주기 요소를 포함하였으며, 각 기술 영역의 기술요소로 설명할 수 없는 내용은 주기 영역의 주기 요소에서 다룰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의 범위를 설정하고 기록물의 생산 배경과 특징을 반영하여 한국전쟁 사진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기술요소(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전쟁 사진기록물 기술표준(안)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새로운 기록물 기술표준인 Ric-CM을 토대로 기술요소를 고도화시켜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