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 Download: 0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이 미세먼지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이 미세먼지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on Behavior about Particulate Matter
Authors
한지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Keywords
Personal Risk Perception, Social Risk Perception, Particulate Matter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의 영향력을 심리적 거리와 부정적 감정을 매개변인으로, 미세먼지 관련 행동(정보추구, 체계적 정보처리, 대응행동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 과정을 개인적 차원의 변수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하는지 설문조사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라 조작한 캠페인 메시지가 미세먼지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함께 사회·문화적 차원의 변수인 문화적 세계관이 조절하는지 메시지 효과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위험인식의 차원(개인적 위험인식, 사회적 위험인식) 구분에 주목한 이유는 개인적 위험인식은 행동을 이끌지만, 사회적 위험인식은 그렇지 않은 경향이 있는데 이들의 차별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가 희박하고, 이러한 인식차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메시지 전략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는 비개인적 영향가설과 차별적 영향가설을 바탕으로 위험인식을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으로 나누고,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른 영향력을 해석 수준 이론, 감정의 휴리스틱 관점, 그리고 감정의 인지적 평가이론을 토대로 매개변인(심리적 거리, 부정적 감정), 종속변인(행동 변인), 조절변인(스트레스 대처방식, 문화적 세계관)을 상정하여 체계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관점은 기존에 위험인식을 하나로 통합하여 측정한 선행연구들에서 충분히 밝히지 못했던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른 차별적인 영향력을 정밀하게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미세먼지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다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먼저 연구 1은 우리나라의 현재 미세먼지 관련 위험인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이 각각 심리적 거리와 부정적 감정을 매개하여 미세먼지 관련 행동(정보추구, 체계적 정보처리, 대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차원의 변수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한 이유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개인이 가지는 습관적 경향성 중 하나라는 맥락에서, 위기시 대응은 평상시 대응을 이끈다는 위기 관리 관점에서,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 위험인식의 차원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라서 미세먼지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위험인식은 정보추구에 사회적 위험인식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위험인식은 체계적 정보처리와 대응행동의도에 개인적 위험인식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거리의 매개효과,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 심리적 거리와 부정적 감정의 이중매개효과 모두 사회적 위험인식의 경우가 개인적 위험인식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다만, 외향적 부정감정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위험인식의 영향력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내향적 부정감정의 매개효과는 개인적 위험인식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관련, 적극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가 적극적 대처 저집단에서 사회적 위험인식에 대해 유의미하고, 소극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는 소극적 대처 고집단에서 개인적 위험인식에 대해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연구 2에는 연구 1의 미세먼지 위험인식에 대한 상황 파악을 넘어서, 실제로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른 캠페인 메시지를 디자인하고, 메시지가 심리적 거리와 부정적 감정을 매개하여 미세먼지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함께 사회·문화적 차원의 변수인 문화적 세계관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문화적 세계관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살펴본 이유는 메시지 효과 실험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성향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 반응을 보이는지가 중요하고, 개인적 차원의 변수와 사회적 차원의 변수가 어떠한 상이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가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라 조작한 메시지들의 회귀 효과와 매개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절효과가 유의미했는데, 소극적 대처의 조절효과는 사회적 위험인식으로 조작한 메시지일수록 소극적 대처 고집단에서 유의미하고, 메시지 소구집단(개인적 위험인식으로 조작한 메시지=0, 사회적 위험인식으로 조작한 메시지=1)과 소극적 대처가 외향적 부정감정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개인주의의 조절효과는 사회적 위험인식으로 조작한 메시지일수록 개인주의 저집단에서 유의미하고, 메시지 소구집단과 개인주의가 내향적 부정감정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위험인식을 하나로 통합하여 측정한 데 비하여, 이 연구는 위험인식을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으로 구분하여 위험인식의 차원에 따른 영향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점, 그리고 이를 토대로 메시지 효과 실험 연구를 진행하여 정책적 함의를 해석한 점에서 이전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진다. 더불어, 이전 연구들이 부정적 감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측정한 데 비하여, 이 연구는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귀인적 특수성을 참작, 외향적 부정감정과 내향적 부정감정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이전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위험인식과 행동을 조절하는 변수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라는 개인적 차원의 변수와 문화적 세계관이라는 사회적 차원의 변수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 점에서 이전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진다. 이러한 탐색적 시도를 디딤돌로 삼아 위험인식의 차원(개인적 위험인식, 사회적 위험인식)의 영향력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학문적 검증을 통해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가 위험인식의 차원을 적용한 미세먼지 메시지 전략의 정책적·실무적 효과를 모색하는데 적용이 가능한 유용한 연구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한다.;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on behaviors (information seeking,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response behavioral intentions) about Particulate Matter, using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s as mediating variables. We conducted a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whether stress coping styles, as a personal dimension variable, moderate this process. In Addition, we explored whether campaign messages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have an impact on behaviors about Particulate Matter, and whether this effect is moderated by cultural worldview, a socio-cultural dimension variable, in conjunction with stress coping styles.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lies in the scarcity of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ir distinct influences. While personal risk perception tends to drive behavior, social risk perception does not have the same tendency. Recognizing this differential effect and the need for specific guidelines for the effectiveness of Particulate Matter messaging strategies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divided risk perception into personal and social risk perceptions.