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 Download: 0

요양병원 장기입원 노인의 환자유형과 퇴원의향

Title
요양병원 장기입원 노인의 환자유형과 퇴원의향
Other Titles
Patient Latent Type and Discharge Intentions of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uthors
손윤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장기요양, 노인 환자, 잠재유형, 퇴원의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McLeroy의 생태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요양병원 장기입원 관련요인을 구성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노인의 환자유형을 탐색하고, 환자유형에 따른 퇴원의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유형별 특성에 맞는 퇴원 간호 중재와 지역사회 복귀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7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3개 지역, 19곳의 요양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노인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cLeroy의 생태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개인 내 요인은 질병 인식, 기능적 독립, 환자 의료비 부담을, 개인 간 요인은 가족 지지, 돌봄 부담에 대한 인지를, 기관 요인으로는 거주만족도, 돌봄 지속성, 지역사회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서비스 접근용이성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studio version 4.3.1(2023.6.16 +494) 통계프로그램의 패키지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노인의 환자유형을 분류한 뒤, 교차분석을 통해 환자유형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퇴원의향 차이를 비교하고,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퇴원결정 이유에 따른 퇴원의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잠재유형 수 3개인 Class 3이 최적의 모형으로 확인되 었다. 정보지수가 AIC/BIC 623.81/3720.87이고, 분류의 질은 80% 이상인 Entropy가 .73으로, saBIC 3625.85, LMRT와 BLRT 모두 p<.01이었다. 환자유형은 각 유형별 관련요인의 평균 크기를 비교하여 명명하였으며, 유형1 지원체계부족형은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낮고 주 돌봄제공자가 돌봄 부담이 있다고 인지하고 있으며, 요양병원과 지역사회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유형2 간호돌봄미충족형은 자신의 질환을 위협적으로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기능적인 독립 수준이 낮고, 나머지 관련요인은 평균 수준이었다. 유형3 요양병원선호형은 환자 건강상태나 돌봄 부담은 양호하며, 요양병원 시설과 서비스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2. 요양병원 장기입원 노인의 환자유형별 대상자 특성은 지원체계부족형의 경우 자녀와 친척 또는 친구 등과 함께 거주, 환자 의료비 부담이 전혀 없거나 적당하고, 노인장기요양등급 3등급 또는 4등급, 복합이환, 가끔 소변을 실금하는 노인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돌봄미충족형의 경우 75세 이상, 혼자 거주, 환자 의료비는 부담이 없거나 약간 부담이 있고, 노인장기요양등급 1등급 또는 2등급, 입원기간 120일 이상, 와상이며, 의료최고도에서 의료경도까지, 대변 조절을 못함에서 가끔 실금, 소변 조절은 못함에서 자주 실금하는 노인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요양병원선호형의 경우 75세 미만, 노인부부 함께 거주, 환자 의료비 부담이 매우 높고, 입원기간이 120일 미만, 선택입원군, 만성질환 수 1개, 와상이 아니며, 대소변을 조절할 수 있는 노인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3. 요양병원 장기입원 노인의 환자유형별로 퇴원의향에는 차이는 없었다(χ2 =0.128, p = .938). 노인 환자는 거주지가 마련이 되거나(OR=1.52, p=.03, 95% CI: 1.04-2.23), 집이 그리울수록(OR=2.35, p<.001, 95% CI: 1.69~3.26), 퇴원의향이 있음이 유의하게 높았고, 가족이 결정해서 퇴원을 결정할수록(OR=0.55, p<.001, 95% CI: 0.39~0.76) 퇴원의향 있음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장기입원 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3개의 환자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환자유형별 대상자의 특성과 퇴원의향을 바탕으로 노인에게 필요한 퇴원 간호 중재와 지역사회서비스 인프라 및 연계 전략을 논의하였다. 궁극적으로 요양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노인이 자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노후를 보내는 Aging in Place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욕구와 퇴원의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가 추후 노인 환자가 지역사회로 복귀하기 위해 필요한 간호 실무 전략과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types of elderly patients undergoing delayed discharge from long-term care hospital (LTCH) and to understand their discharge intentions. The objective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and community reintegr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patient-related factors and their discharge inten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November 2023 on 189 elderly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were hospitalized in 19 long-term care hospitals in three regions in South Korea.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ree latent types of elderly patients in LTCH were identified: "Insufficient Support System Type," "Unmet Nursing Care Type," and "Hospital Preference Type." These type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factors such as illness perception, functional independence, patient payment burden, family support, perception of care burden, residential satisfaction, continuity of care, and community service accessibility.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ischarge intentions among the patient latent types. And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reasons for decision to discharge including “having a place to live” and “missing home”, and “by family member’s decision mak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scharge intention of elderly pati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resolving issues related to delayed discharge from LTCH of elderly patients and developing nursing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Moreov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formulating healthcare policies for elderly 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