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 Download: 0

아토피피부염 아동을 위한 가족관리 구조모형

Title
아토피피부염 아동을 위한 가족관리 구조모형
Other Titles
Family Management Structural Model fo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uthors
최선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혜원
Abstract
Based on the Family Management Style Framework (Knafl & Deatrick, 2003)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of family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amily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aged between 2 and 12 years, within the development stage of preschoolers and schoolers, who had received a medical diagnosis of atopic dermatitis and had been experiencing the condition for more than 3 months. From June 16 to July 15, 2023,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platforms including websites and internet online cafes that are commonly utilized by parent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 total of 215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except for 5 data of insufficient responses. Among the seven latent variables in the hypothetical model, two were exogenous variables representing the illness severity and illness duration of atopic dermatitis. The endogenous variables included family life difficulty,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family coping, and family management. The study established direct paths between illness severity, illness duration, and family management, as well as mediated paths through family life difficulty,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re were a total of 17 pathwa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6.0 and AMOS 23.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goodness of fit for the hypothetical model was assessed using fit indices such as χ², Normed χ², GFI, CFI, TLI, RMSEA, and SRMR.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athways of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primary caregiver, and the economic state of the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hypothetical model, fit indices indicated that the model met the acceptance criteria with Normed χ²= 2.452, GFI= .935, CFI= .930, TLI= .909, RMSEA= .066, SRMR= .057. In this hypothetical model, family management was explained by illness severity, illness duration, family life difficulty,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accounting for 78.9% of the variance. 2. Using a 95%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illness severity and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life difficulty and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B= -.049, 95% CI= [-.080, -.012]), through family life difficulty and social support (B= -.122, 95% CI= [-.183, -.066]), and through family life difficulty and family coping (B= -.063, 95% CI= [-.105, -.025]). Illness duration and family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rough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B= .068, 95% CI= [.013, .033]).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family life difficulty and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B= -.125, 95% CI= [-.089, -.030]), social support (B= -.198, 95% CI= [-.179, -.087]), and family coping (B= -.173, 95% CI= [-.157, -.057]). 3. The factors directly influencing family management for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were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β= .453, p< .001), social support (β= .489, p< .001), and family coping (β= .128, p= .032). Illness severity indirectly influenced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life difficulty,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β= -.362, p= .002), showing a significant total effect (β= -.496, p< .001). Illness duration indirectly influenced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β= .352, p= .001), also demonstrating a significant total effect (β= .377, p< .001). Family life difficulty had an indirect impact on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β= -.548, p= .001), with a significant total effect (β= -.606, p< .001). Out of the 17 paths set in the hypothetical model, 1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In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 in the paths from severity to family life difficulty (C.R= 3.422) and illness duration to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C.R= -2.499).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 primary caregiver's employment status in the paths from social support to family management (C.R= -2.115), paths from illness duration (C.R= 2.190), family life difficulty (C.R= 2.060) to family coping. Additionally, based on the family's economic statu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hs from illness duration to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C.R= -3.497), social support (C.R= -3.549), and family coping (C.R= -3.584). The study showed that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directly influence family management. Illness severity mediates its influence on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life difficulty,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Illness duration mediates its influence on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Family life difficulty mediates its influence on family management through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ping.