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0 Download: 0

한국 4세대 여성 아이돌의 캐릭터 유형화 연구

Title
한국 4세대 여성 아이돌의 캐릭터 유형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racter Typology of 4th Generation Korean Female Idol Groups
Authors
PIAO HEYING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 아이돌 콘텐츠 중에서도 여성 아이돌의 콘텐츠의 스토 리텔링에 주목해 서사학적 시각에서 여성 아이돌 캐릭터를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한국 대중문화 산업의 한 분야인 아이돌 콘텐츠는 한국의 대표적인 문 화 콘텐츠이기도 하다. 현재 한국 아이돌은 단순히 음원과 음반의 결과물을 넘어서서 아이돌 IP(Intellectual Property)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 체를 통하여 콘텐츠를 생산, 유통하고 있고 아이돌 팬덤은 자발적으로 아이돌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 콘텐츠로서의 한국 아이돌은 콘텐츠 산 업에서 하나의 독립된 분야로 자리 잡았다. 아이돌 캐릭터는 다면성을 가지고 있다. 아이돌은 뮤직비디오, 자체제작 콘 텐츠 등 텍스트 속에 존재하는 허구적인 캐릭터인 동시에 콘서트, 팬 미팅 등 을 통해 실물이 보이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캐릭터 이미지인 형식적인 측면과 노래 가사, 뮤직비디오 줄거리, 세 계관을 포함하는 내용적인 측면이 서로 병립되어 나타나는 4세대 여성 아이돌 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유형화를 진행하고 유형별 특징을 도출한다. 그리 고 자기실현형 여성 아이돌 캐릭터가 주체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다고 보고 그 방식과 과정을 검토한다. 1~3세대 여성 아이돌 캐릭터의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은 중첩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세대 여성 아이돌은 에스이에스(S.E.S)와 핑클(Fin.K.L)이 그 중심이자 전체였고 이들의 이미지는 주로 요정이나 소녀 이미지에 국한되 었다. 한국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아이돌 기획 시스템이 체계화되면서 여성 아이돌 수가 급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세대 여성 아이돌의 캐릭터 이 미지도 다양해졌다. 특히 소녀시대(Girls' Generation), 카라(KARA), 원더걸스 (Wonder Girls)가 그 중심을 이루었고 투애니원(2NE1)은 걸스 힙합 장르의 음 악과 팜므파탈 이미지를 선보이면서 기존 여성 아이돌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3세대 여성 아이돌부터 캐릭터 이미지는 정형화되었다. 4세대 여성 아이돌이 1~3세대 여성 아이돌의 캐릭터와 차별화된 지점은 이 들의 노래 가사, 뮤직비디오 줄거리, 세계관에 있다. 4세대 여성 아이돌의 캐 릭터 이미지는 앞 세대 여성 아이돌들과 유사하지만 노래 가사나 기타 콘텐츠 를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거나 영웅 여정 세계관에 대한 이야기를 하 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4세대 여성 아이돌은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은 병립되어 나타난다. 먼저 2장에서는 4세대 여성 아이돌의 유형화를 진행한다. 여성 아이돌 캐릭터가 존재하는 세계를 핍진적 세계와 환상적 세계로 분류한다. 여성 아이돌의 핍진적 세계는 세계관의 배경이 현실 세계와 일치한 것처럼 보이지만 엔터테 인먼트에서 기획한 의도에 따라 현실처럼 만들어진 가면이다. 환상적 세계는 4세대 여성 아이돌 세계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평행세계, 다중 우주, 초능력, 이세계의 생명체의 등장과 같이 현실 세계에서의 요소들을 재조합한 새롭고 다른 세계를 의미한다. 핍진적 세계 혹은 환상적 세계에 존재하는 여성 아이 돌은 어떠한 동기에 의하여 행동을 하는데 본고에서는 여성 아이돌의 동기를 자기실현적 동기와 관계 지향적 동기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자기실현적 동기 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자기 내면의 가능성을 실현하기를 열망하는 것이고 관계 지향적 동기는 소속에 대한 갈구, 애정 혹은 우정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 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핍진적 세계와 환상적 세계를 한 축으로, 자기실현적 동기와 관계 지향적 동기를 다른 한 축으로 설정했을 때 여성 아이돌은 제1사분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제2사분면, 제3사분면 순으로 많았다. 제4사분면인 환상적 세계에서의 관계지향형에 속하는 여성 아이돌은 빌리(Billle) 한 그룹이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진행한 유형화 작업을 토대로 자기실현형 여성 아이돌 캐릭터가 주체적 지위를 획득한다고 상정하고 핍진적 세계에서의 자기실현형 대표 아이돌인 (여자)아이들((G)-IDLE), 아이브(IVE)와 환상적 세계에서의 자기 실현형 아이돌인 에스파(aespa)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여자)아이들과 아이브는 그들이 존재하고 있는 세상 속의 질서로부터 자유로워지기를 바라고 자신들이 정체성을 찾고, 자기 확신과 자기애의 실현을 열망한다. 타인 들의 평가와 억압, 정해진 기준을 위반하면서 주체적인 지위를 획득한다. 에스 파는 모험을 통해 영웅이 되고, 이 여정은 주체적인 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으 로 작용한다. 4장에서는 핍진적 세계에서의 자기실현형 여성 아이돌과 환상적 세계에서의 자기실현형 여성 아이돌이 어떤 방식으로 출현하였는지, 그리고 그 의의는 무 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환상적 세계에서의 자기실현형 여성 아이돌은 뮤 직비디오뿐 아니라 애니메이션, 웹툰, 웹 소설 등을 통해 자신들의 허구적인 세계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로써 수용자들에게 주어진 해석의 여지는 줄어들었고 이는 여성 아이돌의 팬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해주었다. 핍 진적 세계에서의 자기실현형 여성 아이돌은 초기 캐릭터의 동기가 유동적이고 자기실현과 관계지향 사이를 넘나들면서 존재하였다. 핍진적 세계에서의 자기 실현형 여성 아이돌의 수가 계속 증가하면서 이 유형은 안정화 단계에 들어섰 고 이들이 전달하는 자기실현적 메시지는 더욱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4세대 여성 아이돌은 허구적인 세계관을 앞세우고 정체성 찾기, 자기애, 자 기확신과 같은 자기실현형 메시지에 집중한다. 동시에 이들은 캐릭터로서의 여성 아이돌이 가질 수 있는 주체성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emale idol characters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storytelling in Korean idol content. As a sector of the Korean pop culture industry, idol content is also a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 in Korea. Currently, Korean idols have formed idol IP (Intellectual Property) and are producing and distribut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Idol fandom voluntarily consumes idol contents. Therefore, Korean idols as cultural contents have become an independent field in the content industry. Idol characters are multifaceted. On one hand, idols are fictional characters that exist in fictional text such as music videos and informal contents that is produced by the management or the group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idols are characters in real world that exist through concerts and fan meetings. This paper analyzes the juxtaposition of fourth-generation female idols’ formal aspect of character image and the content aspect of