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 Download: 0

고기능 ASD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공동 음악창작 프로그램 적용 사례

Title
고기능 ASD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공동 음악창작 프로그램 적용 사례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Music-Creating Program for Improv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서정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Keywords
음악치료, 고기능 ASD, 음악창작, 상호작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을 대상으로 공동 음악창작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또래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된 사례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만 9~12세에 해당하는 ASD(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 4명으로,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회기 당 40분씩 주 2회,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음악창작 프로그램은 역할 분담 및 리듬 재구성(1단계), 개별 음악 모티브 창작 및 공동 음악 모티브 구성(2단계), 상호 협력을 통한 음악적 모티브 확장 및 공동 음악 완성(3단계)으로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매회기 중재가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 간에 나타난 협력적 음악행동과 공동 과제 수행을 위한 목표지향적 행동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일상생활에서의 또래 간 놀이행동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중재의 사전・사후에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용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P)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고기능 ASD 아동 모두 자유 공동연주 과제에서 나타나는 대상자 간의 협력적 음악행동의 발생 비율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협력적 음악행동에 있어 개별적으로 연주하거나 독립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비중보다 다른 아동과 동시적 연주를 하거나 상호적 맥락에서 차례를 지켜 연주하는 행동의 비중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평정한 대상자의 또래 놀이행동 척도의 점수 변화에 있어 모든 대상자가 유지 및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놀이 상호작용’과 ‘놀이 단절’ 영역에서 모든 대상자의 긍정적 점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본 프로그램을 통해 고기능 ASD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참여 및 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동 음악창작 프로그램 중재가 고기능 ASD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추후 고기능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창작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재의 활용에 있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확장 및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The aim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by implementing collaborative music-creating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four children with ASD(Autism Spectrum Disorder) aged 9 to 12 years, and the research procedure included pre-assessment, intervention, and post-assessment, conducted over eight sessions lasting 40 minutes each, twice a week. The music-creating program consisted of three stages: (1) rhythm motif recreation through role and part assignment, (2) musical motif expression and expansion through melody pattern restructuring, (3) collaborative music completion through the creation of joint-individual sections. The researcher observed and analyzed changes in participants' collaborative music behavior and goal-directed behavior for joint tasks during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observe changes in play behavior with peers in the daily life of the participants,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P) test was conducted on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improvement in the occurrence of cooperative music behavior among participants during the free joint playing task.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ehaviors involving simultaneous playing with another child or taking turns in a mutual context, compared to behaviors where the individual played independently. All participants exhibited either maintenance or improvement in the Peer Play Scale scores, particularly showing positive changes in the 'play interaction' and 'play disruption' domains.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and attempts at peer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the collaborative music-creating program intervention c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to enhancing peer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It also suggests the potential applicability, expan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music creation programs as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in clinical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