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 Download: 0

국립현대미술관의 문화다양성 관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Title
국립현대미술관의 문화다양성 관리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ase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uthors
김다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Keywords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문화권, 미술관, 박물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태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민이 점증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국내 미술관이 타문화에 대해 가진 기존의 관용적 경향을 탈피하고 구체적인 다문화 현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문화다양성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관 중 하나이자 국립미술관으로서 문화다양성 증진에 공적 의무를 지닌 국립현대미술관과 상호문화주의 접근법을 활용하는 해외 사례인 노르웨이 오슬로의 상호문화미술관과 아일랜드 더블린의 체스터 비티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이론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해 단행본, 논문, 보고서 등의 문헌자료를 활용하였다. 개별 미술관 사례와 국가별 맥락을 달리하는 사회·정책적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각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자료, 정책자료, 미술관에서 수집할 수 있는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분석을 진행하되 사업 담당자에게서 필요한 사항을 수집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문제를 밝히고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방법과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문화다양성 관리와 상호문화주의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고, 미술관에서 문화다양성 관리가 가진 의의와 문화다양성 관리가 요구되는 미술관의 영역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영역별 주요 내용과 분석 방향을 고려하여 국립현대미술관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와 개선점을 서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해외의 성공적인 문화다양성 관리 사례를 분석한 결과와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선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국립현대미술관의 문화다양성 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외 사례의 문화다양성 관리 현황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현대미술관은 언어장벽 완화와 거주 이주민 대상 서비스 강화 등 이주민을 위한 문화적 접근성 개선의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이주민이 지닌 다양한 문화적 특성과 문화 향유 실태를 간과하여 실질적인 미술관 방문과 참여에 제약이 있는 문화적 소외자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국립현대미술관은 문화적으로 취약한 이주민을 포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응하기에 열악한 환경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둘째, 국립현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은 타문화 이해와 수용에 효과적이었으나, 이주민과 선주민의 문화적 유사점만을 부각하거나 한국문화 이해와 습득이라는 목적을 갖고 이주민 동화를 유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교육 구성에서 이주민의 고유한 표현이나 문화적 차이는 소극적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다문화적 현실에 내재하는 소수문화와 문화 간 상호영향의 중요성이 간과되는 측면이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분석한 해외 미술관들은 지역사회의 다양성을 함양하기 위해 문화다양성 개념 중심의 정책을 수립하거나 상호문화주의에 근거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었다. 오슬로 상호문화미술관은 다양한 지역환경과 이주민 유형에 미시적으로 접근하는 운영 전략을 실천하고 있었으며, 더블린 체스터 비티는 상호문화대화를 미술관 운영의 핵심으로 채택하고 상호문화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이 해외 미술관들은 프로그램 기획과정에서 이주민과 긴밀히 협력하여 이주민이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활용해 창작·표현 활동을 주도하게 하였다. 특히 상호문화미술관의 프로그램 사례는 이주민의 문화적 표현이 주류사회의 변화를 추동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 해외 미술관들은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화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동등하게 전개하여 소수문화의 고유성 및 이주민과 선주민 문화의 상호관계성을 부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제안하는 국립현대미술관의 문화다양성 관리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현대미술관은 상호문화주의에 근거한 운영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한다. 이주민 문화권(cultural rights)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이루고 상호문화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상호문화적 조직환경을 마련하며, 4개 관이 각기 견지하고 있는 고유의 관점을 교환해 다양한 주체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국립현대미술관은 이주민 관람객의 관람 현황을 좀 더 면밀히 분석하여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 이주민 유형별로 가진 문화권을 저해하는 잠재적 장벽을 확인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특히 문화 소외자가 갖는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기본적인 접근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국립현대미술관은 컨소시엄형 미술관 참여 모형을 구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미술관 직원, 이주민, 상호문화정책전문가의 상호문화대화를 통해 이주민의 목적의식을 고양하고 자발적 참여와 지속을 유도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상호문화도시를 선정하여 그 도시와 시범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넷째, 국립현대미술관은 사회의 다양한 문화 관계와 자문화를 고찰하게 하는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 상호문화관점의 실물기반 학습으로 문화적 성찰과 상호문화역량 함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현대의 문화적 복수성과 혼종성을 포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roaches to manage cultural diversity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enabling domestic museums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immigration in Korean society to move beyond their existing tolerant tendencies towards other cultures and respond to the concrete multicultural reality. For the stated objective, this study has chosen three institution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a representative museum in Korea and a national institution with a public responsibility for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the Intercultural Museum in Oslo, Norway; and the Chester Beatty in Dublin, Ireland. These overseas institutions serve as case studies due to their implementation of successful intercultural strategies, offering insights for examining and proposing effective approaches to managing cultural diversity. In this study, literature such as books, papers, and reports was used to understand key theoretical concept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ndividual