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 Download: 0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과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

Title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과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time Support of Caregivers and Eating Behavior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uthors
최은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치매노인에게 식사는 단순한 영양 섭취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그들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장기요양시설 입소 치매노인의 식사는 주로 요양보호사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지므로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을 면밀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치매노인은 질병으로 인해 특유의 식사행동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질적인 식사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디오 이차자료 분석을 통해 서술적 관찰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과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요양보호사 24명, 치매노인 10명으로 이들이 이루는 총 41개의 쌍(dyads)이 촬영된 비디오이다.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과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은 행동관찰을 위한 코딩체계를 통해 코딩하였다. 본 연구에서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은 긍정적 식사지원양상과 부정적 식사지원양상으로 구분하여 코딩하였다.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식사지원양상은 mealtime engagement scale (MES)을 번안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절대적 지속시간, 상대적 지속비율, 빈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점수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요양보호사의 부정적 식사지원양상은 Cue utilization and engagement in dementia (CUED)의 돌봄제공자의 부정적 행동을 번안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절대적 지속시간, 상대적 지속비율, 분당빈도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은 저작 및 연하 곤란, 기능적 손상, 저항행동, 긍정 및 중립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CUED의 비언어적 식사행동특성을 번안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빈도, 절대적 지속시간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Microsoft Office Excel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교차분석, t-검정(Independent t-test), ANOVA, LSD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기요양시설 입소 치매노인의 식사시간특성을 분석한 결과, 치매노인의 식사시간은 평균 19분 2초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의 식사시간을 독립적인 식사가능 여부에 따라 비교해보면, 스스로 식사가 일부 가능한 치매노인의 경우, 평균 식사시간이 21분 17초로 나타난 반면, 스스로 식사가 불가능하여 요양보호사의 전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치매노인의 평균 식사시간은 18분 13초로 더 짧게 나타났다. 2.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 식사지원양상의 빈도가 전체 식사지원양상 빈도의 91.1%를 차지하여, 요양보호사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방식을 통해 식사지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식사지원양상의 하위항목에서는 ‘일대일 지원을 제공함’은 치매노인의 전체 식사시간 중 63.2%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음식 및 음료가 섞이지 않게 지원함’은 8.06%, ‘긍정적 언어로 식사를 격려함’은 5.67%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사를 거부하는 경우 다른 음식 또는 음료를 권함’은 전체 식사시간 중 0.08%, ‘이름이나 호칭으로 부름’은 0.14%, ‘신체적인 편안함을 평가함’은 0.21%로 적게 수행되고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부정적 식사지원양상의 빈도는 전체 식사지원양상 빈도의 8.9%를 차지하였고, 부정적 식사지원양상의 하위항목에서는 ‘홀로 남겨둠’ 이 치매노인의 전체 식사시간 중 23.1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을 저작 및 연하 곤란, 기능적 손상, 저항행동, 긍정 및 중립 행동으로 구분하여 빈도를 분석한 결과, 저작 및 연하 곤란이 43.1%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긍정 및 중립 행동은 24.3%, 저항행동은 22.9%, 기능적 손상은 9.6%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 및 연하 곤란의 하위항목에서는 ‘내 의지와 상관없이 음식물이 입밖으로 흐름’이 425회(54.5%)로 가장 많았고, 긍정 및 중립 행동에서는 ‘음식물을 집기위해 식기구나 손을 사용함’이 272회(61.8%), 저항행동에서는 ‘입을 열지 않음’이 108회(26.0%), 기능적 손상에서 ‘음식물을 입으로 옮기기 어려워함’이 68회(39.3%)로 가장 많았다. 4.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상근직으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3교대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보다 긍정적 식사지원양상 수준이 더 높았다(F=3.921, p=.028). 또한, 요양보호사가 5명 미만의 입소자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가 5명 이상의 입소자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보다 긍정적 식사지원양상 수준이 더 높았다(t=2.675, p=.011). 5.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양상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일부라도 스스로 식사가 가능한 치매노인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가 스스로 식사가 불가능한 치매노인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보다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식사지원양상 수준이 더 높았다(t=2.188, p=.035). 또한, 80세 이상 치매노인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가 80세 미만 치매노인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보다 요양보호사의 부정적 식사지원양상이 많았으며, 공존질환 수가 3개 미만인 치매노인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가 공존질환 수가 3개 이상인 복합만성질환 치매노인에게 식사를 지원하는 경우보다 요양보호사의 부정적 식사지원양상이 많았다. 7.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노인의 식사행동특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의존도가 높은 치매노인이 일상생활의존도가 낮은 치매노인보다 저작 및 연하 곤란이 더 많았고(χ2 =6.156, p=.039), 스스로 식사가 불가능한 치매노인이 일부라도 스스로 식사가 가능한 치매노인보다 저작 및 연하 곤란이 더 많았다(χ2 =7.683, p=.013). 또한, 80세 미만인 치매노인이 80세 이상인 치매노인보다 저항행동이 더 많았다(χ2 =5.154, p=.035).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식사지원양상이 일부 행동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신체적 편안함이나 식사거부시 재시도와 같은 다양한 식사지원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요양보호사 교육은 단순히 긍정적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 뿐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과 그 수행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치매노인의 대부분이 식사시간 동안 주로 저작 및 연하 곤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식사기능 유지를 위해 중점적으로 중재가 수행될 필요가 있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요양보호사 한 명이 지원하는 입소자 수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식사지원양상 수준의 차이 등 요양보호사 및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사지원양상과 식사행동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치매노인의 식사지원전략 수립 시 요양보호사 및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반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식사지원 가이드라인 마련하기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altime is more than just nutritional intake and has a vital impact on their overal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the