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은주-
dc.contributor.author김찬송-
dc.creator김찬송-
dc.date.accessioned2024-02-14T02:51:43Z-
dc.date.available2024-02-14T02:51:4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234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234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4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래심리치료가 말기 암 환자와 가족원의 가족기능 강화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I광역시 B구에 위치한 C대학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센터에서 입원 치료 중인 말기 암 환자와 그 가족원 2인 1그룹으로 총 3그룹에게 시행하였다. 말기 암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단회기적 접근으로 2주에 걸쳐 4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가족기능 강화를 목적으로 정서적 유대감 확인, 개방적인 정서교환, 긍정적 자원 확인하기를 회기별 목표로 설정하였다. 매 회기는 노래감상, 노래회고, 노래대화, 송라이팅, 가창 등의 노래심리치료기법을 적용하였다. 노래회고와 노래대화 중심의 세션을 통하여 정서적 유대감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송라이팅과 가창 위주의 세션을 통하여 개방적인 정서교환을 유도하였고 치료적 음악 만들기와 가창 위주의 세션을 통하여 긍정적 자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결과는 가족기능(FACES-IV)과 가족의사소통(FPSC) 척도 사전•사후검사 및 참여 과정에서의 언어적, 음악적 내용을 분석하여 참여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참여자 모두 가족기능(가족응집성, 가족유연성), 가족의사소통 척도 점수에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참여자 모두 서로 긍정 정서 바탕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었고 개방적으로 정서를 교환하고 경청함으로써 미해결 되었던 감정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자원을 확인함으로써 긍정적인 요소를 발견하고 재해석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노래심리치료프로그램이 말기 암 환자와 가족원에게 서로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존중하며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나눌 수 있도록 유도하여 가족의 자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로 제시되었음을 시사한다.;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ng psychotherapy on family empowerment between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 pairs of patients and his(her) families a total of 6 subje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t was conducted in 4 sessions over 2 weeks in a short-term approach, and the goal of each session was set to confirm emotional bonds, open emotional exchange, and positive resources for family empowerment. In each session, song psychotherapy techniques such as song-reminiscence, song conversations, songwriting, and singing were applied. This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firm emotional bonds through sessions centered on song-reminiscence and singing conversations, and to induce open emotional exchange through sessions focused on songwriting and singing. Finally, it was suggested to confirm positive resources through sessions focused on songwriting and singing too. The tools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changes were family-level(FACES-IV) and family communication(FPSC).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amily-level(FACES-IV) and family communication(FPSC). Secondly, I examined changes of the subjects by analyzing the verbal response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participation process. As a result, I confirmed that all subjects were able to improve family bonding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expressions of positive emotions (love and respect) and recover unresolved emotions by openly exchanging and listening to each other. Finally, all subjects were able to discover and reinterpret positive factors by identifying family resourc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ng psychotherapy program presented an opportunity to late-stage cancer patients and family members to identify the family's resources by interacting based on emotionally support and respect each other, and to express and share their emo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1. 말기 암 환자 7 2. 가족기능 7 Ⅱ. 이론적 배경 9 A. 말기 암 환자와 가족원 9 1. 말기 암 환자의 심리적 특성 9 2. 가족원의 심리적 특성 10 B. 가족기능 12 1. 가족기능 12 2. 말기 암 환자와 가족원의 가족기능 14 C. 암 환자와 가족원 간 가족기능 중재 17 1. 암 환자와 가족원을 위한 돌봄 중재 17 2. 암 환자와 가족원 간 가족기능 중재 19 D. 노래심리치료적 접근 21 1. 노래의 치료적 기능 21 2. 말기 암 환자와 가족원을 위한 노래심리치료 22 Ⅲ. 연구방법 26 A. 연구 대상 및 절차 26 1. 연구 대상 26 2. 연구 절차 27 B. 연구 도구 29 1. 가족기능 척도 29 2. 가족의사소통 척도 29 C. 노래심리치료의 활동 구성 31 1. 본 프로그램 구성의 이론적 틀 31 2. 프로그램 구성 35 3. 프로그램 회기 내 시간 구성 35 4. 중재 프로그램 검증 37 5. 프로그램 단계 및 활동의 치료적 논거 38 6. 프로그램에 사용된 음악 논거 42 D. 연구자료 분석 방법 44 1. 참여자 반응 내용 분석 44 2. 자료 수집 45 E. 윤리적 고려 46 Ⅳ. 결과 및 논의 47 A. 분석결과 47 1. 참여자의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 척도 점수 사전사후 반응 47 2. 참여자의 언어적음악적 반응 49 B. 논의 61 Ⅴ. 결론 65 A. 결론 65 B. 제언 67 참고문헌 68 부록1. 중재타당도 체크리스트 83 부록2. 연구 참여 설명문 84 부록3. 연구대상자 동의서 86 부록4. 가족기능 관련 설문지 87 부록5. 그룹A가 만든 노래 89 부록6. 그룹B가 만든 노래 90 부록7. 그룹C가 만든 노래 91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35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노래심리치료를 통한 말기 암 환자와 가족원의 가족기능 강화 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ng Psychotherapy for Family Empowerment between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c.creator.othernameKim, Chan Song-
dc.format.pagev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