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 Download: 0

조선 후기 백자의 만자문(卍字紋) 연구

Title
조선 후기 백자의 만자문(卍字紋)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nzamun(卍字紋) of white porcelain in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후기 백자의 문양으로 등장한 만자문에 대한 연구로 만자문의 전개 과정, 영향 관계, 그리고 조형적 특징과 문화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조선 후기 공예의 장식 요소로 사용된 만자문은 십자의 형태에서 직선으로 네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식으로 단독형, 확장형으로 분류된다. 만자는 고대부터 태양과 불을 상징한 상징물로서 사용되었으며 보다 다양한 의미를 지닌 채로 조선 후기 백자의 문양으로 적극 활용된다. 조선에서 사용된 만자의 용어는 공예품에서는 ‘卍’, 직물에서는 ‘宛子’, ‘萬字’가 있다. 중국에서 만자의 연원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당대(唐)부터 불교적인 길상해운(吉祥海雲)의 종교적 표식으로서 단독형의 만자가 등장하다가 송·원대를 거쳐 불교적 의미보다는 다양한 기형에 맞는 장식성을 갖추게 된다. 명·청대에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만자문이 여러 공예품에 나타난다. 명대부터 만(萬)이라는 뜻을 가진 만자는 해음 현상과 더불어 해상교역의 활발함 속에서 내수용 및 외수용 자기에 시문된다. 청대는 명대를 계승하는 동시에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형식이 강희-건륭년간, 동치-광서년간에 나타난다. 문자와 결합된 형태, 리본형 만자, 확장형, 끝이 꺾인 단독형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청대 만자문은 조선에 다양한 만자문이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중국에서 시작된 만자문이 조선 후기 백자의 문양적 요소로 사용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는 불교를 국교로 삼아 변상판화의 형식으로 도상이 전파되면서 금속제에는 불교적인 성격으로, 도자제에는 향로에 나타나 의례적이면서도 완상되는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계승해 전기에는 분청사기 향완에도 단독형 만자가 시문되는 고식적인 성격을 보인다. 조선 17세기에는 명대 민영 수공업자들이 직조한 문직물을 수입했는데, 다양한 형식의 만자문 문단이 유입되어 불복장이나 주로 사대부묘의 묘에서 출토되었다. 만자문과 같은 화려한 중국산 문단의 사치로 인해 문단금지령이 반포되기도 한다. 이러한 양상은 조선 후기 공예품에 다양한 만자가 시문되는 기점으로 이미 고려-조선 전기에서 중기로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어 조선 후기에 어렵지 않게 만자문이 장식된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으로 조선 후기 정조대 연행을 통해 단독, 확장형이 백자의 장식 요소로 활용된다. 정조는 청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했는데, 건륭제의 팔순만수성절의 연행기록은 『연행기』(1790)에 기록되었으며, 연행기에는 기록된 만자대(卍字臺), 만방안화(萬邦安和), 만자방(卍字房)등과 같은 건축 의장적 요소는 <원명원 40경도>, <팔순만수성전(八旬萬壽盛典)>의 도설에서 확인된다. 실제로 목도한 만자문에 대한 경험과 더불어 동시기 만자문이 장식된 공예품이 회사 및 증여품으로 조선에 유입되었다. 청대 만자문 도상이 유입된 결과가 『원행을묘정리의궤』<가교분도>와 조선 후기 제작된 공예품에서 나타난다. 한편으로는 동시기 일본에서 유입된 아리타, 나베시마 자기나 호쿠사이의 도안집도 만자문의 사용에 영향을 끼쳤다. 조선 내에서 만자는 의궤에 표현된 도설이나 의대 견화에 시문되었으며, 화본(畫本)의 형식으로 유포되어 백자를 비롯한 공예품의 문양이나 배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의궤도설을 구현한 실물인 용평상과 향로에서 동일하게 만자가 나타나 의궤와 수본이 화본의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단독형의 경우는 주로 투각되었기 때문에 화본을 통해 구성과 배치를 전달받은 각 관사의 장인을 통해 제작되었을 것이다. 또한 비교적 회화적 표현에 비해 단순하고, 누구나 아는 문양으로서 선호되어 만자문이 공유되었을 것이다. 확장형은 시문하기 복잡했기 때문에 반드시 화본이라는 형태가 필요했으며, 왕실 화원이나 숙련된 화청장만이 그릴 수 있었을 것이다. 즉, 화본의 형태로 유통되어 여러 관사의 화원과 장인 간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공예품에 만자문이 장식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만자문 백자의 제작과 사용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생산지와 소비지를 검토했으며, 전세품을 문양별, 기종별로 나누어 특징을 분석했다. 조선 후기 만자문 백자는 분원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전세품과 명문 백자를 통해 분원리에서 번자회사로 이어지는 19세기-20세기 초반 왕실과 상류계층을 위해 제작된 고급품으로 파악된다. 총 101점의 전세품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만자문을 단독형, 확장형으로 구분하였다. 단독형인 Ⅰ유형은 다음과 같다. Ⅰ-a유형은 원형이나 방형 안에 시문되는 것이며, Ⅰ-b유형은 단독적인 문자로서 보문의 하나로 시문되는 유형이다. 확장형인 Ⅱ유형은 만자의 종선과 횡선이 확장돼 기면을 가득 채우는 형식인 Ⅱ-a유형과 방형이나 마름모 안에서 좌우 연속되는 Ⅱ-b유형, 일렬로 연결된 만자문대의 Ⅱ-c유형으로 구분된다. 주로 식기, 문방구, 의례기 등에 시문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자문의 특징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만자문은 같은 기종이더라도 표현 방식이 다양하며, 공간의 배치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로 투각과 청화로 장식되는데, 투각은 주문양으로만 나타나며, 끝이 꺾인 형태이다. 청화는 주문양으로 나타날 때는 기면 전체를 확장형으로 채우거나, 종속문양으로 표현될 때는 보문이나 좁은 기면에 배치된다. 또한 만자문은 박쥐, 이룡, 연화문 등의 요소와 결합되고, 동화, 철화 등 여러 안료와 함께 시문되어 장식성을 더했다. 주요한 특징은 다른 기하학문과는 다르게 주문양으로 등장한다는 것이며, 종속문양으로도 나타나기도 하여 기면에 맞게 활용되는 문양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백자와 다른 공예품에 시문된 만자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정리한 만자문의 특징과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선 후기 길상문화의 융성으로 인해 사용된 만자문은 기복상서의 대표 문양으로 공예품에 적극 시문된다. 고려시대부터 불교적인 상징으로 시작되었지만, 조선 후기가 되면 기복적 문양이자 의장화되어 사용되었다. 