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 Download: 0

조선 후기 불수감문(佛手柑紋) 백자 연구

Title
조선 후기 불수감문(佛手柑紋) 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hite porcelain in Buddha’s hand patter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김채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후기 백자의 문양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불수감문(佛手柑紋)을 단순히 길상적 의미를 지닌 문양으로 해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불수감문의 인식과 유입, 양식적 특징을 면밀히 정리하여 조선 후기 불수감문 백자의 공예사적 성격과 의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불수감은 부처의 손가락을 닮은 과실로 불수(佛手)의 ‘불[佛, fo]’과 ‘복[福, fu]’의 발음이 유사하여 길상성을 지니게 되었고 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중국에서는 주로 명 말기부터 성행한 문인문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향의 대체품으로 불수감을 쟁반 위에 올려두고 완상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이러한 흐름이 청대에도 지속되어 목기, 옥기 등 다양한 재질로 불수감의 모습을 형상화한 공예품이 제작되고 불수감의 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회화가 제작되었다. 특히 청대 도자공예품에서는 불수감이 복숭아, 석류와 함께 조합되는 양상을 보이며, 청화백자와 유리홍, 분채, 두채자기 등에 주로 시문되었다. 당시 중국에서 불수감, 복숭아, 석류를 함께 시문한 삼다문(三多紋)이 유행한 이유로는 불수감, 복숭아, 석류가 각각 다복(多福), 다수(多壽), 다자손[多男子]을 상징하여 함께 결합하여 문양의 길상성을 배가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명·청대 중국의 문인문화와 길상문화의 성행으로 회화와 공예품에서 문양의 소재로 사용되기 시작한 불수감문은 어떻게 조선 후기에 인식되었고 공예의 장식문양으로 사용되었는지 불수감문의 인식과 수용배경을 추적하였다. 불수감은 조선의 풍토와는 재배 조건이 맞지 않아 국내에서 실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조선 후기 작성된 여러 연행록을 검토한 결과 불수감은 영조대 기록에서 처음 확인되며 특히 1790년 청 황제로부터 각종 자기와 함께 불수감 열매를 흠사품(欽賜品)으로 수여 받은 기록이 있고, 완상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화훼문화의 성행으로 화초포에서 불수감을 실견하였으며, 연경에서 불수감을 보고 시문을 짓는 등 연행을 통해 불수감을 인식하였다. 또한 동시기 유행했던 화보의 영향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문인들이 활발하게 소과도(蔬果圖)를 그렸고, 궁중책가도의 제재로도 불수감이 그려져 청대 불수감문의 유행을 반영한 회화나 공예품을 통해 불수감문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직물과 현판, 건축물의 문양으로도 불수감문이 활용양상을 파악하여 조선 후기 불수감문이 복을 상징하는 문양으로서 가례, 진찬 등 연향뿐만 아니라 능원 등 제향 공간에서도 사용되어 왕실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는 문양으로 널리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 후기 불수감문 백자는 광주 분원리와 양구 방산면 백자요지에서 제작되었음이 확인되며, 경복궁과 한양도성 내부인 종로구와 중구 일대의 생활유적에서 출토되어 왕실 및 상류층과 관련이 깊은 곳에서 출토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의 생산유적과 소비유적은 왕실 및 상류계층과 관련 있는 곳에서 확인되었다. 불수감문 백자의 기종은 발, 접시, 호, 병, 합, 주자 등 음식기명과 연적, 필통, 묵호 등 문방기명으로 분류하였다. 확인한 전세품 109점 중 문방기명은 총 3점으로 그 수량이 매우 적어 주로 음식기명으로 제작되었으며, 호, 발, 병 순으로 제작 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불수감문 백자 중 굽 주변에서 ‘임자(壬子)’(1852), ‘병인(丙寅)’(1866)의 한글점각명과 굽 안바닥에 청화 안료로 시문한 ‘운현(雲峴)’(1864년 이후)명이 관찰되어 19세기 후반 왕실 소용 기명으로 소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불수감문 백자의 문양은 크게 불수감문의 형태와 문양 구성을 이원화하여 분석하였다. 명·청대의 회화나 도자에서 확인되는 불수감문은 주로 복숭아, 석류와 함께 시문되지만, 조선은 발전 과정에서 조선만의 구성을 이룬 것으로 보이며 주로 단일 형태로 제작되는 경향을 보인다. 불수감문의 형태는 사실형과 간략형으로 구분하였고, 문양 유형은 크게 불수감문만 시문된 단일문 구성과 불수감문이 동시기 유행하였던 타 문양과 결합하여 시문된 복합문 구성, 불수감문이 문양의 소재로 종속되어 등장하는 종속문 구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상 문헌자료와 회화, 공예품, 불수감문 백자에 관한 분석을 기반으로 조선 후기 불수감문 백자의 성격과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후기 제작된 정조 건릉 장명등 등 왕릉의 석물과 순조의 차녀 복온공주의 활옷, 덕온공주 홍장삼 수본에서 확인되는 불수감문과 백자에서 확인되는 불수감문 도상의 유사성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동시기 화원이 그린 문양이 지속해서 백자의 문양으로 나타나고 간략화되어 조선만의 문양을 구축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분원의 민영화 이후에도 불수감문 백자는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으며 특히 지방에서도 불수감문 백자의 제작이 확산되었다. 1900년 프랑스 파리 만국박람회의 한국관에도 출품되어 분원 민영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양구 방산 백자요지 출토품의 경우 분원 생산품과 문양과 조형적 특징이 유사하여 분원 민영화 이후 사기장의 이동을 통해 기술력이 전파되어 제작 환경에 영향을 받았음을 방증한다. 