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한지유-
dc.creator한지유-
dc.date.accessioned2024-02-14T02:51:57Z-
dc.date.available2024-02-14T02:51:5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210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210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461-
dc.description.abstract화장품은 우리 생활 속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는 우리 생활에 밀접한 소비재 중 하나이다. 국내 화장품 규모는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고, 시장의 규모가 확장되고 기술 및 소득 수준이 성장함에 따라 상향 평준화된 화장품 시장에서 다양한 소비자의 관심과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화장품 시장은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이런 시장의 추세에 따라 화장품 구매액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인당 연간 약 60만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화장품에 소비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과 SNS의 발달과 확산으로 온라인쇼핑에 서도 화장품 거래액은 꾸준히 증가하며, 모바일 산업 시장 또한 대중화되며 소비자들은 직접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에 대한 정보, 성분 등을 확인하며 특정 효능과 성분들을 강조하는 마케팅은 브랜드사들의 일반적인 행태가 되었다. 화장품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되며 식품의약안전처에 특정 성분이 일정 함량 포함된 보고서를 제출한 기능성 화장품과 그 외 일반 화장품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시장에서생산 실적의 절반 이상인 55.35%를 차지하며 소비자의 관심이 가장 높은 제품류는 기초화장용 제품으로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분류를 구분하지 않고, 기초화장품류(화장수, 마사지 크림, 에센스, 오일, 로션, 크림 등)에 속하는 제품의 대표 기능별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드러그스토어 ‘올리브영’은 헬스&뷰티 스토어로 화장품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는 종합 화장품 판매점으로 다양한 브랜드를 취급하며, 수년간 화장품 브랜드 평판 지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영’에서 취급하고 있는 다양한 브랜드의 기초화장품을 판매량 기준으로 상위 30개의 제품을 대상으로 패키지의 색채 현황 분석과 현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패키지의 색채 적합도 평가, 효과적으로 느껴지는 배색에 대한 평가와 기능별 연상색채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현 시장에서의 색채 계획이 소비자도 적합하다고 느껴지는지 비교 분석하였고, 연상색채를 통해서 앞선 두 가지의 비교 분석과 더하여 유사성,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주요 기능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하였고, ‘올리브영’ 기초케어 카테고리에서 주요기능의 분류를 기준으로 분류했으며, 기능성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수분 공급(보습포함), 2) 미백(잡티 관리, 광채 포함), 3) 진정/트러블(피부 보호, 장벽 강화, 트러블관리 포함), 4) 안티에이징(탄력, 주름개선, 항산화, 영양 공급 포함). 본 연구는 ‘올리브영’ 온라인몰의 기능별 대상인 화장품 패키지 대표 이미지를 사용하여 색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용기의 재질 및 투명도를 구분하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소비자에게 보여지는 색채 그대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으로 소비자의 적합성 평가 또한 진행하였다. 색채의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또한 보여지는 이미지에서의 색채의 면적으로 구분하여 각 패키지의 색채 계획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현 시장의 기능별 패키지 색채 계획을 살펴보았다. 종합적으로 N계열이 각 기능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기능 색채는 N색채를 제외한 계열로 특성을 분류하였다. 4가지 기능별 색채는 모두 무채색과 유채색의 관계를 보이며, 수분은 유사 색조 특성을 보였으나 반면, 수분을 제외한 미백, 진정/트러블, 안티에이징은 모두 대조색조 특성으로 유사성을 보였다. 수분이 주요 기능인 제품에서는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서 모두 B, B에 가까운 RB계열에 집중 분포를 보였으며 고명도-저채도에서 높은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채색과 유채색/유사색조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백이 주요 기능인 제품에서는 YR계열에 가장 집중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그룹 형태로 고명도-저채도, 중명도-고채도, 저명도-저채도의 형태로 나타났다. Y, YR계열의 색상을 주조색, 보조색에 넓은 면적으로 적용한 배색이 높게 나타났다. 진정/트러블이 주요 기능인 제품에서는 GY, BG계열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중명도-중채도의 색조가 가장 많았다. 무채색과 유채색/대조색조 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G계열 색상이 보조색, 강조색의 배색으로 적용되는 분포가 가장 많았다. 안티에이징이 주요 기능인 제품에서는 YR, BR계열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그 중 Y20R 색상이 특히 집중되었다. 색조는 전반적으로 넓은 분포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고명도-저채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무채색과 유채색/대조색조 관계성을 보이며, 색채 팔레트에서 Y계열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둘째, 기능별 패키지 적합도와 배색 적합도 평가를 살펴보았다. 배색은 각 주요 기능이 효과적으로 느껴지는가에 대한 평가로 진행하였다. 수분이 주요 기능인 패키지에서는 전체의54% 비율로 B계열, 고명도 White N색상이 사용되었고, 배색 팔레트 기준으로는 B가 높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유사 색상 관계의 배색과 가장 큰 면적의 부분에 기능 색채가 적용되는 배색과 용기의 1/4 면적에 기능 색채가 적용 되어 주목성을 가지는 표본이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미백이 주요 기능인 패키지에서는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고명도-저채도의 Y계열이 높았으며 배색 팔레트에서도 Y가 높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유사 색상관계와 기능 색채가 강조되는 배색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보색을 사용하는 배색 형태도 긍정적인 응답을 얻었으며, 강조 배색에서는 가장 큰 면적에 무채색, 강조색을 기능 색채를 사용한 것이 효과적으로 느껴진다고 나타났다. 진정/트러블이 주요 기능인 패키지에서 상위로 선택된 패키지는 모두 G계열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주조색으로 적용된 패키지가 높은 적합성 평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유사 색상 관계와 보색을 사용한 배색 또한 긍정적인 응답을 얻었으며, 패키지의 넓은 면적에 기능 색채가 적용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느껴진다는 답변이 많았으나, 기능 색채가 전체 면적에 100% 적용된 배색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응답 결과를 볼 수 있었다.안티에이징이 주요 기능인 패키지에서는 적합도의 상위권으로 나타난 패키지는 YR계열의 특성을 보였으며, 전반으로 주조색에 적용되었고 중-저명도, 중-저채도의 색채 특성을 보였다. 