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 Download: 0

노인의 연하곤란 예방을 위한 구강 인두 강화 기반 노래부르기 중재의 실행 가능성

Title
노인의 연하곤란 예방을 위한 구강 인두 강화 기반 노래부르기 중재의 실행 가능성
Other Titles
A Feasibility of Singing Intervention Based on Oral-Pharyngeal Strengthening to Prevent Dysphagia among Older Adults
Authors
강서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에게 구강 인두 강화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연하관련 근육을 훈련함을 통해 노인의 연하기능 및 연하관련 주관적 평가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프로그램 진행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하기능 증진을 목표로 한 선행연구에서 타 치료 분야의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 전략을 분석하고, 노래부르기의 치료적 근거와 노래에서 활용되는 음악요소의 치료적 근거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노래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음악요소를 치료 목적에 따라 활용하여 재활 연구에서 노래부르기가 연하기능 증진을 위해 치료적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호흡근, 후두근, 구강근의 움직임을 활성화 및 강화하고 예방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와 정서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강 인두 강화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대전시에서 60대 이상의 노인을 모집하였으며, 총 9명의 대상자가 모집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12회기(주2-3회, 한 회기당 40분)로 진행되었다. 매 회기는 신체 워밍업, 호흡 훈련, 후두근 움직임 강화를 위한 노래부르기, 씹기 기능 증진을 위한 구강근육 강화 노래부르기, 마무리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후두기능은 후두교호운동속도(L-DDK)로 측정하였으며, 조음기관 운동성은 교대운동속도(AMR) 및 일련운동속도(SMR)을 측정하였다. 음성 질을 측정하기 위해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PT, Jitter, Shimmer, NHR을 측정하였으며, 연하관련 기능 주관적 평가도구는 삼킴평가 프로토콜(SMAP), 연하관련 삶의 질 척도(SWAL-QOL), 주관적 구강건강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사후평가 시 실시하였다. 노인에게 구강 인두 강화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후두기능, 구강근육 움직임, 주관적 구강건강 점수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대상자가 중재 프로그램 종료 후에 구강 건조감과 가래 현상이 프로그램 전보다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 연하기능의 긍정적 변화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구강 인두 강화 기반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은 노인의 연하곤란 예방을 위해 호흡근, 후두근 및 구강근육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노인의 삶의 질 및 연하기능 인식의 확대를 위해 정서적 영역을 함께 개입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노인의 연하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노래의 요소인 악구, 음정의 도약과 악센트, 리듬 패턴을 통해 노래부르기를 예방적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노인의 보고 내용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추후 실제 중재 적용에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충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swallowing function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swallowing in the elderly by applying singing intervention based on oral-pharyngeal strengthening to train swallowing-related musc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dividing it into a program development stage and a program application stage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e strategies of previous study in other treatment fields were analyzed, and the therapeutic evidence of singing and music ele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imed at enhancing swallowing func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inging can be used therapeutically to improve swallowing function in rehabilitation studies by utilizing various musical elements in singing for therapeutic purposes. Based on this, the singing intervention based on oral-pharyngeal strengthening was constructed in stages to activate and strengthen the movements of respiratory, laryngeal, and oral muscles, while inducing motivation and emotions for sustained participation in a preventive program. In this study, older adults aged 60 or older were recruited from Seoul and Daejeon, and ni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e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2-3 times per week, 40 minutes per session). Each session consisted of a physical warm-up, respiratory training, singing for laryngeal muscle strengthening, singing for oral muscle strengthening, and cool-down.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laryngeal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Laryngeal Diadochokinesis (L-DDK) test, and articulatory motor skills were measured using Alternate Motion Rate (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 (SMR). Voice quality was assessed using measures such as Maximum Phonation Time (MPT), Jitter, Shimmer, and Noise-to-Harmonics Ratio (NHR). Subjective assessment of swallowing-related functions utilized the Swallowing Measurement Assessment Protocol (SMAP), the Swallowing Quality of Life Scale (SWAL-QOL), and a subjective oral health scale. Additionally, a program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feedback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experience and improvements at post-assessment.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laryngeal function, oral muscle movement, and subjective oral health scor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inging intervention based on oral-pharyngeal strengthening.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ir dry mouth and phlegm were better after the intervention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and positive responses and improvements in swallowing function were also noted in the satisfac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respiratory, laryngeal muscles, and oral muscles to prevent dysphagia among older adults and intervening of emotional aspects together to expand the older adult's perception the quality of life and awareness of swallowing function.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singing can be expanded to a preventive level through phrase, ascending pitch order, accent, and rhythmic pattern, which are elements of singing to enhance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older ad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older adult participants' self-repor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to provide the necessary evidence for applying the intervention in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