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se dimensions by considering mediating variables (psychological distance, negative emotions), dependent variables (behavior), and moderating variables (stress coping styles, cultural worldview) based on the Impersonal Impact Hypothesis and the Differential Impact Hypothesis. This research perspective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Particulate Matter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by precisely and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distinct influence of risk perception dimensions, which was not adequately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that measured risk perception as a single construct. Study 1 aimed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risk perception about Particulate Matter in South Korea. It sought to determine whether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affect behaviors (information seeking,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response behavioral intentions) about Particulate Matter through mediating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s, while considering the moderating influence of individual-level variables, specifically stress coping styles. The choice of stress coping styles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motivated by several factors. Stress coping styles are considered as one of an individual's habitual tendencie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isis management, coping during crises is informed by everyday coping. Not only of that, prior research indicated that stress coping styles could affect risk perception dimensions and behavi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dimensions on behaviors about Particulate Matter varied. Specifically, personal risk perception had a greater impact on information seeking than social risk perception, while social risk percep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sponse behavioral intentions compared to personal risk perception.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negative emotions,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s were all higher for social risk perception than for personal risk perception.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outward negative emotions showed a stronger influence on social risk perception,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inward negative emotions displayed a stronger influence on personal risk perception. Concer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active coping style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social risk perception among the group with low active coping, while passive coping style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personal risk perception among the group with high passive coping. In Study 2, we designed campaign messages tailored to different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and examined whether these messages, based on risk perception dimensions, influenced behaviors about Particulate Matter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these effects were moderated by individual-level variables, specifically stress coping styles, and social-cultural dimensions, such as cultural worldviews. The reason for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worldviews was twofold. Firstly, in message-effect experimental research,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with different orientations react differently is crucial. Secondly, we deemed it important to explore how individual-level variables and social-level variables exhibit distinct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gression and mediation effects of the messages manipulated based on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were observed. The moderation effect of passive coping styles was significant, particularly in the group with high social risk perception when messages were manipulated based on this dimension. In addition,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group (0 for messages manipulated based on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1 for messages manipulated based on social risk perception) and passive coping sty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relation to outward negative emotions. Furthermore, the moderation effect of individualism was significant, particularly in the group with low individualism when messages were manipulated based on social risk perception.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group and individualism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in relation to inward negative emo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he manipulated messages varied depending on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and were further influenced by passive coping styles and individualism.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research in several ways. Firstly, unlike prior studies that measured risk perception as a single construct, this research divides risk perception into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evious literature. This approach sets it apart from earlier studies as it deeply analyzed the differential impact of these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and conducted message effectiveness experiments accordingly to interpret policy implications. In addition, while prior research often measured negative emotions as a single construct, this study recogniz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issues in South Korea and systematically distinguishes between outward negative emotions and inward negative emotions. This differentiation adds a new dimension to the analysis that is distinct from previous research. Moreover,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variables of stress coping styles as a personal dimension and cultural worldviews as a social dimension, allowing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understanding Particulate Matter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This multidimensional approach adds another layer of distinctiveness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By pioneering these new approaches, this study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subsequent research that can academically validate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dimensions (personal and social risk perception).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to exploring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pplying Particulate Matter message strategies based on these dimensions, potentially becoming a valuable resource for policy and practice in the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