song lyrics, music video plot. The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 and process of female idol characters acquiring subjective status. The formal and content aspects of female idol character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generation shows overlapping aspect. The first generation of female idols was centered around S.E.S and Pink (Fin.K.L), and their images were mainly limited to fairy or girl images. As the number of female idols increased dramatically with the systematization of the idol planning system of Korean idol entertainment companies, the character imag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female idols also diversified. Second generation of female idols were centered on Girls' Generation, Kara, and Wonder Girls, while 2NE1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previous female idols by presenting music in the girls' hip-hop genre and a femme fatale image. Since the third-generation of female idols, the character image has been standardized. What sets the fourth generation of female idols apart from the characters of the first and third generations is their song lyrics, music video plots, and the group’s own fictional world. While their character images are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generations of female idols, the fourth generation of female idols define their identity through song lyrics and other contents, which contains narratives in the form of hero’s journey. In this respect, fourth-generation female idols are characterized by a juxtaposition of formal and content aspects. In Chapter 2, types of fourth generation of female idols are categorized. The worlds in which female idol characters exist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pervasive world and the fantastic world. The pervasive world of female idols is where the background of the fictional world appears to be consistent with the real world, but in reality, it is a mask that is created to look like realit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the entertainment. The fantastic world is new and different world that recombines elements from the real world, such as parallel worlds, multiple universes, superpowers, and the appearance of otherworldly creatures, which are found in fictional worlds of the fourth generation of female idols. Female idols who exist in pervasive or fantastic world are motivated by certain motives. In this study, we classify female idols' motives into two categories: self-actualization motives and relationship-oriented motives. Self-actualization motive is the desire to find one's identity and realize one's inner potential, while relationship-oriented motive is the desire to belong, establish and maintain affectionate or friendship relationships. When we set up the fantastic world as one axis and the self-actualiza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motives as the other axis, most groups were concentrated in the first quadrant, followed by the second, then the third. The only female idols in the fourth quadrant, relationship-oriented in a fantasy world, was Billle. Chapter 3 performs in-depth analysis of self-actualized female idol characters based on the typology in Chapter 2. First groups are (G)-IDLE and IVE, which are representatives of self-actualized idols in a progressive world. Second group is aespa, a self-actualized idol in a fantasy world, assuming that they acquire subjective status. (G)-IDLE and IVE aspire to be free from the order of the world in which they exist, to find their own identity, and to realize self-assurance and self-love. They achieve this status by violating the judgment, oppression, and established standards of others. On the other hand, aespa becomes a hero through adventure and this journey acts as the process of gaining empowerment. Chapter 4 examines how self-actualized female idols in the pervasive world and self-actualized female idols in the fantastic world emerged and what their significance is. The self-actualized female idols in the fantastic world presented their fictional world in detail not only through music videos, but also through anime, web toons, and web novels. This leaves less room for interpretation for the audience, which compensates for the limitations of female idol fandom. The self-actualized female idols in a pervasive world were initially characterized by flexible motivations, oscillating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relationship-orientation. As the number of self-actualizing female idols in the pervasive world continues to grow, this type has stabilized, and the self-actualizing messages they convey have become more proactive and enterprising. The fourth generation of female idols focuses on self-actualization messages such as identity exploration, self-love, and self-affirmation by bringing fictional world to the forefront. At the same time,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opened up new possibilities of agency for female idols as charac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