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 Download: 0

북한 『철학연구』에 나타난 주체철학 분석

Title
북한 『철학연구』에 나타난 주체철학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Juche idea in 『Philosophical Research』 of North Korea : focused on the role of People’s Public
Authors
권혜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Keywords
주체철학, 철학연구, 인민대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지난 70여 년간 북한체제의 지속 이유로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높은 수준의 체제 통합성으로 보고 그 원인을 정치사상 힘, 주체사상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북한당국은 물리적인 힘과 함께 주체사상을 최고 위상으로 하는 하위정치 담론들로 인민들의 사고를 압도하며 사상으로 북한당국이 바라는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인간으로 교양, 체화, 개조에 힘쓰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체사상이 어떻게 이론, 체계화를 거치며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용되며 체제 유지에 이바지해 왔는지를 『철학연구』라는 매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철학연구』는 1962년 창간되어 현재까지 발간되고 있는 북한 유일의 철학전문 학술지로서 북한 철학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연속간행물이다. 『철학연구』는 연속간행물의 특성으로 북한 공간(公刊)문헌의 고질적인 개찬 현상을 면할 수 있었으며 지난 60여 년간 북한의 지도사상으로 군림해 온 주체철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적인 해석을 찾아볼 수 있는 매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1962년에서 현재까지 발간된 『철학연구』의 3,029편의 논문을 주체철학과 일반철학으로 구분하고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분류하여 분야별, 시기별 연구 흐름을 살펴보았다. 북한 철학은 주체의 원리-이론-방법을 망라한 주제들을 다룬 주체철학과 주체의 방법론이 적용된 철학의 각 분야 학문인 일반철학으로 구분되며 『철학연구』에 게재되는 비율은 7대 3의 비율로 주체철학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체철학은 주체사상의 체계에 대한 주제들(원리-이론-방법)뿐만 아니라 주체사상을 보완하기 위해 시기별로 등장하는 다양한 하위담론들(주체담론과 민족담론)을 대한 해설과 분석을 다룬 논문들이며, 일반철학은 철학의 개별분야인 심리학, 윤리학 등의 관점에서 주체사상을 보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북한 철학에서 주체철학과 일반철학은 상호보완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체의 북한 철학을 전일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체철학으로 분류되는 담론들은 주체담론과 민족담론으로 유형화하였으며, 주체담론은 지도사상과 그 하위담론으로, 민족담론은 사회주의 건설 초기부터 주체담론을 보완해 온 사회주의적애국주의 계열의 담론들로 구분하였다. 이를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김일성시기에는 주체담론과 민족담론이 구분하여 등장하였으며, 김정일시기에도 두 담론이 구분하여 등장하였으나 민족담론들이 전면에 등장한 시기였다. 김정은 시기에는 주체담론과 민족담론이 융합한 담론들이 등장하는데, ‘김정일애국주의’, ‘우리 국가제일주의’가 대표적이다. 두 유형의 담론이 내용상 융합이 가능한 원인은 김정일 시기 주체철학이 애국, 애족, 애민의 사상으로 재정립되었기 때문이다. 북한 철학은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 “사회발전의 주인은 인민대중이며 그것을 추동하는 힘도 인민대중에게 있다”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한 주체사상의 철학 원리로 요약된다. 북한 스스로 “주체사상이 구현된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주의”라고 주장하며 계급에 기반한 맑스-레닌주의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체사상이 인민대중을 선택한 이유로 북한이 해방 당시 처한 현실과 김일성의 권력의지에서 찾고 있다. 식민지 해방의 결과로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된 저발전 국가들이 공통으로 처했던 노동계급의 수적 열세와 영향력의 미비는 소수파에 불과한 김일성이 더 많은 대중을 자신의 주변에 묶어 두기 위해서 인민대중을 선택하는 것이 낫다고 여기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체사상이 사회발전을 주인이자 모든 것을 결정하고 이룩할 힘을 가졌다는 능동형의 주체인 “인민대중”에 관련한 논문들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인민대중”과 관련된 개념의 변화, 다른 사회적 집단과의 관계, 주체담론에서 주장하는 “인민대중”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철학연구』에 나타난 “인민대중” 담론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 “인민대중”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에 도달하기 위해서 반드시 “새 형의 주체의 공산주의자”로 개조되어야 하는 대상이며, 수령-당-대중의 통일체인 사회정치적생명체라는 사회적집단에서 최고뇌수인 수령과 중추인 당의 영도를 받는 지체(肢體)에 불과한 수동적인 존재일 뿐이었다. 북한당국은 국가의 자주성은 정치적 자주성을 의미하며 제국주의에 예속되지 않는 자립경제가 나라와 민족의 자주성의 토대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지난 70여년 간 북한당국이 자립적 민족경제를 이룩하기 위해서 “인민대중”에게 요구한 것은 외부의 원조 없이 내부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인민대중의 사상의 힘만을 강조하였다. 즉, 북한당국이 강조해온 경제정책은 자력갱생의 원칙에 따른 대중운동, 속도전밖에 없었다. 문제는 이것이 북한경제발전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음에도 여전히 북한은 사상의 힘만을 강조하는 데 있다. 북한은 주체담론과 민족담론에 자주성이란 공통점에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에 더해 “인민대중”의 노동력을 요구하는 자력갱생의 공통점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체사상의 철학원리에서 개념화한 “혁명의 주체인 인민대중”의 실질적 역할은 최고지도자와 당의 영도를 받아 “혁명을 수행하는 주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체철학이 체계화를 시작한 1960년대 초부터 발간한 『철학연구』를 통해 “인민대중”에 대한 개념의 발현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북한체제의 존속 원인이 수령의 지시에 충실히 따르는 인민대중들의 자력갱생에서 있으며 북한당국이 이를 위해 끊임없이 강조하는 정치사상의 힘으로 규명해내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political ideology and Juche idea, as a prime mover in a high level of system integration led by the supreme leader which has driven the durabil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over the past 70 year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overwhelm people's thinking, and are striving to cultivate, embody, and reform the socialist and communist people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ant through subpolitical discourses where Juche idea is the highest status along with physical force.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how Juche idea has been theorized, systematized, flexibly adapte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contributed to system maintenance through a medium called 『Philosophical Research』. 『Philosophical Research』 is the only journal specializing in philosophy of North Korea that was founded in 1962 and has been published until now, and is a serial publication that can comprehensively examine changes in North Korea philosophy. 