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 Download: 0

김성국 가야금 작품 연구

Title
김성국 가야금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ayageum Compositions of Kim Sung-kook - Centered on Quartets Songs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김성국 작곡 가야금 중주곡 중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줄굿’,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지구의 노래’, 25현 가야금 4중주를 위한 ‘줄(string)’,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가얏춤소리’(땅, 춤, 소리), 12현, 18현, 25현 가야금 3중주를 위한 ‘중심(中心)’ 등 5곡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작곡가 개관을 알아보고 작품 및 작품으로부터 나타나는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는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나아가 작곡가들의 가야금 중주곡 작곡 독려 및 가야금 창작 음악의 방향성 제시에 보탬이 되고자 위함이다. 먼저 가야금 작품 분석을 통해 작품 개관, 악기 편성, 악곡 구조 및 선율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줄굿’은 3악장으로 4개의 주제선율이 나타나며 선율을 반복·변형하여 진행한다. 주제선율과 대선율의 진행이 명확하고 성부별로 주고받는 선율이 나타난다. E♭ 미선법, F 라선법, C 라선법의 구성음과 d minor, c minor, A♭ Major의 조성을 사용한다. 여러 가지의 음형이 나타나며 쩍쩍이 장단, 칠채 장단 등 전통 장단을 사용하였다. 화음은 주로 4도로 진행하며 붙임줄과 이음줄을 통해 곡의 리드미컬함과 박절감을 해체시키는 형태를 보인다. 둘째,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지구의 노래’는 단악장으로 총 2개의 주제선율을 모방하여 여러 형태로 진행한다. 스트레토 기법을 사용한 성부의 폭넓은 진행이 나타나며, 화음은 4도와 2도를 주로 사용하고 부분적으로 음이 리듬적으로 기능한다. 작곡가의 다양한 지시어와 특수 주법을 통한 음색적 표현이 특징이며, 합주와 독주의 교차 사용으로 음향의 대비가 두드러진다. 셋째, 25현가야금 4중주를 위한 ‘줄(string)’은 단악장으로 하나의 주제선율이 나타나며, 선율은 B♭음과 A♭음을 중심으로 2도 관계로 진행한다. B♭ 라선법, C 라선법, A♭ 라선법의 구성음과 b♭ minor, c minor, e♭ minor, a♭ minor의 조성을 사용한다. 수평적인 선율 진행에서 수직적인 화음을 통해 공간속에서 움직이는 음악을 표현하고 있으며, 작곡가의 의도적인 여백과 농현 및 non vib.를 통한 동적ㆍ정적 대비가 특징이다. 넷째,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가얏춤소리’(땅, 춤, 소리)는 단악장으로 총 2개의 주제선율이 나타난다. C 라선법의 구성음과 c minor의 조성을 사용한다. 공간감을 주는 음향과 동음 반복의 선율이 나타나며, 화음은 주로 4도 중심으로 진행하고 미분음 진행을 특징적으로 사용한다. 다섯째, 12현, 18현, 25현 가야금 3중주를 위한 ‘중심(中心)’은 단악장으로 하나의 조성 위에 혼합박의 주제선율이 나타난다. C 라선법, G 라선법, F 라선법의 구성음과 c minor의 조성을 사용한다. 작곡가가 제시한 초(seconds)단위로 연주 구간과 리듬이 없는 음정을 통해 연주자의 역량에 따른 다양성을 의도하였다. 여섯잇단음표를 활발히 사용하며 화음은 주로 4도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폭넓은 셈여림의 대비와 주법을 통한 음색의 대비가 나타난다. 의도적인 긴 여백, 미분음 글리산도 및 농현의 note를 통해 마치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듯한 표현이 특징적이다. 다음으로 작품 분석을 토대로 연주법, 혼합박과 폴리리듬, 음계와 화성에 따른 음악적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 연주법을 살펴본 결과 전통 주법, 창작 주법, 특수 주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농현, 추성 등과 같은 전통주법 및 c.s/s.s, 글리산도 등의 창작주법, 그리고 작곡가가 제시한 주법 등 21가지의 주법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특수 주법 중 작곡가의 지시에 따른 연주법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약간 줄을 막고 연주, 오른손 검지로 현을 gliss를 하고 바로 왼손으로 mute, 오른손 바닥으로 안족 위를 친다, 현을 막고 글리산도, 2,3,4 손가락 손톱등으로 현을 트레몰로, 손톱 등으로 최대한 많은 현을 빠르게 스트록한 후, 기보된 B♭음을 뮤트하고 트레몰로, 손톱 등으로 현을 현침쪽부터 안족쪽으로 밀고 오다가 튕겨 소리를 낸다 등의 주법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율의 진행에 따른 혼합박이 형성되었고 기준박이 서로 다른 폴리리듬이 작품 전반에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혼합박은 <가얏춤소리>를 제외하고 <줄굿>, <지구의 노래>, <줄(string)>, <중심(中心)>에서 살펴볼 수 있었으며, 폴리리듬은 모든 작품에서 나타났다. 작품별 혼합박은 하나의 선율 구조를 이루어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형태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3대 이상의 가야금 연주를 통해 다양한 선율 진행에서 혼합박과 폴리리듬의 분할된 리듬형을 통해 다채로운 선율이 형성되었다. 셋째, 각 작품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조성 개념의 음계와 특징적인 화음을 살펴보았다. <줄굿>은 총 10개의 음계와 59개의 화음, <지구의 노래>는 총 6개의 음계와 51개의 화음, <줄(string)>은 총 4개의 음계와 17개의 화음, <가얏춤소리>은 총 3개의 음계와 21개의 화음, <중심(中心)>은 총 3개의 음계와 11개의 화음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징적인 화음에서는 음계의 비구성음을 통해 긴장감이 표현되었으며 새로운 화성을 통해 작품에 색채감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김성국 가야금 중주곡의 작품을 분석하여 작곡가의 작품에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작품에 따른 작곡가 김성국의 가야금 작품은 살펴본 바와 같이 4도와 2도의 화음 진행과 미분음의 사용, 여러 가지의 주법 활용, 공간감의 표현, 선율의 혼합박, 다양한 폴리리듬, 선법과 조성을 혼용하여 작곡가가 지정한 새로운 음계의 수평적 진행과 그로 인한 수직적 진행의 화음이 나타났다. 