또한 황해도 해주 일대에서 제작된 해주백자에서도 불수감문이 문양으로 채택되어 근대기까지 문양이 계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조선 후기 불수감문에 주목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불수감문이 유행한 명·청시대의 인식과 사용 양상에 대한 검토를 선행하고 조선에서의 인식과 유입, 불수감문 백자의 양상을 유물과 기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a's Hand (Fingered Citron) pattern, a newly emerging motif in late Joseon Dynasty white porcelain.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pattern merely for its auspicious meaning, the study aim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raft value of the Buddha's Hand pattern white porcelain by meticulously organizing the perception, introduction,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is motif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ddha's Hand, a fruit resembling the fingers of Buddha, gained auspiciousness due to the phonetic similarity between the word for Buddha ('佛, fo') and fortune ('福, fu'). It has been regarded as a symbol of luck. In China, influenced by the literati culture flourishing from the late Ming Dynasty, the Buddha's Hand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fragrances. It was placed on trays for appreciation, a practice that continued into the Qing Dynasty. This period saw the creation of various crafts depicting the Buddha's Hand in materials like wood and jade, as well as paintings that help understand its use. Particularly in Qing Dynasty ceramics, the Buddha's Hand was often combined with peaches and pomegranates. It was primarily used in the decoration of blue-and-white porcelain, underglazed red, mixed glaze and overglazed combiation porcelain. The popularity of the 'Three Abundances' pattern (三多紋), featuring the Buddha's Hand, peaches, and pomegranates, in China at that time seems to be because these three elements symbolize abundance of fortune ('多福'), longevity ('多壽'), and sons ('多男子'), respectively, enhancing the auspiciousness of the motif when combined. In the context of the literati and auspicious culture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a, the Buddha's Hand pattern began to be used as a motif in paintings and crafts. This study traces how this pattern was perceived and adopted as a decorative motif in craft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a's Hand, being unsuitable for cultivation in Korea's climate, was rare to find locally. A review of several travel record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reveals that the Buddha's Hand first appeared in record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Notably, in 1790, a record mentions receiving the Buddha's Hand fruit along with various ceramics as an imperial gift from the Qing Emperor. The Citron was used for appreciation and seen in flower arrangements due to the flourishing of floral culture. Its recognition in Joseon was further influenced by its depiction in poetry written during visits to Beijing, as well as in Hwabo (flower books), popular at that time. As a result, Korean literati actively painted fruit and vegetable drawings (蔬果圖), and Buddha's Hand appeared in court paintings,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s Buddha's Hand pattern. The pattern possibly entered Joseon through paintings and crafts that depicted it. Furthermore, it was used in textiles, signboards, and architectural motifs, indicating its widespread use in Joseon as a symbol of luck not only in royal ceremonies such as Garye and Jinchan, but also in sacred spaces including Neungwon, signifying prayers for the royal family's well-being and happiness. Late Joseon white porcelain with the Buddha's Hand pattern was confirmed to have been produced in Gwangju's Bunwon-ri and Yanggu's Bangsan-myeon porcelain kiln sites. These items were excavated from royal and upper-class-related sites, particularly around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Jongno and Jung-gu within the Hanyang