만자의 의미가 확장되는 과정 속에서 단독, 확장형이라는 새로운 유형이 나타나며, 길상만복을 의미하면서도 유연하게 배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적극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만자문은 중국과 일본과의 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재수용된 문양이다. 조선에서는 중기부터 중국에서 유입된 만자문을 통해 만자를 접하고 인식하는 배경이 되어 문양으로 시문하는 동시에 확장형의 경우, 중국→일본→조선이라는 특수한 순서로 이루어진 영향 관계 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만자문은 조선 후기에 전반적으로 유행해 다른 공예품에서도 나타나는데, 만자문 백자에 주로 나타나는 단독형은 목제 소반의 투각, 확장형은 금속제의 은입사 기법과 문단, 능화판에서 문양 간의 유사성이 확인된다. 직물, 목제, 금속제 등 다른 공예품의 문양으로 적극 사용된 만자는 인적(화원, 장인), 물적(화본)의 교류를 통해 백자에 이식된 것으로 보인다. 화본의 역할을 하는 의대 견화나 의궤 도설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단독형과 확장형의 방식으로 만자문이 공유되었으며, 화원 및 장인 간의 협업을 통해 백자의 문양으로 시문되었다. 또한 능화판, 금박판을 통해 쉽게 전파되어 여러 공예품에 나타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불교적 상징으로 일반화되어 여겨져 실증되지 못했던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만자문을 다각적으로 살펴본 연구로, 중국에서 만자문이 발생한 연원부터 국내로 만자문이 유입되고 발전하게 된 양상을 살피고, 조선 후기 백자의 만자문 장식에 집중해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못했던 만자문의 용어, 국내로의 유입 및 전개 과정, 유형 분류, 문화적 의미 등을 유물과 기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study aims to reveal the development process, influence of relation, sculptural feature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卍 pattern(卍字紋), which rapidly became a ornamental element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late Joseon crafts, the manjamun serves as a distinctive decorative element. Originating as a symbol of the sun and fire in ancient times, but it took on a wider range of meanings and was actively utilized as a pattern on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卍 pattern extends in four directions, forming a straight line from the center, resembling a cross. The 卍 pattern in Joseon Dynasty, is denoted as 卍 in crafts, while textiles refer to it as wanza(宛子) and manza(萬字). 卍 shape was a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patterns of craft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China,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Manzamun can be traced back to the Tang Dynasty, where it initially served as a religious symbol for the Buddhist. Over time, especially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ies, decoration with 卍 pattern underwent a transformation, transitioning from its primarily religious significance to a more decorative form. During this period, it adapted to various stylistic deformities, reflecting the changing artistic and cultural trends of the time. In the Qing dynasty, while inheriting the Ming dynasty, more diverse and new forms appeared in the Kangxi(康熙) and Qianlong(乾隆) reigns and the Dongqi(同治) and Guangxu(光緖) reigns. The acceptance of the Chinese 卍 pattern as a stylistic element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explained below. Manjamun was used since the Goryeo Dynasty, so it was naturally accep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the iconography spread in the form of Buddhist woodblock prints, it was decorated with ritualistic patterns on metal and ceramics. Howev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country imported textiles woven by private craftsmen of the Myeong dynasty, various forms of 卍 pattern were introduced, and they were found on tombs of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The luxury of colorful Chinese textiles such as the Manjamun can be seen in the prohibition of textiles(禁紋事目), which indicates the demand for Manjamun. Indeed,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under the Qianlong Emperor earnestly influenced the incorporation of white porcelain as a decorative element, whether as singular pieces or in expanded forms. Jeongjo(正祖) actively sought to adopt Qing culture, especially during performance of Palsunmansungjeon(八旬萬壽盛典) of Qianlong, and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such as the Manjadae(卍字臺), Manbanghwa(萬邦安和), and Manjabang(卍字房) which was recorded in the Yeonhyeokki(燕行紀). At the same time, 卍 pattern artifacts from the Qing Dynasty were influential. On the other hand, the design collections of Arita, Nabeshima porcelian, and Hokusai’s