배색에서는 전체 면적에 100% 기능 색채가 적용된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얻었으며, 강조색으로 무채색을 적용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능별 연상 색채와 연상되는 이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는 ‘수분’에서는 물과 바다, 물방울 등의 자연적인 이미지의 연상이 가장 높았으며, 연상된 이미지의연관으로 맑음, 투명함 등이 영향을 주어 전반적으로 B계열의 Light, Bright와 같은 고명도-저채도의 색조가 연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백’에서는 ‘비타민’, ‘하얗다’, ‘밝다’ 등의 경험과 느낌에서의 연상이 강하게 작용되었으며 전반적으로 Y계열의 Vivid, Bright, Light와 같은 어둡지 않은 톤이 연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정/트러블’에서는 ‘티트리’, ‘시카’ 등의 원료의 색상과 ‘자연-자연 색상’을 연상하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G-G50Y계열의 Vivid, Strong톤의 중-고채도의 색상이 높은 응답을 받았다. ‘안티에이징’에서는 ‘기존 제품 연상’에 관한 응답이 절반 이상의 높은 수치로 특정 두 가지 브랜드의 언급이 가장 많았으며, 그 영향으로 Y계열의 Dark, Dark Grayish톤의 전반적으로 어두운 중-저명도, 중-저채도가 연상 색채로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시장의 판매중인 화장품 패키지들의 색채 특성 분석 결과와 설문에서 분석한 기능별 색채, 배색 적합도의 결과, 더하여 기능별 연상 색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전반적으로는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기능별로 현 시장의 색채 특성과 설문 응답자들의 결과는 상이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었다. 수분과 미백이 주요 기능인 제품들은 두 가지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볼 수 있었지만 진정/트러블 기능에서는 색상 계열을 유사하지만 배색에서는 현 시장에서는 대조적인 색상 특성을 볼 수 있었지만, 설문의 결과에서는 유사-동일 색채 특성으로 비교적 유사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안티에이징 기능에서는 가장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현 시장의 색채 특성으로는 Y20R에 특히 집중된 현상이 있었으나, 설문의 응답에서는 특정 브랜드의 제품명이 높은 빈도로 특정 제품의 패키지와 유사한 색채에 관한 응답으로 Y50R, Dark톤에 관한 응답률이 높아 가장 대조적인 응답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 보았을 때, 현 시장의 기초화장품 패키지 색채 현황이 설문에서 진행한 결과와 비교적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별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계열의 색상을 적용하지만, 효과적으로 느껴지는 배색 특성에서는 차이가 있었고, 연상 색채에서도 기능별로 소비자들의 응답은 일관된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기능마다 특정 사물, 자연, 특정 제품 등의 연상이 강하게 작용하여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색채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분’, ‘진정’ 등은 자연적인 것에 서 느껴지는 연상의 결과로 도출된 응답이 높았지만, ‘미백’과 특히 ‘안티에이징’ 기능에 있어서는 학습된 색채에 관한 연상의 응답을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기능별 색채의 방향성을 모색할 때, 색상 계열 설정에서 조금 더 구체적인 색채 계획의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설문의 분석으로 예측된 색채를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없지만, 전반적으로 주요 기능에 따라서 적합도가 높은 색채와 배색을 적용하였을 때, 소비자가 화장품 패키지의 시각적인 요소로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며 주요 기능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느껴지게 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Cosmetics are one of the consumer good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The scale of the domestic cosmetics market is constantly growing, expanding both online and offline. Besides, consumers' interests and needs are becoming more segmented due to t he growth of technology and income levels. Consumers seek information about cosmetics that suit their skin, ingredients and more, and marketing that emphasizes specific benefits and ingredients has become a common practice for many brands. This study class ified fundamental cosmetic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ir primary functions. 1) moisturizing (including hydration), 2) brightening (including blemish control and radiance), 3) soothing/troubling (including skin protection, barrier strengthening and troubleshooting) and 4) anti aging (including firming, anti wrinkle, antioxidant and nourishing). In addition, a survey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lor suitability and perceived efficacy of the top 30 prod ucts on the market for each function and compare them to the current market. Moreover, a survey of color associations by func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asons for color associations, and a comprehensive comparis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or scheme of fundamental cosmetics by major function, the tendency to focus on specific colors, and the study of which colors consumers consider appropriate for each function, focusing on the color of the packaging.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which color scheme is most effective for each function and how consumers perceive it, and to provide guidance for color and scheme planning for each function to meet consumer needs and develop competitive product packages. The study focused on the colors of product images displayed in online (PC, mobile) environments, and the colors were extracted based on what was displayed on the screen, no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or material,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nd er the same cond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lor trends by major function in the market showed that all four major functions were related to achromatic and oil colors. In the 'moisturizing' category, the B and RB (close to B) series were concentrated. In the "whit ening" category, the YR series was concentrated,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of the