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이건용 창작 오페라 《박하사탕》 (2020) 연구

Title
이건용 창작 오페라 《박하사탕》 (2020)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ee geon-yong's Opera 《Peppermint Candy》
Authors
여지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이건용, 창작 오페라, 박하사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하
Abstract
이건용(1947- )의 창작 오페라《박하사탕》(2020)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여 동명의 영화를 원작으로 창작되었다. 이 작품은 그가 작곡한 총 여섯 편의 오페라 중 가장 규모가 큰 대형 오페라로, 작곡가이자 작가인 이건용이 그의 삶에서 견지해온 실천적 자세와 동시대적 시각이 여실히 반영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장치들을 통해 5·18 광주 민주화운동이라는 실제 사건이 입체화된다는 점에서 그의 어법과 경향이 잘 드러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새롭게 구성된 개성적인 인물들과 사건들, 이를 활용한 음악적 서사를 통해 원작 영화에 뿌리를 두면서도 자체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이 작품에서는 새롭게 추가된 인물과 장면을 통해 사건을 더욱 자세하게 부연하고 현실적 묘사를 창출하였으며 작품의 주제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가사의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말의 억양과 어조에 맞는 선율과 창법, 오케스트라의 음향적 효과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더불어 전라도 지역의 사투리나 비속어 등의 사용으로 현실감을 높이고 이에 어울리는 한국적인 음악 요소와 리듬을 사용하였다. 특히 시간적 역행 구조라는 이 작품의 특징을 극 대화하기 위해 주요 인물과 상징적인 모티브를 순차적인 시간적 성격의 음악 예술 안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극의 유기적인 연결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이건용은 다양한 음악적 장치를 통해 역사적인 사건을 자신의 한국적 정체성과 더불어 인간의 보편적 차원으로 재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이건용의 생애사적 연구와 함께 한국 창작 오페라의 흐름 안에서의 그의 역할,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시해온 참여적 성격과 오페라에 대한 시각을 살펴보고 작품에 투영된 시대적 맥락과 작품의 특수성을 이해한다. 더불어 작곡가가 직접 작업에 참여한 리브레토를 분석하고 창작 과정에서 변화한 서사적 구조와 관점의 차이, 등장인물 및 장면 구성 등을 파악한다. 특히 당시 현장의 상황과 사건에 대한 이해를 선행하며 이에 기반하여 오페라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중요한 음악적 장치 및 구성을 자세히 분석한다. 이를 통해 작곡가가 청중에게 전달하고 싶은 역사적 의식과 실천적 가치관이 음악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고찰한다. ;This paper analyzes and interprets the musical features of Lee geon-yong's (born 1947) original opera, 《Peppermint Candy》 (2020), a powerful work commissioned in poignant remembrance of the 40th anniversary of the Gwangju Uprising, based on the namesake film. As Lee's largest opera amongst his six operas, this monumental opus stands as a representative testament to his artistic praxis and contemporary perspective, meticulously crafted through a nuanced exploration of the film's essenc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opera’s specificity unraveling the composer's distinct artistic voice embedded within its historical memory and social environment. By meticulously dissecting the artist’s contributed libretto and its inextricable relationship with the music, it aims to illuminate the transmusical interpretations communicated to the audience. The paper first examines Lee's artistic biography and hi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opera. Delving into the libretto, the paper traces the evolution of narrative structure, perspective, characterization, and scene composition throughout the opera's creation. Finally, the paper culminates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work’s overall flow and distinctive musical featur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hematic implications of key musical devices and structures. Throughout, the paper also analyzes the work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events that are reflected in the opera, allowing for a critical lens through which to appreciate the opera's engagement with social commentary and historical reckoning. While rooted in the film’s narrative, to label the opera 《Peppermint Candy》as a mere paraphrase would be to overlook its profound artistic reinterpretation. Through the prism of music, Lee geon-yong imbues the familiar story with his singular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practical values, weaving a tapestry of sound and meaning that transcends cinematic retelling. Far from mirroring the film, 『Peppermint Candy』 blossoms into a distinct operatic entity, its original characters and events entwined with music to unveil profound thematic depths beyond mere cinematic retelling. Through the opera's original characters, infused with individuality and emotional depth, the story acquires a textured richness and deeper emotional impact, illuminating the events from unconventional angles. Lee geon-yong sculpts a sonic tapestry where time folds in on itself, utilizing main characters, symbolic motifs, and leading themes to navigate the opera's reverse order of time with artistic elegance and thematic depth. In this way, Lee geon-yong reproduces Korean identity as well as human internal problems on a universal level through his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