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 Download: 0

책가도 모티브 전통 굿즈 디자인 개발 연구

Title
책가도 모티브 전통 굿즈 디자인 개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rchandise Designs Inspired by Scholar’s Accoutrements : An Analysis of Traditional Merchandis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nomics
Authors
이수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Keywords
전통 굿즈, 책가도, 문화경제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정
Abstract
과거 공예가의 영역이었던 문화상품 개발은 디자이너의 참여로 대중성을 가 지고 재탄생하게 되었고, 전통 굿즈라는 포지션으로 문화산업 내 시장을 활성 화시키고 있다. 전통 굿즈는 우리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유대감을 느 끼게하며, 이를 통해 전통 문화유산의 계승과 보존이 가능하다. 전세계적으로 문화산업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전통 굿즈 개발은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문화산업의 일부로 전문성 확보가 필수적인 사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경제학 관점에서 전통 굿즈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래픽 실험을 통해 전통 굿즈의 개발 과정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며 보다 전략적인 방 법으로서 상품 개발의 방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 단계에서 문화경제학 관점에서 전통 굿즈를 고찰하고 문화산업 활성화 정책의 일부로서 문화상품 개발 사업의 평가 항목을 분석하여 전통 굿 즈의 특성을 도출한다. 전통 굿즈는 ‘상품의 미학성’, ‘상품의 전통성’, ‘상품 의 상징성’, ‘상품의 시장성’, ‘상품의 실용성’, ‘상품의 창의성’ 이라는 6가지 특성을 가진다. 선행 연구 과정에서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상품 개발 지원 사업에 직접 참여 하였다. 미학성, 전통성, 상징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선시대 서화 중 김은 호의 <백학도>, 이암의 <화조묘구도>, 이형록의 <책거리>를 활용하여 상품을 개발하였다. 전통 문화유산의 고유한 미감과 전통성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맞 추어 실험을 통해 적합한 그래픽을 선정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 도록 상품군과 생산 방향을 결정하였다. 지원사업을 통해 전통 굿즈를 생산하 여 제작 비용과 마케팅 비용이 들지 않았으며, 출시와 동시에 안정적인 유통 처에 입점이 가능했다. 다만 그래픽 실험을 통해 작품을 래스터화하는 과정에서 상품의 전통성과 상징성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보 완하기 위해 작품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품 연구 단계에서 선행 연구 진행시 높은 판매율을 기록한 책거리 시리즈 를 기반으로 전통성과 상징성 측면에 집중하여 상품을 개발하였다. 책거리보 다는 책장에 기물과 책이 배치된 책가도가 더 전통성이 있는 작품이라 판단되 어 이형록의 <책가도>를 활용한 그래픽 연구와 상품 개발을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평면적으로 재현된 전통 문화유산의 아쉬움을 극복하고자 입체적 재 현을 시도하였다. 작품의 특징인 독특한 투시를 담고자 다양한 그래픽 실험을 시도하고 책가도의 형태를 닮은 ‘선비의 책장’ 전통 굿즈를 개발하였다. 전통 굿즈는 긴 역사를 가진 우리의 전통 문화유산을 시대에 맞게 재해석함 으로써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 구는 전통 굿즈가 단기간의 유행이 아닌 한국 전통 문화의 연장선으로서 K-Culture로 다루어질 수 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Traditionally, the realm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was confined to artisans and technicians. However, with the advent of designer involvement, these products have been reimagined, gaining widespread popularity. This transformation has injected vitality into the cultural industry market through the concept of Traditional Merchandise. Such merchandise play a critical role in the cultural industry, requiring a deep understanding and creative perpetu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us necessitating professional expertise. This study, from a cultural economics standpoint, identifies the unique attributes of traditional merchandise, illustrates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graphic experiments, and demonstrates strategic product development steps. The study showcases five instances of traditional goods that have sparked social interest over the past two years, highlighting that the essence of contemporary traditional merchandise lies in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o encapsulate the creator's interpretation and modern application. Furthermore, it links the assessment criteria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as part of cultural industry stimulation policies, with David Throsby's cultural value theory. This approach brings to light six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rchandise: aesthetic, traditional, symbolic, marketability, practicality, and creativity. Building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demonstrates the process of creating market-competitive products by participating in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support projects. During this process, further research is conducted to more effectively represent the diminishing aspects of tradition and symbolism in the graphic portrayal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 artistic investigation reveals that of the six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goods, aesthetics, tradition, and symbolism are manifested in the product's graphic design, while marketability, practicality, and creativity are determined by the product's category. This research anticipates that by leverag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s an inspir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following Korean design history's trajectory, there will be an ongoing, dynamic engagement in research aimed at fortifying cultural ident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