Y/YR series occupied a large area of the color palette. In the "Soothing/Trouble" category, GY and BG were highly dominant, and in the "Anti aging" category, YR an d BR were highly prevalent, with a special concentration of Y20R. Seco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lor suitability evaluation by key function, and the sample consisted of the top 30 packages in the current market, with the brand and product name removed to show only the color. For 'Moisture', more than half of the pa ckages (54%) responded with B and high brightness white N colors; for 'Whitening', high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Y colors; and for 'Soothing/Trouble', the top responding packages were all G colors. For Anti Aging, the YR color family with medium to l ow brightness and saturation characteristics had the highest response. Third, the researcher evaluated color suitability by key attributes. By varying the amount of color applied to the same contain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select the sample that felt most effective and found that 'Moisture', 'Whitening' and 'Soothing/Tr ouble' all had the highest responses to the same similar color scheme. In contrast, 'Anti aging' had the highest responses to the color scheme applied to 100% of the total area. Fourth, the researcher evaluated color associations for each essential function. For 'moisturizing', the natural image association was high, and responses were high for the B series Light and Bright shades with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for 'whit ening', the experience and feeling association was high, and overall responses were high for non dark shades such as the Y series Vivid, Bright and Light. For 'Soothing/Trouble', Vivid and Strong shades in the G G50Y series were the most popular, with many associations to the product's ingr edients. For 'Anti aging', product names and packaging colors of specific brands were mentioned, and darker colors in the Y series, such as Dark and Dark Grayish, were the most popular colors for associations. When analyzed as a whole, the responses showed relatively similar families and characteristics for each function. However, they also contrasted with the current color trends in the marketplace due to the focus on color schemes, specific colors, and the imp act of associative colors. Thu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appropriate colors for each function and effective color schemes in cosmetic packaging are different and difficult to unify. In addition, associative colors show that the most robust association s vary by function,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predict what consumers will associate with a specific function and how it will work most effectively. Although it cannot be said that the use of specific colors and shade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study is unconditionally the right direction, the use of colors and shades that are suitable for conveying information and aesthetics accord 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 packaging may have an impact on consumers' understanding of produc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planning the color and shade scheme of cosmetic packages by function in the future, and for developing competitive packages that are perceived more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C. 연구의 한계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화장품의 정의 및 시장 현황과 소비 특성 8 1. 화장품의 정의 및 분류 8 2. 국내 화장품 시장 현황과 소비 특성 9 3. 국내 화장품 온라인 시장 현황 10 B. 패키지 디자인의 이해 11 1.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과 기능 11 2.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 11 3.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색채의 역할 12 4. 패키지 디자인에서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 13 Ⅲ. 기능별 화장품 패키지의 색채 현황 16 A. 분석 대상 선정 16 B. 색채 측정 도구 및 분석 방법 20 C. 기능별 화장품 패키지의 색채 특성 분석 22 1. 수분 기능성 패키지 색채 현황 분석 종합 41 2. 미백 기능성 패키지 색채 현황 분석 종합 65 3. 진정/트러블 기능성 패키지 색채 현황 분석 종합 89 4. 안티에이징 기능성 패키지 색채 현황 분석 종합 113 D. 기능별 화장품 패키지의 색채 현황 분석 종합 요약 117 Ⅳ. 기능별 화장품 패키지의 색채 및 배색 적합성 연구 119 A. 설문 조사 개요 119 1. 설문 목적 및 대상 119 2. 설문 조사 도구 및 분석 방법 120 3. 설문지 구성 124 B. 설문 조사 대상자의 특성 125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25 2. 기능별 화장품 구매 실태 126 C. 기능별 화장품 패키지 색채 및 배색 적합도 평가 127 1. 기능별 패키지 색채 적합도 평가 종합 분석 143 D. 기능별 연상색채 분석 145 E. 설문 결과 요약 154 F. 기능별 화장품 패키지 색채 특성과 설문 결과 비교 분석 158 Ⅴ. 결론 및 제언 160 참고 문헌 165 부록 (설문지) 167 ABSTRACT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011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1-
dc.title기초화장품 패키지의 색채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주요 기능별 색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in Fundamental Cosmetics Packaging - Focusing on Color by Primary Function-
dc.creator.othernameHan, JiYu-
dc.format.pagexv, 1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컬러디자인테크놀로지전공-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컬러디자인테크놀로지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