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evidence for developing family-centered nursing strategies to improve family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primary caregiver, and the family's economic status, as variations in the model paths based on these factors highlight the need for tailored interventions for managing atopic dermatitis in families. This study is limited in its generalization due to the use of an online survey. Additionally, as a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it was not possible to examine changes in family management over tim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amily management.;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 아동을 위한 가족관리의 영향요인과 요인 간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Knafl과 Deatrick (2003)의 가족관리유형이론과 가족관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아토피피부염을 진단받고 3개월 이상 경과된 만 2세 이상부터 만 12세 미만 아동의 가족 내 주 양육자이다. 자료는 2023년 6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으며 총 215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의 잠재변수 7개 중 외생변수는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와 유병기간의 2개였고, 내생변수는 가족생활의 어려움,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 가족관리의 5개였다. 본 연구는 중증도, 유병기간이 직접 가족관리에 이르는 경로와 가족생활의 어려움,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를 매개로 가족관리에 이르는 경로를 구축하였다.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된 경로는 총 17개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², Normed χ², GFI, CFI, TLI, RMSEA, SRMR의 적합도 지수로 확인하였다. 가족관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고찰된 아동의 발달단계, 주 양육자의 직업 유무,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Normed χ²= 2.452, GFI= .935, CFI= .930, TLI= .909, RMSEA= .066, SRMR= .057로 적합도 수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구조모형에서 가족관리는 중증도, 유병기간, 가족생활의 어려움,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와 가족대처에 의해 78.9%가 설명되었다. 2. 매개효과 분석 결과, 중증도와 가족관리 간에는 가족생활의 어려움과 가족기능회복력의 매개효과(B= -.049, 95% CI= [-.080, -.012]), 가족생활의 어려움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B= -.122, 95% CI= [-.183, -.066]), 가족생활의 어려움과 가족대처의 매개효과(B= -.063, 95% CI= [-.105, -.025])가 유의하였다. 유병기간과 가족관리 간에는 가족기능회복력의 매개효과(B= .068, 95% CI= [.013, .033])가 유의하였다. 가족생활의 어려움과 가족관리 간에는 가족기능회복력(B= -.125, 95% CI= [-.089, -.030]), 사회적지지(B= -.198, 95% CI= [-.179, -.087]), 가족대처(B= -.173, 95% CI= [-.157, -.057]) 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3. 최종모형 분석 결과, 가족관리에는 가족기능회복력(β= .453, p< .001), 사회적지지(β= .489, p< .001)와 가족대처(β= .128, p= .032)가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중증도는 가족생활의 어려움과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를 매개로 가족관리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β= -.362, p= .002), 총효과도 유의하였다(β= -.496, p< .001). 유병기간은 가족기능회복력을 매개로 가족관리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β= .352, p= .001), 총효과도 유의하였다(β= .377, p< .001). 가족생활의 어려움은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를 매개로 가족관리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β= -.548, p= .001), 총효과도 유의하였다(β= -.606, p< .001).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한 17개의 경로 중 15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다중집단분석 결과,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중증도가 가족생활의 어려움에 이르는 경로(C.R= 3.422)와 유병기간이 가족기능회복력에 이르는 경로(C.R= -2.499)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 양육자의 직업 유무에 따라 사회적지지가 가족관리에 이르는 경로(C.R= -2.115), 유병기간(C.R= 2.190)과 가족생활의 어려움(C.R= 2.060)이 가족대처에 이르는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라 유병기간이 가족기능회복력(C.R= -3.497), 사회적지지(C.R= -3.549)와 가족대처(C.R= -3.584)에 이르는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아토피피부염 아동 가족의 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와 가족대처가 높을수록 가족관리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피부염 중증도가 높을수록 가족생활의 어려움은 증가되고,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는 저하되어 가족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피부염 유병기간이 길수록 가족기능회복력이 향상되어 가족관리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생활의 어려움이 높을수록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가 저하되어 가족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아동의 발달단계, 주 양육자의 직업 유무,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른 집단별로 본 연구모형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되었으나,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중증도가 가족생활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유병기간이 가족기능회복력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주 양육자의 직업 유무에 따라 사회적지지가 가족관리에 미치는 영향, 유병기간과 가족생활의 어려움이 가족대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라 유병기간이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 아동을 위한 가족관리의 향상을 위해 가족생활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고, 가족기능회복력, 사회적지지, 가족대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가족 중심 간호를 모색하는 근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아동의 발달단계, 주 양육자의 직업 유무, 가족의 경제상태에 따라 연구모형 내 경로의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아토피피부염 아동을 위한 가족관리에 있어서는 해당 요인을 고려한 개별적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