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 Download: 0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 번역 타당화 및 우울 증상에 대한 유형 분석

Title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 번역 타당화 및 우울 증상에 대한 유형 분석
Other Titles
Validation of the Korean Male Depression Risk Scale (K-MDRS) and Male Depression Subtypes Based on Symptoms
Authors
이슬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남성우울, 남성적 규범에 대한 순응, 자살사고, 도움추구, male depression, masculine depressio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s, masculinities, male suicide, help-seek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우울 프레임워크(Masculine depression framework)에 근거하여 한국 남성의 우울 증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한국 남성의 자살률 감소와 도움추구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내재화 및 외현화 증상에 따른 우울 유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한국 남성 1,340명이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3.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ice 등(2013)의 남성우울 위험 척도(Male Depression Risk Scale; MDRS)를 바탕으로 개발 및 타당화된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K-MDRS)는 총 22문항,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요인으로 도출된 분노와 공격성, 디스트레스, 음주, 약물 및 위험감수에 대한 총 설명분산은 73.35%로, 적절한 설명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분노와 공격성 요인은 50.61%의 가장 많은 설명량을 나타내며, 남성우울의 외현화 증상을 대표하는 지표로 확인되었으며, 디스트레스 요인은 심리적 증상과 신체적 증상을 매개하는 정서억제에 대한 고찰을 자극하였다. 음주 요인은 부정적 정서에 대한 회피적 대처 방식을 식별하는 데 유용할 수 있으며, 약물 및 위험감수 요인은 자살위험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다. 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분석결과,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일차요인 모형과 위계적 이차요인 모형이 모두 적절하여 개별 하위요인을 활용함과 동시에 남성우울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전체 총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에 따른 척도 불변성이 확보되어 연령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로 확인되었다. 둘째, 우울 증상을 기반으로 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3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각 집단은 분류변인의 특성에 따라‘무증상 집단(n=309, 61.5%)’, ‘고 내재화-중 외현화 집단(n=146, 29.2%)’, ‘고 내재화-고 외현화 집단(n=45, 9.0%)’으로 명명되었다. ‘무증상 집단(n=309, 61.5%)’은 내재화 우울 증상과 외현화 우울 증상에서 유의한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이 집단은 자살사고가 가장 낮으며,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기대가 높았다. ‘고 내재화-중 외현화 집단(n=146, 29.2%)’은 주요우울장애의 임상적 징후를 나타내면서, 약간 상승한 정도의 외현화 우울 증상을 보였다. 이 집단은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 낮은 것에 비해 기대는 집단 중에서 가장 낮았다. ‘고 내재화-고 외현화 집단(n=45, 9.0%)’은 주요우울장애의 임상적 징후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심각한 수준의 외현화 우울 증상을 보였다. 특히, 이 집단은 약물 및 위험감수, 분노와 공격성에서 뚜렷하게 상승한 점수를 나타내었고, 자살사고가 가장 높았으며,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 높으면서 기대도 높은 양가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남성적 규범이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감수, 플레이보이, 여성에 대한 권력행사 규범이 남성우울 증상의 발현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위추구 규범은 남성우울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이 원형 증상인 내재화 증상과 우울증의 변형된 표현인 외현화 증상의 혼합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남성우울 프레임워크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특히, 한국 남성의 자살위험은 약물 및 위험감수, 분노와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우울 증상에 의해 심화될 수 있으며,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K-MDRS)의 추가적인 사용은 기존의 우울 식별 도구만으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남성우울 증상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개발 및 타당화된 한국판 남성우울 위험 척도(K-MDRS)는 연령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며, 한국 문화에 민감한 남성우울 식별 도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남성우울 프레임워크의 국내 적용 타당성을 확인하여 한국 남성의 우울과 관련된 남성적 규범을 확인하고, 내재화 및 외현화 증상이 혼합된 양상으로 나타나는 남성우울과 자살위험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남성의 자살위험을 낮추고 도움추구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개입에 활용될 수 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pressive symptoms of Korean men based on the Masculine depression framework in order to find practical ways to reduce suicide rates and promote help-seeking among Korean men. To this end,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s Depression Risk Scale in Study 1, and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in Study 2 to examine the types of depression.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1,340 Korean men aged 19 to 65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Mplus 7.0 program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Male Depression Risk Scale (K-MDRS),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ased on the Male Depression Risk Scale (MDRS) by Rice et al.(2013), consists of 22 items and 4 subfactors.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of the subfactors of anger and aggression, distress, alcohol use, drugs and risk-taking was 73.35%, which can be considered to have adequate explanatory power. In particular, the anger and aggression explained the most (50.61%) and was identified as a representative indicator of externalizing symptoms of male depression, while the distress stimulated consideration of emotional suppression mediat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tress. The drinking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avoidant coping styles for negative emotions, and the drugs and risk-taking may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in relation to suicide risk among Korean men. Analyses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showed that both the four-factor model and the hierarchical second order model were appropriate,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individual sub-factors as well as the overall total score to assess depression risk in men. Furthermore, scale invariance across age was obtained,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use in Korean men of all ages. Seco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depressive symptoms in resulted in three groups. Each group was named ‘asymptomatic group (n=309, 61.5%)’, ‘high internalizing-moderate externalizing group (n=146, 29.2%)’, and ‘high internalizing-high externalizing group (n=45, 9.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variables. The ‘asymptomatic group’ showed no significant sign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This group had the lowest suicidal ideation, low fear of professional counseling, and high expectations. The ‘high internalizing-moderate externalizing group’exhibited clinical sign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lightly elevated levels of ex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This group had the lowest expectations of professional counseling compared to the lowest fear of counseling. The ‘high internalizing-high externalizing group’ exhibited clinicalsign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evere levels of ex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Specifically, this group had significantly elevated scores on drugs and risk-taking, anger and aggression, the highest r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ambivalent attitudes with high fear of professional counseling and high expectations. On the other hand, when we examined the impact of masculine norms on the latent population, we found that risk-taking, playboy, and power over women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ale depressive symptoms, while pursuit of statu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male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in Korean men may present as a mixture of internalizing symptoms, which are typical depressive symptoms, and externalizing symptoms, which are altered expressions of depression, and support the applicability of the Masculine Depression Framework in Korea. In particular, suicide risk among Korean men may be enhanced by ex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such as drugs and risk-taking, anger and aggression, and further use of the K-MDRS may help identify men's depressive symptoms that are difficult to assess using existing depression identification tools alone. The K-MDR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age and is a Korean culture-sensitive tool for identifying men's depress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Korean applicability of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frameworks of male depression, identified masculine norms related to male depression in Korean men, and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association between male depression and suicide risk, which is manifested in a mixture of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sympto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suicide risk and increase help-seeking among Korean 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