museum cases and societal and policy contexts,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statistical data from government agencies, policy documents, and museum-collected data. Relevant information was also collected from project stakeholders. Chapter 1 introduces the research's necessity, questions, and summarizes the research methods and previous studies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Chapter 2 establishe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basic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and interculturalism,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areas of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in museums. Chapter 3 details the analysis of MMCA's case, considering the key contents and analysis direction for each area, along with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Chapter 4, successful international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cases are analyzed, and insights are provided. Chapter 5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for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at MMCA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Finally, Chapter 6 concludes the study and outlines its limitations. This study's survey results on the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re as follows: Firstly, MMCA has made efforts to enhance cultural accessibility for immigrants, focusing on language barriers and services for resident immigrants. However, it overlooked the divers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immigrants, resulting in a failure to support culturally marginalized individuals who face constraints in participating and visiting the museum. In this aspect, it appears that MMCA faces challenges in embracing culturally vulnerable immigrants and addressing the cultural diversity within society. Secondly, while MMCA's educational programs effectively fostered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there was a tendency to highlight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immigrants and the host culture or to emphasis on assimilating immigrants under the goal of understanding and acquiring Korean culture. In this educational framework, the unique express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immigrants were passively represented,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minority cultures and the mutual influence of cultures within a multicultural reality. Thirdly, the oversea cases analyzed for benchmarking in this study implemented policies focused on cultural diversity or operated program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to reflect diversity of their local communities. For instance, the Intercultural Museum in Oslo operate strategies that microscopically approached diverse local environments and immigrant types. Chester Beatty in Dublin prioritized intercultural dialogue as a core aspect of museum operations, conducting regular programs to enhance intercultural competence. Fourthly, these oversea cases collaborated extensively with immigrants in the program planning process, encouraging them to engage in expressive activities that draw upon their cultural backgrounds. Particularly, the Intercultural Museum case is significant in that the cultural expressions of immigrants played a pivotal role in driving changes within mainstream society. Furthermore, these oversea cases highlighted the uniqueness of minority cultures and emphasized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immigrant and host cultures by presen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on an equal footing. This study's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cultural diversity management at MMCA based on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ly, MMCA should establish an operational paradigm grounded in interculturalism. This involves fostering a deep understanding of immigrant’s cultural rights, creating an intercultural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cultivat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facilitating a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the four institutions of MMCA to allow diverse stakeholders to influence policies. Secondly, MMCA should conduct a more detailed analysis of immigrant visitors' viewing patterns to enhance accessibility. Identifying potential barriers that hinder cultural rights depending on various type, MMCA should develop tailored programs. Special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experienced by culturally marginalized individuals, thereby improving basic accessibility. Thirdly, MMCA should establish a consortium-style museum participation model. Through intercultural dialogue among museum staff, immigrants, and experts in intercultural policies, the immigrant’s sense of objective should be cultivated,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ustainability encouraged. To achieve this, MMCA can select an intercultural city and initiate pilot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the chosen city. Fourthly, MMCA should design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mpt reflection on society's diverse cultural relationships and self-culture. Through object-based learning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se programs should encourage cultural introsp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This approach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mbrace the cultural diversity and hybridity of the contemporary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