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담화기술 향상을 위한 이야기 구성요소 기반 치료적 랩 프로토콜의 탐색적 연구

Title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담화기술 향상을 위한 이야기 구성요소 기반 치료적 랩 프로토콜의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Grammar Elements-Based Therapeutic Rap Protocol for Enhancing Discourse Skills in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김솔이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Keywords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olescent, discourse skill, grammar element, 경도지적장애, 청소년, 랩만들기, 랩프로토콜, 담화기술, 이야기구성요소, 문법요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이야기 구성요소 기반 치료적 랩 프로그램이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담화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시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얻게 된 결과로 확장하여 실제적 음악치료 중재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진행된 사례연구이다. 대상자 6명은 평균 연령 만 14세로 현재 일반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이며 일상생활에서 타인과 단문 형식의 대화가 가능하지만, 담화적 기술에 제한이 있다. 담화기술에 개입하고자 본 프로그램은 담화를 구성하고 있는 이야기 구성요소에 랩을 구조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매칭시켜 전략적으로 계발되었고 담화 구조의 경험 및 이해, 담화 구성요소의 적용을 통한 내용 구성, 담화 구조를 적용한 확장 형태의 이야기 담화 시도와 같이 3단계로 구성하여 대상자들에게 단계적으로 접근하였다. 각 대상자는 중재를 통해 이야기와 랩 발화의 길이, 리듬적 발화, 에피소드 구성 시 구성요소의 사용에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랩의 벌스, 훅, 추임새와 같은 요소에 담화 구성요소나 구조를 직접적으로 적용해 대상자들이 랩을 구성하는 활동을 체계적인 동시에 반복적으로 진행한 과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야기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제시한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랩의 다양한 요소나 리듬적으로 분명한 특징이 이야기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며 사건의 맥락에 맞게 연속적으로 발화하거나 이에 맞게 반응하는 데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자들의 담화기술 변화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에 화용 능력 체크리스트 검사, 타당도 검증을 평가하였고 담화기술을 포함한 전반적 언어·의사소통 기술이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화까지 이룰 수 있다는 시사점을 통해 다양한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언어기술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의 범위가 본 프로그램을 통해 확장하는 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ractical music therapy interventions by examining the influence and outcomes of a therapeutic rap program based on narrative grammar elements for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ix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age of 14, currently attend mainstream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While proficient in short-form conversations in daily life, they exhibit limitations in narrative skill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e program strategically intervenes in discourse skills by aligning narrative grammar elements with the structure of rap. The intervention is systematically developed in three stages,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discourse structures, content organiz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components, and attempts at extended narrative discourse using the applied discourse structure. Each participant, through the intervention, demonstrated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storytelling and rap utterances, rhythmic expressions, and the use of grammar elements in structuring episodes. This progress is attributed to the systematic and repetitive engagement of participants in activities structuring rap based on narrative grammar elements, such as verses, hooks, and interjections. Additionally, providing a specific framework for narrative structure proved effective, as various elements and rhythmic features of rap facilitated a deep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grammar, enabling participants to strategically employ language skills in responding to or generating discourse within the context of events. To assess changes in discourse skills among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pre- and post-assessments, including a discourse proficiency checklist and a validity checkli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an overall improvement in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discourse skills, with potential for generalization. Through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music therapy interventions, as exemplified by this program, offer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language skills in a diverse ran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The study implies that the scop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improving language skills can be effectively expanded through this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