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 Download: 0

온도감에 따른 grayish한 색채와 중성색의 동시대비

Title
온도감에 따른 grayish한 색채와 중성색의 동시대비
Other Titles
Simultaneous contrast of Chromatic neutrals according to the Apparent warmth of grayish colors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Keywords
Grayish, Grayness, Apparent warmth, Chromatic neutral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Gray의 속성에 해당하는 grayness는 무채색으로 분류되는 gray와 달리 다양 한 물체 표면에서 관찰된다. Hering의 이론을 뒷받침하여 gray는 6개의 색상 (Yellow, Blue, Red, Green, White, Black)의 기준색이 된다는 Nayatani의 주장 에 따라 색공간의 중심축에 존재하는 색채의 속성인 grayness는 색채 간의 관 계성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ray의 속성 이 느껴지는 색채의 grayness, 명도, 채도의 범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 를 ‘grayish한 색채’로 정의하였다. 사람들이 grayish하다고 느끼는 저채도 범 주 내 색채를 알아보고, 평가된 온도감에 따라 분류하여 이를 중성색 (Chromatic neutrals)의 배경색으로 인접했을 때 나타나는 중성색의 동시대비 효과와 함께 결과를 보인 저채도 배경색의 범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Grayish한 것으로 지각되는 색채는 RB, BG, N계열에서 다수 나타났으며, 10 이하의 저채도에서 65.45이상의 grayness 값을 가진 다양한 중-고명도의 색채 들이 추출되었다. 이를 평가된 온도감에 따라 분류한 결과, 다수의 GY, Y계열 이 ‘warm’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ool’로 평가된 다수의 색상 계열은 RB, BG 로 나타났다. Warm/Cool/Neutral의 온도감 유형에서 grayness 범주에 따른 큰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cool’ 과 ‘neutral’ 한 색채의 채도는 ‘warm’ 의 채도 범주보다 조금 더 넓었다. 서로 유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모습 을 보이며, 같은 색상 계열에서도 저채도 범주 내의 일부 특정한 색채들은 서 로 다른 온도감으로 느껴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감의 결과에 따라 추출된 색채에서도 중성색과 유사한 명도와 채도를 가진 색채를 중성색의 배 경색으로 인접시킨 결과, 온도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 저채도가 배색될지라 도 중성색에서는 온도감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도감이 느껴지 는 색채가 인접할지라도 그 배경의 명도, 채도가 중성색과 유사하면 해당 중 성색에 대한 온도감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온도 감이 느껴지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 저채도의 유채색이 배경색으로 인접한 경 우에 중성색에서 각기 다른 온도감을 보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Grayness corresponds to the attribute of gray and, unlike gray classified as achromatic, is observed in various colors on object surfaces. According to Nayatani's claim, supported by Hering's theory, gray, position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olor space, becomes the reference color for six colors (Yellow, Blue, Red, Green, White, Black). Grayness, as a property of color existing on the central axis of the color space, plays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r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categories of grayness, brightness, and saturation perceived in colors that exhibit the properties of gray and defined them as 'grayish colors.' We investigated low-saturation colors perceived as grayish, classified them based on evaluated Apparent warmth perceptions, and examined the categories of low-saturation background colors that exhibit simultaneous contrast effects with Chromatic neutrals when adjacent. Colors perceived as grayish were predominantly found in the RB, BG, and N categories. Various mid- to high-saturation colors with grayness values of 65.45 or higher were extracted at saturation levels of 10 or below.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valuated Apparent warmth perception, many colors in the GY and Y categories appeared 'warm,' while those evaluated as 'cool' were predominantly in the RB and BG categorie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pparent warmth perceptions (Warm/Cool/Neutral) based on grayness categories, the saturation of 'cool' and 'neutral' colors was slightly broader than that of 'warm' colors. Even within similar ranges, specific colors in the low-saturation category within the same color category could be perceived with different Apparent warmth perceptions. Despite low-saturation colors showing minimal Apparent warmth perception, when juxtaposed with Chromatic neutrals with similar brightness and satur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Apparent warmth could still be challenging. On the contrary, when low-saturation chromatic colors, assessed as lacking a perceived Apparent warmth sensation, were juxtaposed with Chromatic neutrals as background, the Chromatic neutrals exhibited distinct Apparent warmth percep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