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 Download: 0

음악중재가 중국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언어 기능에 미치는 효과

Title
음악중재가 중국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언어 기능에 미치는 효과
Authors
Wei, Hanxiao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중재가 중국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언어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중재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논문의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부합하는 중국 국내·외 학술지 데이터베이스 게재논문 중 중국 국내 29편, 국외 3편, 총 32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음악 중재의 전반적인 적용 상황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비뚤림 평가를 위해 Risk of Bias(RoB) 검증 도구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국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도별 음악 중재 연구가 2000년부터 2023년 9월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9년부터 56%로 크게 증가한 추세를 보였다. 또한, 중재 제공에 대한 분석 결과에 중국에서 언어치료사, 재활치료사, 간호사 등 타 분야 전문가의 중재한 연구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음악치료 학문 배경 전문가의 논문은 4편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방법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상세한 중재 방법의 분석 연구에서 MIT기법 활용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2019년부터 MIT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12편으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중국어 언어 특징 및 음악요소 반영한 연구는 단 한 편만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정확한 MIT기법 절차를 시행한 연구는 없는 것 나타났다. 음악중재가 언어기능 중에 스스로 말하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메타분석을 진행한 결과, 선호가창 중재를 통한 스스로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높았다[MD=2.25, 95%CI:(0.53~3.97)]. MIT 중재를 통한 스스로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MD=1.66, 95%CI:(0.70~2.61)]. 선호가창과 선호감상 복합된 중재는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에 MIT, 선호가창 등 음악 중재가 중국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스스로 말하기에 대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음악중재가 중국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언어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연구와 관련된 특성을 기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여 중국 음악치료 연구와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This study confirmed the intervention effect by systematic consideration and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language function in Chinese post-stroke aphasia patient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research papers in accordance with other domestic · China journal database of Chinese domestic 29 papers published, posted 3 foreign films, total 32 side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about the overall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situation analysis and research to assess the alert perverse of Risk of Bias (RoB) verification tools. According to the analysis, looking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he annual music intervention study in Chinese post-stroke aphasia patients showed a steady increase from 2000 to September 2023, especially a trend of significant increase from 2019 to 56%.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provision of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research conducted by experts in other fields, such as speech therapists, rehabilitation therapists, and nurs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China, and only four papers were published by experts in music therap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arbitration methods, the number of studies using MIT techniques in detailed analysis of arbitration methods was the highest, and since 2019, the number of studies using MIT techniques has increased to 12. On the other hand, only one study that reflected Chinese language features and music elements was specifically presented, and none of the studies conducted accurate MIT technique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self-speaking among language functions showed that the effect of preferred vocal intervention on self-speaking was the highest [MD=2.25, 95%CI:(0.53~3.97)]. In the effect on self-speaking through MIT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MD=1.66, 95%CI:(0.70~2.61)]. The combined intervention of preference singing and preference apprecia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s a result, music interventions such as MIT and Seonjoo singing were effective in speaking on their own for Patients with aphasia after stroke in Chin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the language function of Chinese post-stroke aphasia patients from a multi-angle,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tudy and presented implications, so as to provide a basis applicable for Chinese music therapy research and clinic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