『Philosophical Research』 is a medium wher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an find an official interpreta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Juche's philosophy, which has reigned as North Korea's guiding ideology over the past 60 years, and has been able to avoid the chronic alteration of North Korea’s public literature due to the nature of serial publications. In this study, the 3,029 articles of 『Philosophical Research』 published from 1962 to the present were divided into subject philosophy and general philosophy, and classified into major, medium, and subcategories to examine research trends by field and period. North Korean philosophy is divided into Juche philosophy, which deals with themes covering Juche's principle-theory-method, and general philosophy, each field of philosophy to which the methodology of the subject is applied, and the ratio of publication in 『Philosophical Research』 is 7:3, Juche philosophy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Juche philosophy is papers that explain and analyze not only the themes (principle–theory-method) of the system of Juche idea but also various sub-discourses (Juche discourse and ethnic discourse) that appear at different times to complement Juche idea, and general philosophy complements Juche idea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ogy, ethics and etc., which are individual fields of philosophy. In this way, in North Korean philosophy, Juche's philosophy and general philosophy show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and constitute the Juche’s North Korean philosophy holistically. In this study, the discourses classified as Juche philosophy were typified into Juche discourse and ethnic discourse, Juche discourse was divided into leading ideology and sub-discourse, and ethnic discourse was divided into socialist patriotic discourse that has complemented Juche discourse since the beginning of building socialism. Looking at this as the period of Kim Il-sung, Kim Jong-il, and Kim Jong-un, Juche discourse and ethnic discourse appeared separately during the Kim Il-sung era and although the two discourses appeared separately during the Kim Jong-il era, provided that, it was a time when ethnic discourses came to the forefront. During the Kim Jong-un era, discourses combining Juche discourse and ethnic discourse appeared, and “Kim Jong-il's Patriotism” and “Our State First” are representative. The reason why the two types of discourse can be fused in terms of content is that the Juche's philosophy of the Kim Jong-il era was re-established as the ideology of love of the land, the nation, and love the people. North Korean philosophy summarizes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Juche idea based on the propositions “Man is the master of everything and decides everything” and “the master of social development is the People's public and the People's public also have the power to drive”. North Korea itself argues that it is “People’s public centered socialism in which Juche ideas is embodied,” and it differentiates itself from class-based Marxism–Leninism. This paper sees the reason that Juche idea chose the ‘People's public’ is the reality that North Korea faces at the time of liberation and Kim Il-sung's will to power. The numerical inferiority and lack of influence of the working class, which were common among underdeveloped countries that established socialist countries as a result of colonial liberation, led Kim Il-sung, who was only a minority, to think it would be better to choose the “People’s public” in order to bind more people around him. Therefore, this study delves into the papers related to the “People's public”, which is an active entity that says that Juche idea is the owner of social development and has the power to determine and achieve everything, and tracked changes in concepts related to the “People's public”, relationships with other social groups, and the role of the “People's public” asserted in Juche discourse. The results, tracked changes in the discourse of “People's public” shown in 『Philosophical Research』, the “People's public” was an object that shall be converted into a “Juche’s communist of a new type” in order to reach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communism, and it was nothing more than a passive being led by the supreme leader and Worker’s party in a social group called sociopolitical Life forms that unites the leader, the party, and the public.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gued that State autonomy implies political autonomy, and that a self-supporting economy that is not subjugated by imperialism is the found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and its people. Over the past 70 year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demanded from “People's public” the efficient use of internal resources and the power of the idea of “People's public” in order to establish a self-supporting national economy without external aid. In other words, the only economic policy emphasiz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as a mass movement and being speedy based on the principle of “Self-Reliance”. The problem is that even though that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North Korea still emphasizes only the power of ideas. North Korea argues that there is a common of independence between Juche discourse and ethnic discourse, but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common denominator of “Self-Reliance” requiring the labor force of the “People's public”. As stat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al role of the “People's public” conceptualized from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Juche's idea, is “a performer that carries out a revolution” onl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supreme leader and the Worker’s par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the grounds for the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system in the Self-Reliance of the people who faithfully follow their supreme leader and the power of political thought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onstantly emphasize, with examine of the appearance and changes on the concept of the “People's public” throughout 『Philosophical Research』 published from the early 1960s, when Juche philosophy began to be systemat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