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젊은 유방암 생존자 대상 암 재발 두려움 온라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젊은 유방암 생존자 대상 암 재발 두려움 온라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s of Online Fear of Cancer Recurrence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Authors
안해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본 연구는 젊은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암 재발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인지행동요법과 표현적 글쓰기를 적용한 암 재발 두려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암 재발 두려움, 불안, 우울, 암 대처,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유방암 진단을 받고 치료가 종결된 후 추후 관리를 위해 외래를 내원하는 자로, 16개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모집하였다. 대상자는 중재군 16명, 대조군 16명이 모집되었으나 중재군 2명의 중재 시작 전 참여 포기로 최종 중재군 14명, 대조군 16명이 참여 완료하였다. 중재군에게는 4주의 암 재발 두려움 프로그램을, 대조군에게는 교육자료를 통한 개별학습을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암 재발 두려움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그룹 중재와 개별 중재를 혼합한 총 4주의 온라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주 1회의 그룹 중재는 효과적인 교육 제공을 위해 체계적 교수 설계 모형인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ntervention, Evaluation) 모형에 따라 개발하였고, 인지행동요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별중재는 주 4회의 표현적 글쓰기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독려와 탈락방지를 위해 주 1회 전화상담을 제공하였다. 자료 수집은 중재 전과 중재 직후, 중재 4주 후에 암 재발 두려움, 불안, 우울, 암 대처,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암 재발 두려움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암 재발 두려움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F=4.888, p=.011). 시기에 따라서는, 중재 전에 비해 중재 직후(t=-2.821, p=.009), 중재 4주 후(t=-2.806, p=.009)에 중재군이 대조군에 비해 암 재발 두려움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안, 우울, 암 대처,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젊은 유방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 온라인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로서 젊은 유방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을 낮추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대상자의 접근성을 높였다는 장점이 있으나, 젊은 유방암 생존자의 감정 표현 및 정서적 지지가 중요한 요소로서 이를 위해서 중재자와 대상자 간 정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추후 대면 중재로 정서적 유대감 형성에 효과적인 대면 중재와 온라인 중재를 혼합 적용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fear of cancer recurrence intervention program among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fear of cancer recurrence, anxiety, depression, cancer coping, and posttraumatic stres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women under the age of 45 who had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were attending outpatient clinics for follow-up care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Sixteen experimental and 16 control subjects were recruited, but two experimental subjects dropped out before the intervention began, resulting in a final enrollment of 14 of the experimental and 16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four-week fear of cancer recurrence intervention program (CUSS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dividualized learning through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ancer recurrence fear, anxiety, depression, cancer coping, and post-traumatic stress were measured at baseline, post-program (after 4 weeks), and one month after the program ended (after 8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program to calculate the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χ2-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F=8.642, p=.007),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 (F=22.614, p<.001),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F=4.888, p=.01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depression, cancer coping, and posttraumatic str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ing in the CUSSion program for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fear of cancer recur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xiety, depression, coping with cancer, and post-traumatic stress scor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 of group and time.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fear of cancer recurrence but needs to be supplemented to show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depression, cancer coping, and post-traumatic st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