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 Download: 0

궁궐 단청문양을 활용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Title
궁궐 단청문양을 활용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Other Titles
Utilization of royal court 'Danchung’ patterns in Super graphic design
Authors
이다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Keywords
궁궐 단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산업사회에서 시대적 가치는 지식과 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확장된다. 이에 예술과 디자인의 활동 양상 또한 빠르게 세계화되었으며 그 가치는 무한의 영역으로 전환되었다. 대한민국의 음악, 음식, 패션 등 대중문화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개되고 있으며, 대중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더불어 한글과 전통 문양과 같은 고유한 문화에 대한 관심 역시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전통 문양 중 '단청'은 문화의 정수로 손꼽힌다. 이 문양은 궁궐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어 건축물을 미화하고, 다양한 문양으로 한국의 아름다움을 시각화한다. 단청의 정교한 무늬와 강렬한 색채에는 미(美)에 대한 갈망이 반영되어 있으며 현재 계승되고 있는 전통문화 예술창작 분야와도 연관을 가지며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자연적, 역사적 그리고 종교적인 문양을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우리 민족 고유 미술 자체로서 그 대표성을 가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결국 '단청'은 단순한 장식의 요소를 넘어, 지난 시대 선조들의 품격과 문화, 종교의 가치를 내포한 한국의 중요한 전통 문화인 것이다. 그러나 단청은 표현에 있어 전달 방식, 즉 매체가 한정적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미디어 파사드라는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매체를 활용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미디어 파사드로 구현되는 단청의 상징과 의미가 새로운 공간과 만나 또 다른 이미지와 의미가 파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건축물을 외형적으로 아름답게 장식한다는 점에서 미디어 파사드와 단청의 기능적 유사성이 있으며, 시각화된 이미지를 통해 건축물과 주변 공간에 상징적 염원과 안녕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보다 큰 목적을 공유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를 가장 잘 담고 있는 조선시대 5대 궁궐(경복궁, 경희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내부의 단청 문양을 시각적 조형성과 기호학적 상징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곡선과 면을 이용하여 단청의 문양을 조화롭게 정돈하고 이를 슈퍼그래픽과 같은 현대적 디자인 요소와 융합하여 다채로운 시각으로 미디어 영상을 작업하였다. 한국 고유의 단청 문양을 미디어 파사드 기법으로 건축물과 결합함으로써 시간적 한계를 초월한 신구의 조합을 실현할 수 있으며, 파리의 개선문,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세계 문화 건축물에 단청 문양을 적용함으로써 한국과 세계의 화합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단청 문양이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국내 및 국외에서 문화예술로 인정받을 수 있고, 한국전통 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In industrial society, the value of an era rapidly expands and transforms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Correspondingly, the dynamics of art and design activities have swiftly globalized, transitioning their value into an infinite realm.Notably, South Korea's rich cultural tapestry, spanning music, cuisine, fashion, and more, finds representation through diverse media channels, heightening global interest not only in mainstream culture but also in the unique elements such as Hangul and traditional patterns. In particular, among the traditional patterns, 'Dancheong' stands as a cornerstone of cultural essence. This is utilized to adorn palaces, glorifying architectural structures, while visualizing the beauty of Korea through its diverse array of patterns. The intricate patterns and vibrant color palette of Dancheong reflect a yearning for beauty (美) in Korean), while also bearing relevance to the ongoing legacy within the realm of traditional cultural artistic creation. Moreover, it is acclaimed as emblematic of our distinct indigenous art, presenting a systematic display of natural, historical, and religious patterns. Ultimately, beyond its decorative function, 'Dancheong' encapsulates far more—incorporating the dignity, cultural heritage, and spiritual values intrinsic to Korea’s bygone eras, thereby solidifying its pivotal role as an essential traditional cultural facet. However, Dancheong faces limitations in its expression due to the confinement of its means and mediums. To surmount these constraints, this study harnesses the potential of the media facade—an avenue that transcends spatial boundaries—envisioning the convergence of Dancheong's symbolism and meaning with novel spatial contexts, thereby unlocking manifold possibilities of imagery and significance. Furthermore, both the media facade and Dancheong share functional parallels; not only do they serve to aesthetically adorn architectural edifices, but they also bestow upon these structures and their surrounding spaces aspirational and serene symbolism through visualized imagery. Accordingly, this study delved into the analysis of Dancheong patterns within the five prominent Joseon palaces (Gyeongbokgung, Gyeonghuigung, Changdeokgung, Changgyeonggung, Deoksugung) from the viewpoints of visual morphology and symbolic semiotics. Additionally, utilizing various curves and surfaces, the study organized Dancheong patterns in a cohesive manner and merged them with contemporary design elements, akin to supergraphics, crafting a vivid array of visual media compositions. Through the fusion of Korea's unique Dancheong patterns with the architectural technique of media facades, this study seeks to forge a novel integration transcending temporal confines, symbolizing the fusion of Korean and global cultures. It envisions the application of Dancheong patterns to iconic global cultural structures like the Arc de Triomphe in Paris or the pyramids in Egypt. Ultimately, this study anticipates that Dancheong patterns, facilitated by media facades, will be acknowledged as cultural art form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prog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