Fortress in Seoul, indicating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royal court and upper classes. Bot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sites of these porcelains were linked to the royal and upper class. The types of white porcelain with the Buddha's Hand pattern wer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food vessels such as bowls, dishes, jars, vases, containers, wine vessels, as well as stationary items like inkstones, brush holders, and ink containers. Among the 109 total pieces examined, only three were stationary items, indicating that the majority were made as food vessels. In terms of production volume, jars, bowls, and vases were the most commonly made in that order. Notably, among the Buddha's Hand pattern white porcelains, some pieces were found with Korean inscriptions like 'Imja (壬子)' (1852) and 'Byeongin (丙寅)' (1866) around the foot of the vessel, and with the name 'Unhyeon (雲峴)' (post-1864) inscribed in underglaze blue inside the foot, suggesting that these were produced for royal us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motif of the Buddha's Hand pattern white porcelain was analyzed by separating the form of the Buddha's Hand pattern and the composition of the motif. While the Buddha's Hand pattern in Ming and Qing Dynasty paintings and ceramics is commonly combined with peaches and pomegranates, it appears that in Joseon, the pattern developed its unique style, predominantly appearing in a singular form. The forms of the Buddha's Hand pattern were categorized into realistic and simplified types, and the pattern types were examined as singular patterns featuring only the Buddha's Hand, composite patterns combining the Buddha's Hand with other contemporary popular motifs, and subordinate patterns where the Buddha's Hand appears as a subsidiary element within the motif.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ry documents, paintings, crafts, and white porcelain with the Buddha's Hand pattern,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late Joseon Dynasty Buddha's Hand pattern white porcelai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imilarities were identified between the Buddha's Hand pattern found in stone relics of King Jeongjo's Geonleung royal tomb, Bridal robe of the Princess Bokon(second daugter of King Sunjo), embroidery model for Princess Deokon's Hongjangsam, and the Buddha's Hand motif seen on white porcelain. This suggests that patterns painted by artists of the same era were consistently used and simplified on white porcelain, eventually forming a distinct Joseon style. Secondly, after the privatization of Bunwon (royal kiln), production of Buddha's Hand pattern white porcelain continued, particularly spreading in local areas. The presence of these porcelains at the 1900 Paris Exposition in the Korean Pavilion indicates ongoing production post-privatization. The similarities in patterns and stylistic features between Bunwon-produced items and those excavated from the Bangsan porcelain kiln site in Yanggu suggest that the movement of potters post-privatization led to the dissemination of techniques and influenced production environments. Moreover, Haeju white porcelain produced in the Hwanghae region also adopted the Buddha's Hand pattern, demonstrating its continuation into the modern era. This study focuses on the late Joseon Dynasty's Buddha's Hand pattern, a subject not extensively studied before. It reviews the perception and usage of the Buddha's Hand pattern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clarifies its recognition, int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in Joseon through artifacts and records, thereby establish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