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 Download: 0

국가와 역사가의 ‘객관적’인 현대사 서술

Title
국가와 역사가의 ‘객관적’인 현대사 서술
Other Titles
'Objective' narratives of modern history by states and historians
Authors
김연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일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53년부터 1961년까지 독일 연방공화국의 피추방민, 피난민 그리고 전쟁 피해자부가 출판한 『동·중부 유럽 독일 민족의 추방에 대한 자료집』(이하 『자료집』)에 대한 재해석이다. 『자료집』은 2차 대전 이후 동중부 유럽에서 있었던 대규모 추방을 실제 경험한 독일 민족들의 증언을 엮은 방대한 문헌이지만 나치 전쟁 범죄를 무시한 채 독일의 피해자화에 앞장섰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자료집』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역사가 테어도어 쉬더는 나치 협력자였기 때문에 『자료집』에 대한 비판이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고는 『자료집』을 서독 정부 인사와 역사가들이 객관성에 대한 각자의 정의를 부여하기 위해 투쟁한 공간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이 가진 정치적 의도와 그로 인한 수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자료집』이 학술적 객관성이 부족하다거나, 추방 당사자들의 증언들을 무비판적으로 기록한, 단순하고 평면적인 문헌으로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자료집』의 기획과 작성 과정에서 정부 인사와 역사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한 학술위원회는 객관성의 서로 다른 의미를 놓고 치열하게 논의했다. 서독 연방 정부는 완성된 『자료집』을 외교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려고 했기 때문에 대외적으로 객관적으로 보이는 문서를 필요로 했다. 『자료집』의 서술과 출판 작업을 맡은 학술위원회 역시 ‘독일 민족은 피해자다’라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규명되어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에 동의했다. 그러나 학술위원회는 일반인 개개인의 증언을 수합하고 검토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왜 사료로서 객관성을 지니는지에 관한 문제에 나름의 답을 제시해야 했다. 뿐만 아니라 독일 민족이 객관적인 피해자로 여겨지기 위해서는 나치 과거로부터의 분리가 필요했고, 이는 독일 역사학의 객관성 확보와도 연결되어 있었다. 본고는 『자료집』에 참여한 역사가들이 발표한 저작을 통해 그들이 『자료집』에 객관성을 어떻게 실현하려 했는지 확인하며, 『자료집』의 의미를 재정의하고자 한다. 『자료집』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프로젝트를 처음 계획한 정부와 실제 작업을 담당한 역사가들은 『자료집』에 부여해야 할 객관성을 놓고 공조하기도 했지만 서로 바라보는 객관성의 의미가 달랐기 때문에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공조와 충돌은 역사가들 내부에서도 일어났다. 『자료집』 프로젝트에는 바이마르 세대와 나치 세대, 그리고 전후 세대라는 3대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었고, 각기 다른 그들의 배경은 『자료집』이 가져야 하는 객관성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시했다. 본고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정부의 공식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연합군정기 시기부터 피추방민 자료 수집의 흐름과 이러한 기조가 서독 연방 정부 수립 이후 어떻게 이어졌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로는 바이마르 세대 역사가 대표자로 한스 로트펠스를 살펴볼 것이다. 세 번째 나치 세대 역사가로는 프로젝트의 책임자이기도 한 테어도어 쉬더를, 마지막으로 전후 세대 역사가로는 마르틴 브로샤트를 다룬다. 따라서 『자료집』은 서독 연방 공화국과 서독 역사학이 재건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과거와의 연장선이자 동시에 새로운 시대를 향한 방향성을 제시한 복합적인 결과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the “Dokumentation der Vertreibung der Deutschen aus Ost-Mitteleuropa” (hereafter “Dokumentation”), published by the Federal Ministry for Expellee, Refugees, and War Victim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between 1953 and 1961. While the Dokumentation is an extensive collection of testimonies from ethnic Germans who actually experienced mass expulsions in East and Central Europe after World War II, it has been criticized for its victimization of Germany while ignoring Nazi war crimes. In particular, the historian Theodor Schieder, who headed the project, was a Nazi collaborator, which only added to the criticism.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Dokumentation should be seen as a space in which West German government officials and historians struggled to impose their own definitions of objectivity. Despite its political intentions and the numerous criticisms it has been subjected to,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simple, flat document that lacks scholarly objectivity or as an uncritical record of expellees' testimonies. Rather, during the planning and making process, the Wissenschaftlichen Kommission of government officials and historians debated the different meanings of objectivity. The West German federal government wanted to use the Dokumentation for diplomatic purposes, so it needed a document that appeared objective to the outside world. The Wissenschaftlichen Kommission tasked with writing and publishing the document agreed with the government's position that the fact that "the German people were victims" should be objectively established. Howev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reviewing individual testimonies from members of the public, the Wissenschaftlichen Kommission ha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they were objective as sources. Furthermore, for the German people to be seen as objective victims, a separation from the Nazi past was necessary, which was linked to the objectivity of German historiography. This study looks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 Dokumentation by examining the works of historians who participated in the Dokumentation to see how they attempted to realize objectivity in the Dokumentation. During the making of the Dokumentation, the government, which initially planned the project, and the historians who actually worked on it, collaborated on the objectivity of the Dokumentation, but they also conflicted because they had different meanings of objectivity. Cooperation and conflict also occurred within the historians themselves. Three generations were involved in the project: the Weimar generation, the Nazi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and their different backgrounds gave them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objectivity of the collection. The study is organized into four main pa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government, the first part examines the flow of expellees collections from the Allied regime and how this trend continu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West German federal government. Second, the Weimar generation of historians will be represented by Hans Rothfels. The third generation of Nazi historians is represented by Theodor Schieder, who was also the director of the project, and finally by Martin Broszat.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Dokumentation should be viewed as a complex resul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West German historiography, as both a continuation of the past and an orientation towards a new er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