이처럼 김성국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곡가로 그의 작품은 현대 창작음악으로써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김성국의 작품 연구는 가야금 중주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또한 가야금 작품의 발전을 위해 보다 많은 가야금 창작음악의 작곡 및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연주자들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연주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김성국의 작품 활동과 그의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In this research, five of Kim Sung-kook's gayageum quartets; ‘Zulgut' and ‘Earth Song' for gayageum ensemble, ‘string' for 25-string gayageum quartet, ‘Gayatchumsori'(earth, dance, sound) for gayageum ensemble, and ‘Center' for 12-string, 18-string, and 25-string gayageum trio, were studied to learn about the composer and analyze the composer's musical features that emerge from the works. This is to help understand the works and to encourage composers to compose gayageum quarte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reative gayageum music. The illustrated below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ayageum works and examining their outline, instrumentation, musical structure, and melodic features. To begin with, "Zulgut” for Gayageum ensemble is a three-movement piece with four thematic melodies, and proceeds by repeating and transforming the melodies. The progression of the theme and the main theme is clear, and there is an exchange of melodies between the voices. It utilizes the key of E♭mi-mode, F la-mode, and C la-mode, and the tonalities of d minor, c minor, and A♭ Major.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timbres, and traditional staves are used, such as the Jjeok-Jjeok stave and the Chilche stave. The chords are mainly in fourths, with tie and slur to break up the rhythm and sense of disjointedness of the piece. Second, "Song of the Earth” for gayageum ensemble is a single movement that imitates a total of two thematic lines and proceeds in various forms. There is an extensive progression of the voices using the stretto technique, and the chords utilize predominantly fourths and seconds, with partial notes functioning rhythm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timbral expression through the composer's various dictates and special motifs, and the sonic contrast is emphasized by the cross-use of ensemble and solo. Third, ‘String' for 25-string metallurgical quartet is a single movement with a single theme, and the melody proceeds in a two-degree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notes B♭ and A♭. It uses B♭ la-mode, C la-mode, and A♭ la-mode of compositional sound and the b♭ minor, c minor, e♭ minor, and a♭ minor. It expresses music that moves in space through vertical chords in a horizontal melodic progression, and it is characterized by dynamic and static contrasts through the composer's intentional margins, concentrations, and non-vibes. Fourth, "Gayatchumsori”(Earth, Dance, Sound) for gayageum ensemble is a single movement with a total of two motifs. It utilizes the C la-mode of compositional sound and the key of c minor. It has a spatial sound and homophonic repetition, and the chords are mainly centered on fourths and characteristically use differential progressions. Lastly, "Center" for 12, 18, and 25-string gayageum trio, is a single movement with a mixed-beat theme over a single composition. It uses the key of C la-mode, G la-mode, F la-mode, and the key of c minor. The composer's use of seconds and non-rhythmic intervals allows for a wide range of