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 Download: 0

모래 위 펼쳐진 자연

Title
모래 위 펼쳐진 자연
Other Titles
Texture of Nature on Unveiled Sand
Authors
박예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모래, 재료 연구, 자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한 번도 다뤄보지 않은 재료를 연구한다는 것은 학부시절부터 늘 가지고 다녔던 갈망이자 흥미로운 지점이었다. 너무나도 능숙하게 다뤄졌던 종이와 붓 두 매체를 넘어서 연구자는 새로운 자극제인 모래를 작업의 재료로 활용하게 되었다. 모래 재료 연구를 작업 방법론으로 발전시켜 이를 작품화 시키는 본 연구는 2018년도 이래 시도되어 2023년도 현재 모래 위의 자연을 그려 나가는 것으로 확장된다. 과거로 돌아가 땅의 풍경을 그리는 작업을 하던 연구자는 울퉁불퉁한 시멘트 바닥으로 이루어진 땅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내고 싶었다. 이 고민을 해결함에 있어서 촉각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입자감이 있는 재료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접착제인 아크릴 바인더를 종이에 바른 후 모래를 손으로 뿌려 모래와 종이를 붙이는 방식을 착안하게 되었다. 여러 겹으로 붙여진 모래 표면이 아주 단단한 땅의 속성을 만들어주었고 그 위에 먹으로 그러내는 방식으로 그림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림 한 장을 완성해 내기 위해서는 모래와 접착제, 그리고 종이 세 재료가 만났을 때의 반응을 실험해 보아야 했고 여러 장의 테스트지가 연구자에게 새로운 관심거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익숙한 재료와 그렇지 않은 재료가 만나 생기는 반응을 기록하는 본 연구 과정은 현재까지 연구자에게 습관의 일부분으로 이어져 오게 되었다. 반짝이면서도 견고한 모래 표면은 연구자만의 세계관을 그려내는 발판이 된다. 매끄러운 종이 위에서 그림을 그려낼 때에는 먹의 표현이 종이 표면에서만 머물러 있거나 겹겹이 쌓이는 것으로 완성되지만, 모래 위에서 그려낼 때에는 먹의 발림이 모래 겉 표면에서 시작하여 갈라진 모래 속 깊이까지 화면 속으로 스며드는 것으로 그림을 풍부하게 만들어낸다. 물을 머금은 붓이 모래 위를 지나가면서 만들어지는 촉촉한 화면과 건조한 획이 지나가면서 갈라짐을 표현할 수 있는 모래 작업은 마치 자연에서 느껴지는 시각적 표현을 이끌어낸다. 오랜 시간에 걸쳐 생성되는 모래 표면 위에서 추상적으로 그려지는 형상들은 자연의 힘을 느끼게 해준다. 휘몰아치는 파도의 역동성 또는 솟아 있는 산의 능선, 이리저리 흘러가는 공기의 흐름들은 자연이 품고 있는 에너지의 근원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모래를 활용한 재료 실험 연구로부터 견고하고 단단하게 창조된 본 연구는 한지와 먹이라는 전통 재료와 모래를 접목시켜 연구자만의 방식으로 회화를 표현해 낸다. 연구자는 동양화만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 조형적 표현들을 작업에 풀어냄으로 전통을 품고 있으나 현대적인 화면을 구성하며 이로써 전통회화 그리고 현대회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가 만들어낸 세계 속에서 예전부터 여겨왔던 전통회화를 현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되돌아가 현대회화가 다시금 전통적으로 환기되기를 기대한다. ;Studying an unexplored material has always been a longing and fascinating aspect for the researcher since undergraduate years. Going beyond the adept utilization of conventional mediums like paper and brush, the researcher has ventured into the realm of sand as a fresh catalyst for artistic expression. The current study, initiated in 2018, aims to advance the research on sand as a material and transform it into artworks, depicting nature on the sand surface up to the present year, 2023. Previously immersed in the task of depicting terrestrial landscapes, the researcher aimed to realistically portray the contours of the ground, characterized by an uneven surface of cement.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the researcher embarked on an experimental material study incorporating tactile stimulation. the researcher conceived a method by applying acrylic binder to paper, followed by manually sprinkling sand to adhere it to the paper. The layered sand surface provided a sturdy representation of the ground's characteristics, enabling the completion of artworks using a technique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ink. In order to complete a single artwork, experimentation was essential to observe the interaction among three materials: sand, adhesive, and paper. This process involved exploring the reactions when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materials interacted, leading to a newfound focus for the researcher in multiple sheets of test paper. The documentation of responses arising from the interplay between familiar and unfamiliar materials has been an ongoing aspect of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ntly influencing the researcher's work to date. The shimmering yet robust surface of the sand becomes the starting point to encapsulate the researcher's artistic perspective. When drawing on the typical smooth surface of paper, ink expressions either remain solely on the paper's surface, or the density of ink is completed through layered and overlapping technique. However, when creating art on the sand, the spreading of ink start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and, permeating into the depth of the fractured sand, enriching the artwork. The process of sand art, capable of portraying a moist screen created by a brush dipped in ink and depicting the crevices of the ground with dry strokes of the brush, brings forth a visual representation reminiscent of nature. Abstract shapes drawn over time on the sand surface convey the power of nature, such as the dynamic motion of crashing waves, the contours of towering mountains, and the meandering flow of air, signifying the origin of natural energy. Arising from detailed material experiments involving sand, this study advances by interweaving traditional components like Korean traditional paper, called as Hanji, and ink with sand to articulate the researcher's distinctive painting approach. The researcher, imbuing the atmospheric and stylistic expressions intrinsic to East Asian painting, not only embraces tradition but also shapes a contemporary pictorial space. In this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envisions to creates a perspective capable of contemporaneously reinterpreting traditional painting and to envisage the revitalization of contemporary painting through a retrospective lens on trad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