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 Download: 0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唾壺) 연구

Title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唾壺)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Spittoon(唾壺) of Goryeo Period
Authors
문연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시대 기명 연구의 일환으로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唾壺)의 사회∙문화적 배경, 생산 및 소비의 양상, 조형 양식, 그리고 용도와 성격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고려시대 타호는 다기(茶器) 혹은 위생기(衛生器)의 일종으로 청자, 백자, 청동기, 은기 등으로 제작되었다. 고려시대에 ‘唾壺’ 혹은 ‘唾盂’로 명명되었던 타호는 그 명칭에서 이미 어떤 것을 뱉거나 버리는 용도의 항아리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타호는 본래 중국에서 유래된 기종으로 당대(唐代) 이래 최대 원대(元代)까지 자다법(煮茶法, 혹은 烹茶法, 煎茶法) 및 산다법(散茶法)의 확산과 함께 다기로 사용되었다. 자다법에서는 병차(餠茶, 떡차)에 미처 정밀하게 갈리지 못한 찻잎 덩어리가 차를 음용할 때 그릇이나 입에 들어가게 되고 산다법에서는 채취한 찻잎을 그대로 따뜻한 물에 넣고 우려 마시기 때문에 이를 처리할 차 도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전이 넓게 벌어진 형태의 타호가 음다의 과정에서 찻그릇에 남은 찻잎을 헹구거나 찻물을 버리고, 입 안에 걸린 차 찌꺼기를 뱉을 때 소용되었다. 이러한 쓰임새는 육우(陸羽, 733~804년)의 『다경(茶經)』에 등장하는 방형(方形)의 척방(滌方, 개수통), 재방(滓方, 찌꺼기통)과 유사한데, 타호가 일정한 상황에서 척방과 재방을 대체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서 타호는 중국으로부터 다법(茶法)과 다기를 수용하는 과정 가운데 오대(五代) 월주요(越州窯) 계통의 구조와 조형이 유입되었다고 이해된다.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는 배천 원산리 요지, 시흥 방산동 요지, 용인 서리 요지 등 10세기~12세기 이전의 초기청자 및 백자 요지를 중심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곧 고려초기, 늘어난 차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자기제 다기의 자체적인 생산을 목적으로 하였던 당시의 상황이 청자 및 백자 타호의 제작에 동력이 되었다고 보여진다. 12세기 이후에는 강진 사당리 요지와 부안 유천리 요지에서 음각, 양각, 상감, 철화, 철채 등 화려하게 장식한 양질의 청자 타호가 개성 고려궁성이나 명종 지릉 등 왕실 유적을 중심으로 소비되었다. 동시에 지방에서는 이를 모방하여 조질 계통의 청자를 생산하였고 주변의 건물지나 읍성, 분묘 등 여러 성격의 소비지에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의 제작법은 일체 성형과 접합 성형으로 나뉜다. 대체로 전자일 때 조질, 후자일 때 양질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유형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 Ⅰ유형은 물레 위에서 전체를 한번에 뽑아 올리는 일체형, 그리고 Ⅱ, Ⅲ유형은 상∙하단부를 별도로 제작한 뒤 시유 전 단계에서 이어 붙이는 접합형으로 분류하였다. Ⅱ, Ⅲ은 다시 양질과 조질로 나누었다. 시기적으로 Ⅰ, Ⅲ유형이 10세기~12세기 이전에 선행하고, 12세기~14세기 이전에 Ⅱ유형이 다수 제작되어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14세기 이후에 이르면 전체 생산량도 급락할 뿐더러 Ⅰ, Ⅲ유형으로 다시 회귀한다. 이러한 변화는 고려시대 다법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의 용도는 중국에서부터 유입된 다법, 그 중에서도 자다법과 산다법을 행할 때의 다기, 그리고 일상에서 실내에 두고 침이나 가래를 받는 위생기로 추측된다. 한편 타호의 성격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 조질과 양질의 품질 분화가 극명하게 형성되었다. 이는 개성과 왕실, 경상 지역을 중심의 지방과 지방 수요층(향리, 부유민 등)이라는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두 번째, 양질 계통은 왕실과 상류층을 주 대상으로 소비되었다. 이때 가능하면 최대한 공력을 들여 접합 성형을 하고 장식을 더할 뿐더러 기물의 크기, 특히 전을 더 넓게 제작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분묘를 조성할 때 완, 발, 접시, 병, 정병, 주자, 항 등의 음다용구와 조합관계를 이루어 무덤에 매납되었다. 이와 같은 기물의 구성은 신분의 고저, 지역 등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반복되었는데 실제로 장례에 다례가 치뤄졌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다례의 의미를 함축하여 매납되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타호의 의례기적 성격은 중국 및 한국의 출토 사례, 명기 물목, 그리고 토속신앙의 의식이 행해진 흔적 등으로도 뒷받침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sculptural styles, and use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Spittoon(or Spit bowl, Waste Receptacle) as part of the Goryeo Dynasty research. The ceramic Spittoon in the Goryeo Dynasty was a type of teaware or sanitary-ware, made of celadon, white porcelain, bronze, and silver. Named '唾壺' or '唾盂'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name already implies that it was a jar for spitting or throwing something away. The ceramic Spittoon originally originated in China, where it was used as a teapot with the spread of the Jada(煮茶法 or 烹茶法, 煎茶法) and Sanda (散茶法) from that the Tang Dynasty up to the Yuan Dynasty. In the Jada method, chunks of imprecisely ground tea leaves would fall into the bowl or mouth as the tea was consumed, and in the Sanda method, the leaves were steeped in warm water as they were picked, so tea tools were needed to handle this. Thus, the wide-bladed