performance capabilities. There is an active use of sixths and sevenths, and the chords are mainly centered on fourths, with a wide range of dynamic contrasts and tonal contrasts through key signatures. Intentionally long margins, differential glissando, and concentrated notes give the piece a brushstroke-like qua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following section will summarize the musical features according to performance method, mixed beats and polyrhythms, scales, and harmonies. First, the 21 performance methods of Gayageum were examined; divided into traditional methods such as Nong-hyun and Chusung, creative methods including c.s/s.s and glissando, and special methods suggested by the composer. In particular, it was able to detect how to play according to the composer's instructions, such as: playing with a slightly blocked string, glissing with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hand and immediately mute with the left hand, hitting the An-jok with the bottom of the right hand, glissando with a blocked string, after quickly strumming as many strings as possible with the backs of the fingernails of the 2,3,4 fingers, mute the notated B♭ note, and push the strings with the backs of the fingernails at a tremolo, the fingernails, and then bounce the strings from the Hyeonchim to the An-jok. Second, mixed beat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melody, and polyrhythms with different reference beats were utilized throughout the work. Mixed time signatures were found in < Zulgut >, < Earth Song >, < String >, and < Center >, except for < Gayatchumsori >, and poly rhythms were found in all works. Mixed beats in each piece appeared repeatedly as part of a single melodic structure and were used in various forms.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ree or more Gayageum performance, various melodic progressions were formed through the segmented rhythmic forms of mixed beats and polyrhythms. Third, the scales and characteristic chords of the general compositional concepts in each work were examined. The results visualized that < Zulgut > uses a total of 10 scales and 59 chords, < Earth Song > uses a total of 6 scales and 51 chords, < String > uses a total of 4 scales and 17 chords, < Gayatchumsori > uses a total of 3 scales and 21 chords, and < Center > uses a total of 3 scales and 11 chords. In the characteristic chords, tension was expressed through the non-constituent sounds of the scale, and new voices were used to express the colorfulness of the work. As a result, the work of Kim Sung-kook's Gayageum Quartet was examined and the musical features of the composer's work were identified. As demonstrated above, the composer's Gayageum works include chord progressions of four and two degrees, the use of differential notes, the utilization of various key signatures, the expression of a sense of space, mixed beats, various polyrhythms, and the horizontal progression of new scales specified by the composer by mixing lines and compositions, and the resulting vertical progression of chords. In fact, Kim Sung-guk is a composer who encompasses tradition and modernity, and his works have sufficient value as contemporary creative music. This paper of Kim's work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Gayageum quartets. It is indicated that more Gayageum compositions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the development of Gayageum performances.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could be beneficial for the performers to understand his artistic values and features and it is shown that Kim's work and his subsequent research to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