meal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mainly provided with the support of caregivers, so there is a need to closely understand the meal support patterns of caregivers. In addition, because older adults with dementia exhibit unique ea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due to their disease, qualitative meal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meal support patterns of caregivers and the ea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a descriptive observational study by using secondary video data analysis. The study involves 24 caregivers and 10 older adults with dementia, forming a total of 41 dyads captured on video. The meal support patterns of the caregivers and the ea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were coded by using a coding system designed for behavioral observation. The coding schemes used were as follows: Caregivers' meal support pattern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nalyzed by using the Mealtime engagement scale (MES) for positive aspects, and a modified version of Cue utilization and engagement in dementia (CUED) for negative aspects. Older adults with dementia's eating behaviors were analyzed by using a modified version of CUED's non-verbal ea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categorized into chewing and swallowing difficulties, functional impairment, resistance behaviors, and positive/neutral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5.0 program and Microsoft Office Excel, there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and LSD test.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mealtim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howed an average mealtime of 19 minutes and 2 seconds. When comparing mealtime based on the ability to eat independently, residents with partial independence had an average mealtime of 21 minutes and 17 seconds, while those who needed complete caregiver support had an average of 18 minutes and 13 seconds. This suggests longer meal times for those who can eat independently, even partially. 2. In analyzing caregivers' meal support patterns, affirmative behaviors accounted for 91.1% of the total meal support behaviors, indicating a general tendency towards affirmative behaviors. The most frequent affirmative behaviors included 'providing one-on-one support' (63.2% of the mealtime), 'ensuring food and drink are not mixed' (8.06%), and 'encouraging eating with positive language' (5.67%). Less frequent behaviors included 'offering alternative food or drink if meal is refused' (0.08%), 'addressing by name or title' (0.14%), and 'assessing physical comfort' (0.21%). Negative behaviors accounted for 8.9% of the total meal support behaviors, with 'leaving alone' being the most frequent at 23.14% of the mealtime. 3. The non-verbal eating behaviors of the older adult with dementia included chewing or swallowing difficulty (43.1%), positive/neutral behaviors (24.3%), resistive behaviors (22.9%), and functional impairment (9.6%). The most frequent occurrences were 'leaving mouth open allowing food falls out of mouth (passive)' (54.5%) under chewing or swallowing difficulty, 'using hands to eat' (61.8%) under positive/neutral behaviors, 'doesn't open mouth' (26.0%) under resistive behaviors, and 'difficulty transporting food to mouth' (39.3%) under functional impairment. 4. Differences in caregivers' meal support pattern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ull-time caregivers exhibited higher levels of affirmative behaviors than those who worked in shifts(F=3.921, p=.028). Caregivers supporting fewer than five residents showed more affirmative behaviors than those who supported five or more (t=2.675, p=.011).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6. The difference in caregivers' meal support pattern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was as follows: Caregivers who were supporting residents capable of eating independently, even partially, exhibited higher levels of affirmative behaviors (t=2.188, p=.035). There was a higher frequency of negative behavior from caregivers when supporting residents over 80 years old compared to those under 80, and with residents having fewer than three co-occurring conditions as opposed to those with three or more. 7. The differences in ea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follows: Residents with higher dependence in daily activities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chewing and swallowing (χ2 =6.156, p=.039). Those who were unable to eat independently exhibited greater chewing and swallowing difficulties compared to residents who could eat independently, even partially (χ2 =7.683, p=.013). Additionally, residents under 80 years old displayed more resistive behaviors than those over 80 (χ2 =5.154, p=.035). This study revealed that caregivers' affirmative behaviors tend to be concentrated on certain actions, indicating the need for training in diverse meal support methods, such as ensuring physical comfort and reattempting feeding in case of meal refusal. Therefore, caregiver education should not on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ffirmative behaviors but also include clear guidelines for specific actions and their execution methods.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most older adults with dementia primarily experienced chewing and swallowing difficulties during meal times, highlighting the need for focused interventions to maintain their eating functions. The study also not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ffirmative meal support behaviors provided by caregivers based on the number of residents they supported, along with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and residents with dementia. This emphasizes the need to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meal support strategie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in order to establish guidelines for caregivers' meal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