pattern books which were introduced from Japan at the same time, also influenced the use of 卍 patter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卍 design in Joseon Dynastywas depicted in the hwabon(畫本) depicted on the clothes, and Euigwae(儀軌) illustrations, influencing the pattern and layout of crafts including white porcelain. The circulation of the illustrated manual across various crafts offers insight into the collaboration between hwawon(畫員) and artisans in different jurisdictions. To comprehend the manufacturing and utilization of late Joseon Manzamun white porcelain, our initial inquiry centered on excavated items, scrutinizing their patterns and types. Manjamun white porcelain is identified as a exclusive item produced for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it was passed down from Bunwon-ri(分院里) to Bunja company(燔磁會社). Based on a total of 101 chartered porcelains, the Manjamun that appeared on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stand-alone and extended types. A standalone type is Type I. Type I-a is a type inscribed within a circle or square, and Type I-b is a type inscribed as a bomun(寶紋) The expanded type, or Type II, is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subtypes. Type II-a involves the expansion of bo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lines of the 卍 to cover the entire surface. In Type II-b, these lines form a continuous pattern to the left and right within a circle or rhombus. Type II-c features the lines connected in a row.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jamun were discussed. Manjamun exhibit diverse expressions even within the same model, with a relatively flexible spatial arrangement.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Manjamun is its presentation as an centerpiece,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geometric figures. Additionally, it serves as a dependent pattern, highlighting its exceptional versatility in adapting to various bas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of Manjamun on white porcelain and other craft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卍 pattern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rise of auspicious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njamun became very popular as decorative elements for crafts. In the process of enriching the decorative materials of late Joseon crafts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卍 patter, a new type of Standalone and extended type appeared. Second, manjamun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 complex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China and Japan. 卍 pattern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Qing Dynasty through the diplomacy of Qianlong under the Jeongjo Dynasty. In particular, the extended form, which fills the entire surface,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Ming dynasty porcelain exported to Japan and Japanese porcelain of the same period. Third, 卍 pattern were generally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ppeared in other crafts as well,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patterns. Manjamun, which was actively used as a pattern in other crafts such as textiles, wood, and metal, seems to have been transplanted to white porcelain through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through hwabon(畫本) depicted on the clothes, and Euigwae(儀軌) illustrations, and was transcribed into patterns on white porcelain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hwawon(畫員) and artisans. This study is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the Manzamun on late Joseon white porcelain, which has been generalized as a Buddhist symbol and has not been substantiated so fa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terms of the 卍, the process of its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and its cultural meaning, which have not been examined in detail, were identified through relics and recor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