Spittoon was used to rinse the remaining tea leaves from the bowl, discard the tea water, and spit out any tea particles caught in the mouth during the process of drinking tea. These uses are similar to the Chuck-fang(滌方) and Jia-fang(滓方) in Lu Yu's 『The Classic of Tea(or Chajing, 茶經)』, suggesting that the Spittoon may have replaced the Chuck-fang and Jia-fang in certain situations. Domestically, the Spittoon is understood to have introduce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Five Dynasties’s Yue ware(越州窯)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tea ceremony and teaware from China. Goryeo period Spittoon began to be produced mainly on early celadon and white porcelain wares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such as Bangsan-dong kiln site in Siheung, and Seori kiln site in in Yongin. This suggests that the production of Celadon and White porcelain Spittoon was motivated by the early Goryeo Dynasty's desire to produce its own teapots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tea. Later, in the middle Goryeo period, high-quality celadon tahoes with lavish decorations such as engraving, embossing, inlaying, iron painting, and ironware were produced at Sadang-ri, Gangjin, and Yucheon-ri, Buan, and consumed mainly at royal sites such as Goryeo Palace Castle, Gaeseong, and king Myeongjong(明宗, r. 1170∼1197)’s Tomb. At the same time, provinces imitated it and produced celadon of a coarser quality, and it was used in various types of consumption sites such as buildings, towns, and tombs. Goryeo period ceramic Spittoon were made by two methods: one-piece molding and two-piece molding. Generally speaking, the former is characterized by low quality and the latter by high quality. This study uses this as a basis for classifying the styles, categorizing type I as an one-piece type where the entire piece is pulled out at once on a spinning wheel, and types II and III as a two-piece typ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made separately and then glued together in the pre-glazing stage. Types II and III were further divided into high quality and low quality. In terms of timing, types I and III preced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ype II reached its peak in the middle period. In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not only does the total production decrease dramatically, but it also reverts back to types I and III. These changes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changes in tea ceremon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uses of ceramic Spittoon in the Goryeo period were as teapot for tea ceremonies imported from China, most notably the Jada and Sanda ceremonies, as well as sanitary devices for daily use indoors to collect saliva and phlegm.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Spittoon we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a clear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low quality and high quality.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provincial customers. Secondly, the high quality line was a luxury product and was mainly consumed by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At this time, as much labor as possible was expended on two-piece molding and decoration, and the size of the statues, especially the front, was made wider. Third, when the tomb was constructed, it was placed in the tomb in a combination of Bowl, Dish, Bottle, Kundika, Ewer, Jar, etc. The composition of these objects was repeated consistently, regardless of status, region, etc.,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burials may have involved tea rituals, or even if they did not, they were placed with the implication of tea rituals. The ritualistic nature of Spittoon The ritualistic nature of Tahoe is also supported by excavations in China and Korea, as well as by the presence of listed items and traces of indigenous ritu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