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 Download: 0

正祖代 정국운영과 銓郞法

Title
正祖代 정국운영과 銓郞法
Other Titles
Jeollangbeop : Unveiling Political Dynamics in King Jeong-jo's Governance
Authors
김혜령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옥경
Abstract
銓郞法은 銓郞이 소유하였던 제반 특권을 일컫는 것으로써, 크게는 전랑이 스스로 자신의 후임을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인 自薦權과 당하관 淸要職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인 通淸權으로 구분되었다. 기왕의 연구는 대개 사림·신료 중심 정치의 전형으로서 전랑법에 주목하면서 국왕과 전랑을 대립적 관계로 이해했다. 그러나 실제 정국 운영과정에서 국왕과 전랑의 관계가 늘 대립적인 것은 아니었고, 이는 정조대 정국에서도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정조는 즉위 후 자신의 집권 기반을 확보하고 정국을 주도해 나가는 수단으로 전랑법을 활용하였다. 본고는 정조대 전랑법 운영의 실제를 검토함으로써 정조대 정국에서 전랑법이 담당했던 정치적 기능을 정조의 정국운영 의도와 결부시켜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조 17년(1741) 전랑법이 혁파된 후 30년이 흐른 시점에서 정조는 즉위년(1776) 영조 말 戚臣이 장악했던 정국의 상황을 개편하고 탕평 추진의 새로운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에서 주도적으로 전랑법을 復設했다. 이는 당대 부상했던 정치세력으로서 淸流를 고양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정조와 청류는 척신의 견제라는 지향점을 공유하고 있었다. 전랑법 복설 이후 정조는 새로운 전랑 선발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당시 정조는 洪國榮을 내세워 老論 청류를 자신의 지지세력으로 포섭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전랑의 자리는 전랑 관품 이상의 품계를 소유한 각 붕당 청류 출신자로 채워졌고, 통청권은 특정 후보자의 관원 임용을 배제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되었다. 이는 당시 정조의 지원 아래 청류가 三司 언론과 전랑 등의 관직에 진출하면서 蕩平黨 세력을 견제해나갔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홍국영 축출 이후 정조는 정치 전면에 나서면서 近侍 세력을 육성하고, 이들을 관료제 내에 수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정국을 운영하려 하였다. 정조는 徐命善계 時派의 보조 아래 전랑의 仕路를 개편함으로써 奎章閣 閣臣·抄啟文臣을 전랑에 다수 임용시켰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랑의 정치적 위상과 권한 역시 점차로 확대되었다. 정조 5년(1781)에 이르러서는 자천권도 보편적으로 행사되고 있었다. 정조는 이와 함께 전랑법 시행의 폐단으로 지적되었던 몇몇 관행들도 통제하였다. 이는 정조가 용인하고 통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랑법을 운영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정조 8년(1784) 時僻 갈등이 표면화되고, 전랑이 이러한 정치적 환경에 노출되면서 전랑법은 점차 정조의 의도와 괴리되며 운영되었다. 전랑법 활용을 둘러싸고 이조 당상관과 전랑 또는 붕당 사이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조는 전랑법 혁파에 대한 의사를 공식적으로 표출하였다. 이에 전랑법은 정조 10년(1786) 이후 조정에서 사문화 되어갔다. 자천권이 우선적으로 폐지된 후 전랑의 자리는 假郎廳으로 대신하여 운영되었고, 정조 12년(1788)에 이르면 통청권마저 이조판서의 권한으로 인식되었다. 다만 대신들을 중심으로 이조판서의 임명을 둘러싼 갈등이 전개되면서부터는 국왕의 用捨權이 강조되며 정조가 인사권을 專有해나가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결국 정조 13년(1789) 蔡濟恭의 건의에 따라 전랑법이 공식적으로 재혁파되었다. 이후 전랑법은 영조 17년(1741) 마련되었던 전랑법 혁파 규정에 따라 운영되었고, 정조 18년(1794)과 19년(1785)에는 국왕의 인사 선택권이 이조 당상관의 선발에까지 확장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정조의 정국운영은 전랑법 폐지를 전후해 국왕의 위상과 권력을 전면에 내세우는 방식으로 변화한 것이었다.;Jeollangbeop(銓郞法, Selection Secretaries in the Board of Personnel), the system granting privileges to Jeollang(銓郞, Selection Secretaries in the Board of Rites), conferred two primary rights: Jacheon(自薦權), allowing Jeollang to recommend successors, and Tongcheong(通淸權), empowering recommendations for Cheongyo-jig(淸要職, prestigious posts). Prior studies perceived the King-Jeollang relationship as adversarial. However, under King Jeong-jo, this dynamic diverged from confrontation. Jeong-jo leveraged Jeollangbeop to fortify his rule and steer the political landscape. This study explores Jeollangbeop's application during King Jeong-jo's reign, contextualizing its role in governance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In 1776, 30 years after its abolition in King Yeong-jo's 17th year (1741), King Jeong-jo reinstated Jeollangbeop to reform the waning years of his predecessor's reign and establish a foundation that would carry forward Tangpyeong(蕩平, Policy of Impartiality) by succeding Yeongjo. After restoration, King Jeong-jo focused on appointing new Jeollang officials, aiming to align with the rising Cheongryu(淸流) faction, particularly integrating Hong Guk-yeong. Jeollang's Tongcheong authority strategically sidelined opposition candidates, consolidating Cheongryu's ascent into influential positions, countering the Tangpyeong-dang(蕩平黨) faction. Upon Hong Guk-yeong's removal, King Jeong-jo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promoting close associates to streamline governance. With support from the Seo Myeong-seon faction, Jeollang's career trajectory was reshaped, leading to the appointment of numerous officials, expanding Jeollang's influence. By 1781, Jacheon was widely practiced. King Jeong-jo regulated perceived abuses within Jeollangbeop to align practices with his directives. However, escalating conflicts between the Si-pa(時派) and Byeok-pa(僻派) led Jeollangbeop astray from King Jeong-jo's intentions. Amid clashes between the Board of Personnel, Jeollang, and factions over Jeollangbeop's use, King Jeong-jo expressed intent to abolish it. Commencing in 1786, Jeollangbeop was phased out, its powers gradually curtailed, including the abolition of Jacheon and Tongcheong by 1788. Nevertheless, disputes persisted over personnel decisions, revealing King Jeong-jo's increasing influence. Finally, in 1789, following Chae Jae-gong's recommendation, Jeollangbeop was officially abolished, reverting to regulations established during King Yeong-jo's reign. This shift in governance highlighted the king's authority, both preceding and following Jeollangbeop's abol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