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한만영의 작업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 연구

Title
한만영의 작업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 연구
Other Titles
A Postmodern Tendency Study of Man-Young Han’s Works: Focusing on the 1980-1990s “Reproduction of Time”Series
Authors
전수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영
Abstract
본 논문은 한만영(韓萬榮, 1946-)의 조형적인 태도를 한국 미술계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이론의 수용 양상과 연결 지어 고찰함으로써 1980-1990년대 《시간의 복제》 시리즈에 나타난 탈경계적인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에 한만영은 독립 연구보다는 극사실 회화나 초현실주의 예술의 계보 연구 속에서 조망되고, 작품 화면의 양식적인 특성을 위주로 이해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만영의 전반적인 활동상을 정리하며 당대 한국 미술계와 사회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을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재고한다. 1980년대 중후반은 한국 미술계가 민중미술과 단색화단으로 이원화된 한편, 도시적 일상에 관심을 두고 탈장르와 혼합매체에 관심을 보인 작가군이 등장하여 미술비평가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수용한 시기이다. 민중미술과 모더니즘 미술로 양분되어 있던 비평계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문화번역(culture translation)의 과정에서 정치적인 관점, 한국이라는 문화적 배경, 모더니즘 미술과의 관계를 논의의 중심에 두었다. 국제적인 미술의 지표로서 유입되기 시작한 포스트모더니즘은 비판적으로 인식해야 하는 대상인 동시에 혼종적인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을 논의하기에 유의미한 개념이었다. 한만영은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과 미술에 대한 번역이 이루어진 1980-1990년대에 작품과 전시 활동에 정진하고 당대 미술비평가들에게 ‘포스트모던한 경향’의 작업을 선보이는 작가로 평가되었다. 작가는 활동 초기부터 여러 형식과 소재를 탐구하며 작업적으로 다양한 측면을 보인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는 구상회화와 추상회화 작업을 병행하고, 1970년대 후반부터는 한국 극사실 회화 계열의 작가들과 긴밀하게 활동하며 미술과 일상, 창작과 모방의 경계를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한만영은 극사실적인 회화로 차용 작업에 정주하였고, 1984년부터 제작한 《시간의 복제》 시리즈를 통해 점차 오브제 및 혼합매체로까지 관심사를 확장한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아상블라주, 설치 및 오브제, 역사화를 넘나드는 작업을 시도하며 제도권 평론가들이 기획한 포스트모더니즘 주제의 단체전, 민중미술계의 평론가들이 역사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기획한 전시에 참여하는 등 그 활동 양상이 다양해진다. 《시간의 복제》 시리즈에서 한만영은 한국과 유럽권의 미술작품 이미지와 전통문화 요소를 차용하고, 대중문화의 요소를 작품 내로 수용하며, 추상과 구상의 형식적인 혼용을 통해 탈경계적인 태도를 표방한다. 먼저, 예술작품과 전통문화 요소의 차용은 창조와 모방의 문제를 건드리면서 한국의 미술평론가들에게 후기 자본주의사회의 파편화된 시공간 및 주체 인식을 반영한다고 평가되었다. 한만영은 차용한 이미지들을 화면 안에 자유로이 대비, 공존할 수 있는 요소로 사용하여 포스트모던 시대의 시공간 개념을 작업으로 구현한다. 두 번째로, 작가는 후기 자본주의사회의 징후를 표상하는 대중문화 요소를 작업에 도입함으로써 일상과 미술, 순수와 키치의 경계를 허문다. 한만영은 대중소비사회의 메커니즘을 화면에 담아내 미술의 미학적, 사회적 기능을 탐구하고 순수미술과 대중문화의 시각적인 요소를 매체적으로 경계 짓는 것이 유효한지 질문을 던진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한국 극사실 회화를 기점으로 논의된 추상과 구상의 절충주의를 탐구하고, 1990년대부터는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술의 기법과 양식들을 가변적으로 활용해 모더니즘의 미학에 반하는 시도를 보인다. 이처럼 본 연구는 다양한 장르, 매체, 이미지, 기법들을 중첩한 《시간의 복제》 작업에서 한만영이 차용과 창조, 일상과 미술, 추상과 구상 등의 이항 대립(binary oppositions)을 해체하는 양상을 분석한다. 나아가 당대 제도권과 민중미술계 비평가들이 주목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다원적인 가치와 양식, 대중매체 및 후기 자본주의사회의 징후가 작가의 작업에서 종합적으로 탐구된 측면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한만영의 작업에 시대적, 담론적 맥락을 고려한 다층적인 해석을 목표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n-Young Han’s working stance in the context of how the concept of postmodernism was introduced and translated in the Korean art community, therefore to examine the artist’s intend of crossing boundaries with his 1980-1990s “Reproduction of Time” series. Previously, Han has been studied within the genealogical research of Korean hyperrealism, surrealism art rather than in an independent study, and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his art work. Thus this study summarizes Han's overall activities and reconsiders his work in an art historical context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1980-1990s Korea society and the art industry. As a group of artists who tried to deconstruct genre and were interested in urban life emerged, art critics started to embrace postmodern theory in Korea from the mid-to-late 1980s, while the mainstream of Korean art was still divided into Minjung art and Dansaekhwa. To understand postmodernism based on Korea’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critics placed political perspectives,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and modern art at the center of their debate in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lation. Postmodernism, which was introduced as an indicator of international art, was not only an imported theory to be critically responded, but also a significant concept for discussing the hybrid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Han was actively involved with the 1980-1990s art scene when the translation of postmodernism took place, and was considered as a postmodern artist by art critics at the time. From the beginning of his career, Han has shown a variety of aspects in his work, exploring different forms and materials. From the 1960s to the mid-1970s, the artist tried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paintings. From the late 1970s, he worked closely with Korean hyperrealism artists, and tried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everyday life, creation and imitation. Throughout his experience, Han settled on creating appropriation art with his sophisticated art skills, and gradually expanded his interests to objects and mixed media with the series “Reproduction of Time”(1984-). In the 1990s the artist created a broad style of art including assemblage, installation art, object art, and historical paintings. This led him to participate group exhibitions on postmodern themes organized by institutional critics, and also historical themed exhibitions organized by Minjung art critics. In the “Reproduction of Time” series Han borrows images of artworks and traditional elements from Korea and Europe, drags in imagery of popular culture, and formally combines abstraction and figuration. First, the appropriation of artworks and traditional elements issues the problem of creation and imitation. Therefore the Korean art critics considered appropriation art as a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subject notion by the late capitalism society. By using borrowed images to freely contrast and show coexistence on the screen, Han pictures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in the postmodern era in his work. Secondly, the artis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daily life and art, pure and kitsch by placing elements of popular culture, the represent signs of late capitalism society into his art work. Han explores the aesthetic and social functions of art by capturing the mechanisms of mass consumer society on screen, and questions whether it is valid to draw a medium-specific boundary of visual elements between fine art and popular culture. Finally, the artist explores the eclecticism of abstraction and figuratio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Also from the 1990’s the artist variably utilizes the art techniques and forms of modernist art to challenge the aesthetics of modernism. As such, this study analyzes the ways in which Han deconstructs binary oppositions such as appropriation and creation, fine art and mass culture, abstraction and figuration in the “Reproduction of Time” series.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s how the values of diversity and form of postmodern art, mass media, and signs of the late capitalism are comprehensively explored in the artist's work, which were noted by the Korean art critics of the time. Consequently this thesis aims to provide periodic and discursive layers of meaning in Han Man-young's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